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의 숲에서 고전을 만나다
모리야 히로시 지음, 지세현 옮김 / 시아출판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선인들의 지혜를 통해 세상을 알아가다

 

우리는 불황이 점점 잦아지고, 혼돈이 거듭된 세상을 만났다. 꽤 오래전 고전이라 불리던 시대 역시도 전쟁이라는 틀 속에서 갇혀 보이는 혼돈이 가득했지만, 지금은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 인간미가 흔들리고 있는 것 같다. 그런 생각이 든다. 분명 개성과 독립성을 부단히도 강조하면서, 너도 없고 나도 없는 아이러니함 속에서 살아가는 느낌이다. 그래서 언제 무엇을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항상 고민하고 또 고민한다. 사람을 만나서 인간관계를 맺을 때에도 그렇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식이란 가면을 쓰고 로봇처럼 생활해야 할 때에도 그렇다. 자유는 있지만 지혜는 없다. 그것을 배우기 위해 이 책 < 지혜의 숲에서 고전을 만나다 >를 읽었다.

 

사람 때문에 울고 울었던 적이 많았다. 강한 마음의 소유자가 되고 싶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서 울음으로 나를 채웠다. 그런 마음을 알아주는 걸까. 이 책은 살아가면서 우리가 잃어버렸던 많은 것들을 찾게 도와준다. 그 많은 것들이란 매우 거창한 것이 아니다. 인간관계를 이끄는 지혜, 리더로써 사람을 쓰는 법, 일상에서의 소소한 지혜, 특정 상황에 처했을 때 대처하는 지혜, 인생 자체를 위한 지혜, 세상을 현명하게 사는 지혜까지 거의 모든 지혜를 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내용을 갖고 있는 만큼, 그만큼 짧게 구성되어 있음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특별히 마음에 드는 것은 명품 ‘고전’에서 배운다는 것이다. 우리는 가끔 책을 읽다가 공감 가는 구절이나 감동적인 문구 등을 노트에 담거나 블로그에 옮겨놓는 등의 작업을 하는데, 바로 이 책이 딱 그렇다고 보면 좋을 것이다. 채근담, 역경, 논어, 손자 등의 고전에 나온 가르침의 문구들을 현재 우리의 모습에 맞추어서 간략하게 소개했다. 그래서 읽는데 부담은 전혀 없다.

 

오히려 내가 고민했던 상황들이나, 어쩔 줄 몰라 했던 일들에 이렇게 했었어야 하는데 라는 공감대가 생겼다. 예를 들어 채근담의 ‘ 다른 사람의 잘못을 꾸짖을 때는 극히 엄하게 하지 마라 ‘라는 구절을 활용하여 타인에게 충고를 할 경우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나의 아래 사람인 동생들이나, 자식들, 후배들에게 어찌 대해야 하는지 깨닫게 해주었다. 그리고 벗과 사귈 때에는 약 30%의 의협심만을 가질 것을 말하는 것과 내가 정말 좋아하는 말인 ’구일신 일일신 우일신‘ 즉 나날이 새롭게 해야 한다는 것 등 주옥같은 글들이 나를 기쁘게 하였다. 이렇게라도 읽으면서 나를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래서 고전은 진짜 고전이 되는 것이 아닐까.

 

마지막엔 이 챕터를 명심하면서 책을 덮었다.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는 핵심을 파악하라’. 송나라의 정이천이란 대학자가 제자에게 그렇게 말했다 한다. 책을 말하고자 하는 핵심을 간파하지 못한 상태로 많이 읽으면 책방 주인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말을 보고 내 주변의 책들을 둘러보았다. 내가 저 많은 책들 중에서 과연 몇 권을 내 것으로 만들었을까? 이 책을 읽는 독자들도 이 부분에 대해 크게 공감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