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 없는 살인의 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윤성원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소한 흔적이 살인을 부른다.

 

히가시노 게이고, 그는 정말 다작 작가인 듯하다. 그의 작품을 쉴 틈 없이 만나다 보니 벌써 소장하게 된 작품도 6권에 이르고 있다. 이렇게 많은 작품을 소장한 경우도 드물다. 따로 모으려고 한 것은 아닌데, 어쩌다보니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은 그만큼 친숙한 소설이 되어버렸다.

 

친숙한 소설, 그 말에 어울릴 정도의 무난한 이야긴 아니다. 늘, 살인을 부르는 작품이랄까. 그만큼 추리, 미스터리 쪽에선 소위 잘 나가는 작가이다. 다른 분들은 ‘용의자 X의 헌신’이 거의 첫 작품인데, 나에겐 ‘옛날에 내가 죽은 집’이 첫 작품이었다. 쉬운 문체이지만 상당히 빠른 속도의 전개와 사건을 추리해 나가는 흡입력이 돋보였다. 그래서 그런 기대를 하고 조심스럽게 만나게 된 책이 <범인 없는 살인의 밤> 이다. 궁금함이 후끈 달아올랐다.

 

이 책은 7편의 단편 추리 소설을 모아놓은 소설집이다. 일본 소설임을 생각했을 때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소재들이 유독 눈에 띄긴 했지만, 각각의 소설들은 제목처럼 아주 사소한 흔적이나 우연의 행동으로 비롯된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질투, 애정, 우정 등의 마음으로 살인이 일어난다. 그 마음은 어쩔 수 없는 우리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이자 실체이다. 그것을 단편으로 묶어내었다. 어떻게 살인 사건을 단편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사건 전개에 탁월한 재능을 가진 저자의 장점이 돋보이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거울로 쏘이던 빛의 눈부심, 왜곡된 의붓어머니의 사랑, 무심코 던지는 사투리, 상실속의 아픔 때문에 변하는 성격 등의 우리 생활의 흔한 행동으로도 결국 ‘살인’을 부를 수 있다는 것이 이 단편집이 말하는 추리의 정통이 아닐까. 그래도 다른 이들의 추리 소설에 비해서 잔인성이나 놀라운 반전 부분은 미흡했지만, 어쩔 수 없는 단편의 아쉬움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읽다보니 ‘CSI 시리즈’ 가 떠올랐다. CSI도 하나의 살인 사건을 가지고 점차 범인을 찾아가는 짧은 단막극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딱 그런 느낌이랄까. 막 미친 듯이 글의 흐름을 따라가다가 어느 순간 딱 끝나버리는... 그래도 저자의 이야기 구성력이 역시나 좋은 듯 싶다.

 

각각의 이야기들은 상황이나 결말, 캐릭터들이 모두 제각각이라서 읽으면서 절대 지루할 틈은 없다. 한번 손에 쥐면 후딱 넘겨버린다. 어려운 문장도 없어 쉽게 읽힌다. 그것이 이 책을 읽는 재미중의 재미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난 장편이 더 마음에 들긴 하다. 긴장감이 확 올랐다. 뚝 끊어지는 것 같아서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역시 추리나 미스터리 소재들은 짧아야 하는지 길어야 하는지, 얼마만큼 끌어야 하는지, 끊어야 하는지가 진짜 중요한 것 같다. 저자들도 이런 고민들을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