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쿠바에 가면 쿠바가 된다 - 진동선의 포토에세이
진동선 지음 / 비온후 / 2009년 1월
평점 :

진정한 색의 향연, 나도 쿠바가 되어버린다.
사람들은 언제나 일탈을 꿈꾼다. 어딘가로 훌쩍 떠나면 현재의 답답함을 벗어던질 수 있을 것 같고, 세상과 타협하지 않은 낯선 아름다움이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멀리 푸른빛으로 술렁이는 달콤한 바다의 춤을 보고 싶기도 하고, 그늘진 분홍빛 카페테리아에 앉아서 지나가는 행인에게 눈웃음을 펴보고 싶기도 하다. 그것이 여행의 참맛이 아닐까. 그런 만남을 찾아 떠나는 여행 책들은 언제나 반갑기 그지없다. 내가 직접 가지 못함을 알고 내 마음을 고스란히 나룻배에 태워 세계 곳곳을 누빌 수 있게 해준다. 이번에 만나게 된 책은 여행자들이 많이 찾지 않는 곳, 오히려 다른 것으로 더 유명한 쿠바를 만나는 <쿠바에 가면 쿠바가 된다> 이었다. 제목에서 느껴져 오는 '일심동체'의 향연이 얼마나 멋질지 기대되었다.
틈만 나면 카메라를 들고 훌쩍 여행을 떠났다는 저자이자 사진작가 진동선님은 확실히 사진 분야의 전문가다웠다. 단순히 멋진 사진을 찍는데 그치지 않고 그 사진에 깊은 의미를 두고, 그 안에서 심오한 글들을 뿜어내었다. 어떠한 소설가, 에세이 작가보다도 뛰어난 문체로 나를 당혹스럽게 하였다. 이 책을 보았을 때에는 단지 쿠바를 설명하고, 쿠바의 모습을 담은 사진첩정도로 착각을 했었다. 하지만 책을 펼친 후에 다가오는 시선들과 색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쿠바의 도시 '올드 아바나'와 '트리니다드' 도시 전체가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는 사실도 처음 알게 되었다. 왜 나의 좁다란 지식 창고엔 쿠바란 우리와 야구 한판을 붙는 나라, 체 게바라가 있는 나라, 그리고 공산당이 존재하는 나라인 것만 가득 차 있었는지, 그 창고를 싹 비워야 할 참이었다.
특히나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색과 빛에 대한 저자만의 스토리가 아닐까 한다. 쿠바를 이해하고 사랑하려면 쿠바의 색을 사랑해야 한다고 말했듯이, 책에 담긴 사진들은 하나같이 완벽한 예술품 같았다. 분명 올드하고 뿌옇고 지저분한 거리와 건물들인 것 같은데, 작가의 사진으로 탄생한 수많은 예술들은 이 세상 그 어디보다도 빛나 보였다. 시간의 바다를 만들고 있는 사람들과 그 앞에서 사랑을 나누는 연이들과 더 이상 혁명이 없는 혁명 광장들이 근사해 보였다. 원채 세상의 모든 색감들에 민감하게 구는 나로서는 색에 대한 예찬과 색을 보는 그 시선을 닮고 싶었다. 깊은 어둠이 늘 빛나는 햇살로 구원되듯, 세상의 모든 빛과 색을 담아내고 싶다는 욕심도 생겼다.
지금 있는 카메라로는 부족할지 모르겠다. 내게도 사진은 멋쩍은 하나의 취미생활이고, 색은 컬러리스트 자격증을 딸 정도로 집착하는 매개체인 만큼, 나도 쿠바가 되고 싶었다.
그래서 이 책이 너무 마음에 든다. 다른 어떤 여행의 책보다도 깊이가 있다. 어둠과 밝음이 하염없이 공존하는 아름다움이 서려있다. 그리고 작가의 놀라운 감각이 당혹스러울 정도로 매력적이다. 겉모습만 보고 소홀하게 대했던 내가 부끄러울 정도였으니, 알만 하지 않을까. 한 글자 한 글자 도저히 버릴 것 없는 책, 정말로 흔치 않은 것 같다. 쿠바와 몸을 섞은 감성이란 절묘한 표현이 기막히게 어울리는 책, 그리고 내 가슴을 기어이 울린 책, 이 책에 깊은 감사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