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생명체를 찾아서 과학과 사회 2
프랑수아 롤랭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별이 빛나는 하늘의 또다른 우리에 대한 탐구

 

  문득 영화 한편이 생각난다. 오래전에 본 조디 포스터 주연의  <콘택트> 라는 영화가 있었다. 그 영화의 주인공은 천문학자로써  외계의 신호를 쫓아 늘 분주하게 탐구하다가 어떤 특정 신호와 메세지를 발견하고 그것을 추격해 직접 우주로 여행을 떠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 것이다. 상당히 흥미로운 설정이 돋보였고, 진짜 블랙홀을 빠져나가 미지의 세계로의 탐험이 이루어질 것 같은 착각을 일으켰다. 사실 그 영화는 나 뿐만이 아니라 많은 관객들에게 '외계인'이란 진짜 존재하는 것일까라는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우리에겐 끊임없이 미스테리로 남아 있는  UFO와  신비의 흔적들인 '크롭 서클(미스테리 서클)'로도 흥분하기엔 충분하다.

외계에는 정말 우리말고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는것일까. 그것을 따라 <외계생명체를 찾아서>라는 책을 집어 들었다.

아주 아주 얇고 가벼운 책이지만 상당히 묵직한 과학적 탐구를 쏠쏠하게 그려내고 있다.

 

첫장부터 바로 시작하는 외계 생명체를 찾는 탐험. 그냥 마냥 우주는 크다, 우주는 우리 인류만 살기엔 너무나도 크다라고 알고 있었던 세계의 다수성에 관한 글이 적혀있다. 나는 항상 어딘가엔 반드시 존재하고 있다고 믿는 사람 중에 하나이다. 정말 우리만 살고 있다면 이 거대한 우주가 너무 아깝다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다. 지금 화성뿐 아니라 목성의 커다란 위성인 유로파나 토성의 목성 타이탄 같은 천체 탐사도 이루어지고 있다하니 분명 점점 더 엄청난 행성들을 탐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콘택트> 처럼 외계인과 교신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두번째 장은 이러한 사고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이라고 전한다. 초기 인류부터 우리는 태양과 달에게 얼마나 많은 이미지를 부여했던가. 그것들을 신격화 하고 하늘과 연결짓는 유일한 매개체로 보지 않았던가. 반드시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에서 우리는 이만큼 발전한게 아닐까 한다. 이 책에선 외계인들과 교신하려 했던 역사들을 상세하게 설명해준다. 아직은 한번도 발견되지 않은 '다른 어딘가에서 온 메세지'이지만 우리가 달 착륙을 시도했듯, 그리고 한국인 최초 우주인이 탄생했듯 분명 어딘가에서는 계속 우리를 향해 무언가를 보내고 있을 것이다.

 

이젠 시도로 끝나서는 안된다. 더욱 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것을 이 책 세번째 장에서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이제 슬슬 진짜  지구 과학과 만나는 순간이다. 과학을 좋아하는 나이지만, 어려운 건 확실히 사실이다. 생명체에 대한 분석은 과학적 사고로 풀지 않으면 다소 어려워진다. 그래도 그 과학의 소용돌이를 넘어 진정한 철학적이고 비판적인 물음을 던진다

 

" 외계 생명체가 있을까 ? "

 

어떻게 생겼을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지 끊임없이 탐험하는 우리 지구인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럽우주국의 다윈 프로젝트와 미국항공우주국의 지구형 행성 탐지기를 넘어 적극적인 인류 탐험의 자세로 우리의 친구들을 만날 준비가 되어있다. 다만 '인디펜던트 데이'와 같은 외계 생명체들이 우리를 파멸시키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얇지만 상당한 과학과 상상력으로 무장한 책, 가벼이 읽어봐도 상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