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에밀 부르다레 지음, 정진국 옮김 / 글항아리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잃어버리고 있던 대한 제국의 역사, 낯선 사람이 그리다
우린 조선을 많이 알고 있다. 왕들의 잔치, 신하들의 정쟁, 그리고 굵직한 역사의 인물들의 이야기가 글로 전하여져 더 깊이 알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는 기록의 역사이며, 승자의 입김의 흔적일 것이다. 그래서 객관적일 수 가 없다. 잘잘못을 따지다보면 결국 역사의 혼돈의 늪에 빠져버릴지도 모른다. 그런 생각 속에서 만나게 된 반가운 책이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이다. 과연 당시의 외국인들은 우리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대한제국 시대를 떠올리면, 열강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함께 어두운 일련의 그림들만 그려지고 고통과 혼란의 과정들이 느껴진다. 조선을 버리고, 낯선 세상을 맞이할 무렵이었기 때문에 대한제국 역사는 정의내리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때 그들을 생생히 기억하고 기록해두었던 사람이 있다. 프랑스의 고고학자 에밀 부르다레. 그는 1901년 대한제국이 경의철도를 자력으로 부설하기 위해 서북철도국을 설치했을 때 철도 기사로 한국에 왔었다. 4년간 한국에 머물면서 보고 느꼈던 구석구석들을 책으로 편찬한 것이 바로 이 책인 것이다. 상당히 가치 있는 책이 아닐 수 없다. 한국에 관한 프랑스어 출판물중 가장 널리 읽힌 책이었던 것을 떠나서 우리가 쓴 책이 아니기 때문인지, 미화되거나 꾸며진 것이 없어 보인다.
그가 묘사한 대한 제국의 모습들은 참으로 신선하다. 서양인들이 아시아 중에서도 한국의 근현대를 어떻게 생각했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을 만큼 아주 자세히 적혀있어 놀라웠다. 남경의 대리석탑의 옛 사진들과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영혼을 떠나보내는 의식인 장례 풍습, 그리고 우리의 영원한 궁인 경복궁의 아픈 흔적들이 그러했다. 책 안에 틈틈이 그때의 사진들이 남아있어서 마음이 한층 무거워지기까지 했다. 이렇게 생생했던 시절이 불과 백년 전이구나 하는 그리움마저 생겼다. 저자는 서양과 완전 다른 세계의 우리 모습이 얼마나 놀라웠을까. 그래서 이렇게 적나라하게 남길 수 가 있던 것일지도 모른다. 확실히 우리가 쓴 역사책과는 아주 많이 다르다. 정확히 그의 눈으로 그려진 한국의 생활, 이름, 습관, 형식, 가치관 등은 ‘남’을 바라보는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우리 모습을 다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이런 것은 아닌데! 라고 느껴지는 것들도 많았다. ‘무당’이란 존재에 대해서, ‘마녀’, ‘귀신 들린 여자’ 라는 뜻으로 해석하고, 우리가 믿는 굿판과 미신의 정신 상태가 조선의 상처이며 야만적인 신앙이라고 표현한 것이 다소 억울하기도 했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우리를 야금야금 침략하고 있던 일본의 행패에 대해서 각별한 연민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그는 이미 중국, 베트남, 마다가스카르 등의 아시아와 아프리카 여러 지역을 거쳤기 때문에 그들의 모습과 비슷하게 바라보았지만, 상당히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임은 틀림없다. 이런 역사책은 만나기 쉽지 않은 듯하다. 대한제국의 역사와 생활상을 꼼꼼히 파헤치기 더없이 중요한 사료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 역시도 대한제국에 대해 가지고 있던 두서없는 지식들을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일제 침략 시대의 가혹함에 빼앗겨 잃어버리고 있던 대한 제국의 아름다운 역사를 만나게 된 뿌듯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