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덕여왕 1 - MBC 특별기획 드라마 '선덕여왕' 원작 소설!
김영현.박상연 극본, 류은경 소설 / MBC C&I(MBC프로덕션)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천하를 얻은 여인, 선덕 여왕의 파란만장 인생 픽션
시작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MBC 특별 기획 드라마 <선덕 여왕>! 그 드라마가 나온다고 했을 때 최근에 서점을 강타하고 있는 다양한 선덕 여왕 소설 중에 어떤 것일 이지 궁금했었다. 얼마 전에 신진혜님의 ‘선덕 여왕’을 읽은 적이 있다. 그때는 덕만 공주가 직접 1인칭 주인공 시점이 되어서 그때그때의 사건에 접할 때마다 심리 묘사가 주로 느껴지는 소설이었다. 그것도 나름 꽤 재미있게 읽었었다. 선덕 여왕님에 대한 사료도 찾아보고, 또 미실공주라는 악녀에 대해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었다. 역사 소설은 주의 깊게 봐야함에도 여전히 역사적 사실과 픽션부분을 구분해 보기는 쉽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그런 작업들이 필요하다고 여김)
이번에 만나게 된 <선덕 여왕>은 실제 지금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의 원작 소설이다. 표지에서부터 미실 역의 고현정과 선덕여왕 역의 이요원이 메인 표지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서점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을 얻는 자 천하를 얻고 시대의 주인이 된다!” 라는 타이틀과 함께 책 속의 탐험으로 빠져들어 갔다.
이 소설은 첫 설정부터 녹녹치 않다. 미실이 ‘개’를 이용하여 진평왕이 보는 앞에서 아버지인 동륜태자를 살해하는 것을 시작으로 (실제 화량세기 필사본에 동륜태자는 개에 물려죽었다 전해진다) 진평왕과 마야 사이에서 태어난 천명공주와 덕만공주가 여쌍둥이가 된다. 여쌍둥이는 대흉조이기 때문에 이를 숨기고자 덕만은 어릴 때 미실을 피해서 중국 사막에서 살게 되고, 그 뒤를 이어줄 왕자들이 줄줄이 죽음을 맞이한다. 개인적으로 시작 설정이 상당히 마음에 든다. 고대 이야기에서는 신화적 설정이라던가 전설, 저주와 관련된 설정이 항상 따라오게 마련이다. 여쌍생아였기 때문에 천명과 덕만의 사이에 대한 것이라던가 덕만이 훗날 여왕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성격 형성이라던가 하는 부분에서 타당성을 부여할 수 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시나 미실공주는 상당한 매력이 있는 캐릭터였다. 악녀도 이런 악녀가 우리나라엔 드물 것이라 생각했다. 실제 이러진 않았을 법하지만 이 소설에서는 그 어느 미실보다도 훨씬 더 사악하고 잔인했다. 읽고 나서 드라마를 보았는데, 고현정이 정말로 역할을 잘 소화해내는 느낌이 들었다. 너무너무 아름다우면서도 철저히 이중 인격적 행위를 일삼는 권력과 탐욕에 눈이 먼 팜므파탈 미실. 이 고대 시대에, 이런 여인이 신라를 휘어잡았다는 것만 생각하면 대단하단 생각이 들었다. 조선의 ‘장-’여인들 저리가라이지 않은가! 대원신통이란 독특한 신라의 계급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신라만의 독특한 종체제인 진골적통과 대원신통을 알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파란만장한 덕만공주가 선덕여왕이 되기까지 수많은 인물들이 그녀를 돕기도 하고 밀치기도 한다. 그녀가 출생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서 남장을 하고 화랑이 되는 것도 다소 독특하기는 하지만 역시 시대극에서의 매력은 주인공의 ‘남장’과 그 안에서 만나게 된 남자와의 사랑이 아닐까. ‘미인도’와 ‘바람의 화원’이 그러했고, ‘대망’과 ‘다모’도 그랬었다. 꼭 빠질 수 없는 재미의 키워드인가. 그런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여자로써는 할 수 없었던 일들이 많았기 때문에 ‘남장’ 코드가 자주 등장하는 가보다.
본격적인 무대는 바로 덕만의 사랑, 김유신과 삼국통일의 주역인 김춘추, 미실의 아들 비담이 등장하면서 더 뜨겁게 달아오르는 듯하다. 비담은 실존하는 인물로 진지왕과 미실이 사통하여 낳은 아들이기 때문에 선덕 여왕 통치 체제에서 많은 혼란을 가중시키는 중요한 역할로 등장한다. 정말 볼만한 이야기들이 풍부하며 책장이 미친 듯이 넘어간다. 드라마도 정말 재미있을 것 같아서 매우 기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