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해적들의 상상력이 돈을 만든다 - 재미와 장난으로 시장을 혁신한 사람들
매트 메이슨 지음, 최지아 옮김 / 살림Biz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난 재미와 상상으로 대박난 해적들 이야기

 

가끔 보면 주변에 특이한 사람들이 더러 있다. 몸에 걸친 모든 색이 파란색으로 치장한 사람도 있고, 만화에나 있을 법한 애니메이션 복장으로 걸어 다니는 가하면, 남들과 다른 취미나 행동을 하고자 분주하기도 하다. 그들은 우리 세계에서는 일명 ‘또라이’, ‘정신 이상자’  , ‘사이코’ 라는 타이틀로 제 3세계로 분류된다. 그러면서 우린 획일화 되는 우리 사회를 자랑하며 함께 어울리는 사회, 모두가 평등 없이 멋진 사회를 지향한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런 몹쓸 틀을 지정하면서 그 속에 끼워 맞추라고 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얼마전 읽은 폴 존슨의 <창조자들>에서 나오는 위대한 예술가들도 그 시대에서는 ‘이단아’와 같았다. 하지만 결국엔 시대의 예술을 창조하여 지금까지 이름을 남길 수 있게 되지 않았는가. 그런 생각을 이 책을 바로 읽게 되었다. <디지털 해적들의 상상력이 돈을 만든다>는 그런 사회에서는 몹쓸 사람으로 치부된 한 무리들에 관한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이 책을 접하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은 이것이다. 왜 해적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까? 디지털세계에서의 해적이란 과연 어떤 존재를 말하는 것일까? 해적에 관한 정의는 책의 앞에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길모퉁이에서 불법 DVD를 판매하는 것과 같은 지적 재산권을 침탈한 행위를 한 자들을 일컫고 있었다. 절대적으로, 이런 행위를 하는 사람들은 마땅히 법으로 처벌당해야 한다. 하지만 상당히 놀랍게도, 저자는 바로 이 ‘디지털 해적’ 행위의 결과물들이 대부분 더 나은 방향으로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 나름 이들의 사업 확장으로 수많은 세계인들이 빠르게 정보들을 파악하고 흡수하고 전파해서 디지털 미디어 세계는 넓어진 것이라 한다. 이것을 어디까지 받아들일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저자는 시대가 거부하는 파격적 변신으로 새시대를 열고, 경제적 부를 가져오게 되었던 1850년대 펑크 트렌드와 그래피티 아티스트, 히피족 등에 대한 설명도 핵심 있고 논리적이게 설명한다. 아무래도 이런 과감성을 통해서 디지털 시대의 DIY가 이루어질 수 있지 않았나 한다. 하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이제껏 알고 있었던 디지털에 대한 사고를 과감하게 깬 글들이 유독 눈에 띄었다. 특히나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에 대해 철저히 비밀리에 쓰였던 것에 비하면, ‘오픈 소스 문화’는 상당히 놀라웠다. 오픈 소스 문화가 3D 프린팅의 잠재력과 결부되면 어떤 조직이나 아이디어도 살아 있는 유기체로 바꿔놓을 수 있다는 생각! 오직 이 책만이 할 수 있는 파격이지 않을까 한다.

 

정말 디지털 해적들의 행동들은 점차 강력해지고 있다. 오래전에 음원에 대한 지적 재산권 때문에 ‘소리바다’가 강력 조치되고, 각종 사이트에서 음악과 동영상에 대한 저작권이 강화되고 있는 요즘, 이 책은 디지털화 시대에 우리가 무조건 막고 차단하는 것만이 전부인지에 대한 진지한 성차를 하도록 도와준다. 그들과 협력을 하여 경제적 부 측면으로 돌려서 생각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분명 오픈으로 통해서 분명 엄청난 창조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작년에 유행한 ‘빠삐놈’ (빠삐코 노래와 영화 놈놈놈 노래를 결합한 음악)을 실례로 생각해볼 수 있듯이 말이다. 더욱 더 커지고 있는 디지털 세계, 이 책으로 사고의 전환을 해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