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드라마 한 장으로 보는 지식 계보도 1
최복현 지음 / 풀로엮은집(숨비소리)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완전한 복합체, 신들의 영역을 탐하다


일전에, 로마를 다녀온 적이 있었다. 로마는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유물이 그대로 살아있어서 움직이는 역사의 현장 그 자체였다. 시대를 초월하여 우리에게 가장 강력한 문화를 자랑하는 고대그리스, 로마 문화야 말로 인간이 얼마나 신의 세계를 탐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어릴 때부터 제우스와 그의 가족들 이야기를 재미삼아 배웠는데, 이젠 더 깊게 이해하고 싶어졌다. 인간들의 상상력에서 만들어진 그리스 신들의 이야기. 하지만 그 신들로부터 인간이 탄생했다고 여겨지는 알 수 없는 미묘한 스토리텔링의 매력. 그들을 파헤쳐 봤다.

 

<신화 드라마>. 제우스의 가족을 알고 싶다면, 또 어떻게 신의 이야기가 탄생하게 되었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은 아주 좋은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한 장으로 보는 그리스 신화  계보도를 제공한다. 엄청나게 복잡하고 시끄러운 신의 세계를 체계적으로 쭉 적어놓은 것이랄까. 누구누구는 형제이며, 딸과 아들은 누구인지만 적혀있는 거대한 가족 계보이다. 하지만 덕분에, 신화와 관련된 책을 읽을 때 마다 궁금했던 신들의 관계를 찾을 수 있어서 (사실 쉽게 찾지는 못한다. 워낙 방대한 신들이 적혀있다.) 신화 이해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단순하지만, 지도가 나에겐 젤. 마음에 쏙 드는 부분이었다.

 

저자는 인간이 신을 불러들였다고 말하면서, 인간의 머릿속에서 탄생한 세계일 분이라고 말한다. 그래도 우리는 이 이야기 속에서 슬픔과 기쁨, 사랑과 고통의 인간 본연의 감정들을 읽고 있지 않은가. 좀 더 읽어보기로 했다. 3의 배수 이야기도, 그리스 신화가 네 종류로 되어 있다는 것도 생소한 지식이었다. 냉큼 이런 지식들을 머리에 담아두는 것을 좋아하는 터라 이 책이 그동안 읽었던 신화에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신화 자체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태초의 신인 카오스와 가이아를 논하고, 정통 신족에 속하지 않았던 밤의 자식들이 정리를 깔끔하게 해준다. 정말 이건, 딱 가족 계보를 차근차근 정리하는 책이 틀림없다. 제 3세대 신들인 올림포스 12신과 제 4세대 신들인 제우스와 형제자매들의 자손들까지 복잡 다양한 온갖 신들이 등장하여 정신이 하나도 없다. 어려운 이름들 하며, 엄청난 가족들.. 이것을 지어낸 고대 사람들이 난 더 신기하기만 했다. 역시 가장 재미있는 이야기는 인류 최초의 여자 판도라와 인간 세계에 가져다 준 불행의 씨앗이 아닐까. 또한 이 속에서 우리는 희망이라는 가장 강력한 무기를 얻기도 했다. 이런 신화를 통해서 인류의 공식을 만들기도 하고, 우리의 삶에서 잃어버린 감정들을 찾기도 하는 것 같다. 그래서 신화는 더 재미있다. 혹시나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사랑의 신 에오스가 화살이라도 날려줄 것 같은 상상이랄까.

 

아무튼, 이 책은 신화를 복잡하고 어설프게 알 던 사람들에게 정리를 해줄 수 있는 교과서적인 책이란 느낌이 든다. 그래서 나도 조금은 정리를 할 수 있게 되어 다행이란 생각을 했다. 이대로 신화를 가지고 이야기로 만들어보고 싶은 재미난 상상을 하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