벨아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3
기 드 모파상 지음, 송덕호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파상은 '목걸이' , '비게 덩어리' 라는 두 작품으로 전 세계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사람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 특히나 기억에 남는 것은 물건에 대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특별한 이야기의 흐름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어릴때 읽어서 잘 기억은 안나지만, 내게 모파상은 그런 존재였고, 특히 모파상이 여성작가라고 생각되어질만큼 여성적 문체가 강한 작가였다. 물론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나의 기억 속의 모파상은 그랬다.

 

그런 모파상의 새로운 작품을 만나게 되었다. <벨아미>는 그를 만날 수 있었던 또다른 행운이었다. 게다가 내게 읽는 첫 장편이라는 점에서 설레었다. 민음사의 세계문학전집을 모으고 있는 터였기에 두툼한 책 두께에도 흐뭇했다. <벨아미>는 그렇게 설레임이었는데, 이 소설의 주인공 '벨아미' 자체도 상당히 매력적인 주인공이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훈남이자 카사노바였다.

 

여자는 어쩔 수 없이 나쁜남자에게 끌리는 가보다. 너무너무 잘생겨서 저 멀리서 봐두 눈이 부실만큼 매력적인 남자라면, 자신의 어떤 것을 다 받쳐서라도 만나고 싶은 것이 여자일까. 실상은 남자가 아름다운 여자를 보고서 이끌리는 경우가 더 많다고 생각했는데, 여자도 의외로 그런경우가 있는 듯 보인다. 그런 심리를 읽어버린 듯, 모파상이 탄생시킨 가진것 하나 없는 뒤루아라는 캐릭터는 딱 그렇게 점차 유혹과 거짓의 세계에 물들어버리게 된다. 그는 친구인 포레스티를 만나게 되면서 사교계에 빠져들고, 거기서 만난 수많은 부잣집 여인들을 농락하면서 자신이 얻고 싶은 모든 것을 얻는다. 

 

기막힌것지 모르겠지만  얼마전에 본 영화 애쉬튼 커쳐의 주연 <S러버> 역시도 딱 그런 영화였다. 그도 가진거라고는 매력적인 자신의 겉모습과 여자를 꼬실수 있는 능력뿐인데, 그것만으로 자신이 얻고 싶은 부를 향유한다. 이런 카사노바 캐릭터들은 마치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게 생각하라고 말하는 듯 여자를 철저하게 유혹하여 즐긴다. 벨아미와는 시대적으로 분위기는 다른 영화였지만 분명 같은 맥략임이 틀림없다. <벨아미>의 뒤루아는 자신의 친구의 아내까지도 농락할 정도로 쾌락을 즐기면서 반성이든 실패든 그런 '착한 모습'은 결코 등장하지 않고, 단 하나 '성공'만을 바라보면서 철저히 삶을 살아간다. 이 모습은 때로는 당시 프랑스의 물랑루즈를 떠올리게 하고, 프랑스 혁명을 떠올리게도 한다. 모파상은 그런 프랑스 사회를 냉소적으로 바라보면서 이와 같이 파격적이고 격한 남자에게 투영시켜버렸다. 아무래도 타락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어서 인지 지루하지는 않았다. 통속적인 이야기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해서 일까 일단은 재미있개 읽었다고 해야할까. 여전히 현대 소설보다는 고전 소설이 끌리는 이유는 단지 소재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그런 통속적 소재를 멋드러지게 만들어내는 그 말솜씨 덕분이라고 해야할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