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누아르 : 인생의 아름다움을 즐긴 인상주의 화가 마로니에북스 Art Book 17
가브리엘레 크레팔디 지음, 최병진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행복을 그리는 화가, 르누아르의 세계
 
우리 집 한 쪽 벽면을 보면 A4 용지 정도의 크기로 된 작은 그림이 하나 걸려있다. 물론 '찍어낸'것에 불과한 사진이지만 그 그림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 같고, 환한 빛을 맞이하는 것 같다. 그 그림은 르누아르의  <도시의 무도회>라는 작품으로 너무나 아름다운 하얀색 드레스를 입은 숙녀와 턱시도를 입은 남자분의 우아한 춤사위를 표현한 작품이다. 춤추는 사람은 수잔 발라동이라는 여류 화가였다고 한다. 남자는 다른 무도회 작품에도 등장하는 르누아르의 친구 '폴 로트'라는 사람이라고 한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알지 못했던 사실인데, 내가 좋아하는 ArtBook 시리즈의 <르누아르>를 읽으면서 새롭게 그의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역시 ArtBook 시리즈의 구성은 마음에 쏙 든다. 전면적으로 화가의 탄생부터 생을 마감할 때까지 연대순으로 나누어서 설명하되, 그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그와 함께 어울렸던 동시대의 화가들과 그들의 그림, 그리고 화가 자신의 그림 변천사까지 모두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이번에는 내가 가장 사랑하는 화가인 <르누아르>가 아니겠는가. 이 설렘은 몹시도 진중했다. 그는 '행복을 그리는 화가'라는 수식어가 붙어 다닌다. 일생의 그림들을 보면 행복한 그림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가 마네, 모네와 함께 인상주의의 대표적 화가가 된 것도 단지 동시대 사람이어서가 아닌 것 같다. 그의 그림들을 보면 부드러운 붓터치로 화사하고 아늑한 색상을 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인상주의의 아버지 격인 마네와 빛의 예술가 모네의 영향을 크게 받았겠지만 그는 그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그리고 그의 일생을 보면 그는 그래도 나름 다른 화가들에 비하면 무난한 인생을 살았던 듯 보인다. 인상주의 그림들이 처음에는 홀대를 받았었지만 르누아르의 노년이 된 후에는 명예회장으로 추대되는 등 평단과 관객에게 극찬을 받게 된다. 고생한 보람이 있었던 것일까. 그의 긍정적인 마음가짐 때문이었을까. 개인적으로 그가 <파리:퐁뇌프> 처럼 화사하고 예쁜 파스텔을 써서 그린 풍경화나 그를 유명하게 한 인상주의 대표작인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나 어머니의 사랑과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귀여움이 그대로 묻어나는 <샤르팡티에 부인과 아이들>과 같은 작품들을 그릴 수 있었던 것은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눈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지 않고서는 그런 따뜻한 색조와 생동감 일상에서의 미소들을 다 읽어낼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을 보고 있으면 행복해진다. 그래서 난 르누아르의 작품을 사랑한다.
 
그는 자신의 화가 본분을 잊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죽을 때까지 붓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진정한 장인이란 생각이 든다. 동양 문화에 관심을 갖고 오리엔탈리즘이 묻어있는 그림을 그리기도 했으며, 이탈리아를 여행하고 난 후에 고전주의 그림들을 연구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내기도 했다. 인상주의 회화를 떠난 후에는 사물의 형상을 연구하고 대각선의 붓터치도 시도했으며 <모성>과 같은 모호한 색감을 써서 작품을 그린다. 그런 그를 이해하는 데 이 책이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정리되지 않았던 그의 일생과 그의 작품세계를 쉽게 내 지식으로 만들 수 있었다. 역시 아트북 시리즈다. 미술의 세계를 이해하는데 더 없이 좋은 책이다.
 
오늘도 난 르누아르 그림을 보면서 미소를 지어 본다. 부드러운 빛과 색으로 나도 행복해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