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비
온다 리쿠 지음, 박수지 옮김 / 노블마인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날갯짓을 하는 이상한 상상력 맛보기
창작의 고통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 가? 예술가들은 남과는 다른 ‘그 무언가’를 만들어 내기 위해 매일 밤낮을 창작의 고통을 일삼는다. 자신의 한계를 믿지 않고, 어느 시점까지 마구 상상력을 퍼부을 수 있는지 시험한다. 그래서 지금의 예술 작품들은 거의 다방면에서 뛰어난 감각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즐겁게 즐기고 있지 않은가. 때론 비약적이고 가학적 이여서 당황하는 것 빼고는. 그래도 이런 기이하고 특이한 소재들을 접하는 것은 새로운 음식 맛보기 같은 기분이라 꽤 즐거운 경험이 된다. 온다 리쿠의 신작 <나비> 역시도 내게는 새로운 일본 음식을 먹어보는 듯한 자극이 되었다.
온다 리쿠는 상당히 유명하다. 이 사람 책이면 읽어야 해! 라고 생각되어지는 많은 일본 작가 중에서도 단연 ‘탑’급인 듯하다. 그런데 부끄럽게도, 난 <나비>를 그녀의 처녀작인 것 마냥 처음 접하였다. 남이 좋다고 하면 일단 한번 슬쩍 해봤어야 하는데, 읽어야 할 책들이 산더미야, 라는 말로 미루어두고 있었다. 그래서 내가 읽은 이 책이 내겐 온다 리쿠에 대해 처음 자극받는 소설임을 생각해야 한다.
이 책은 총 15편의 기이한 단편 소설들이 뭉쳐서 무거운 날갯짓을 하는 나비이다. 마을 땅속에서 거대한 돌 손이 나오는 이야기인 ‘관광 여행’, 로봇과 스페인의 이끼와 어린 소녀의 끔찍한 추억이 함께 엮이는 ‘스페인의 이끼’, 동서로 나누어서 대결하는 엉터리 이야기 ‘다리’, 기발한 상상력의 세 남매의 ‘저녁식사는 일곱 시’, 달팽이가 몰아닥칠 것 같으면 어김없이 울리는 ‘달팽이 주의보’ 그리고 내가 싫어하는 장르인 공포 장르인 ‘틈’ 등 SF, 판타지, 미스터리, 공포 등의 다양한 장르화에 치중하며 자신감 있게 단편들로 승부를 건다. 하지만 이 소설을 맘껏 즐길 틈도 없이 또 다른 상상의 배에 갈아타야 하는 독자의 맘이란, 먹다 만 초코 케이크를 뺏어가는 것 같았다. 달콤 쌉싸래한 여운의 기분이 단편이 끊어질 때마다 느끼곤 했다. 단편소설 모음집이란 늘 이런 기분이 들긴 하다.
첫 테이프를 가볍게 끊어준 ‘관광 여행’에서의 기이한 사건들은 새벽부터 저녁까지 모든 생명들이 훌훌 퍼레이드를 떠난다는 ‘생명의 퍼레이드’에 이르면서 완전한 빛을 발한다. 이런 기가 막힌 상상력은 대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이것이 진정 많은 팬들을 거느리게 된 온다 리쿠의 특유의 매력이지 않을까 한다. 이만큼 이상한 생각을 하기도, 이만큼 특이한 소재를 사용하기도 정말 힘들지도 모르겠다. 읽고 나니 하늘에서 무언가가 툭 떨어져서 나랑 놀자 할 것 같기도 하고, 갑자기 테트로도톡신을 연발해야 할 것 같기도 하다. 어떤 식으로든 나도 주변의 사물들을 보통의 시각으로 보면 안 된다는 쓸데없는 오기마저 생겨 버렸다.
그래도 최근에 만난 단편집 중에선 가장 읽는 재미가 좋았다고 할까. 이렇게 허무맹랑 황당무계 기상천외한 소재들을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내는 소설들을 좋아해서일지 모르겠지만, 다양한 소재들을 쉴 새 없이 연발하는 그녀만의 상상력에 감탄한 좋은 계기였다. 이 책으로 난 그녀의 책을 꼭 읽어봐야 할 소설로 생각하게 되었다. 내게도 이런 상상력의 나비가 찰싹하고 붙어있었음 좋겠다. 타고 다니며 여행을 다닐 정도로 키워줄 텐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