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혼 2 - 오랜 잠에서 깨어날 것인가
김상대.성낙희 지음 / 청울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 세월의 흔들림 없는 언어의 명품

 

  논어. 오랜시간 우리의 곁에서 흔들릴 때마다 잡아주는 한 편의 명작. 그것은 동양 고전의 황금이자 영원한 원점이다. 동양인에겐 공자의 말씀이 한결같에 진지하고 고풍스럽게 다가 왔었다. 이상하게도 아주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모든 이들은 마음속에 또는 책 속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가르쳐주고 있었다. 그래서 논어는 어려우면서도 친숙하다. 쉬우면서도 복잡하다. 그것이 논어인 듯 하다. 그냥 우리 삶 그 자체를 말하고 있는 것 같은데도 막상 이해할려고 애를 쓰다 보니 더 어려워지는 것 같다.

 

  이 책 '논어의 혼2' 은 그런 의미에서 논어를 읽는 느낌과는 매우 다르다. 논어는 공자가 말씀하신 말 그대로를 담고 있는 반면에 이 책은 저자인 김상대, 성낙희 두분이 논어의 한 구절 한 구절들을 아주 여유롭고 익숙한 느낌을 받도록 설명을 해준다. 어찌보면 무척 짧은 한 마디에서 저렇게 긴 이야기들을 말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논어를 풀이한 책들은 많지만 사람다운 삶에 대해 익숙하게 말해 주기는 어려운 것 같다. 다행이도 이 두분의 말솜씨는 우리에게 친숙한 말투와 단어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목에서 오는 철학적인 복잡함과는 의외로 거리가 멀다. 무척 기쁜일이 아닐 수 없다.

 

  첫 시작부터가 사로잡았다.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사무사(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思無邪) 란 말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시경의 시 3백 편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생각에 그릇된 점이 없는 것이다.' 라고 할 수 있느리라 라고 하셨다는 뜻이다. 내가 누군가에게 "넌 정말 예쁘다"라고 말한다면 그건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진실이라는 것이다. 보편적인 원리가 아닌 자신의 생각이고 자신의 관점이다. 그것이 담겨있는 것이 시일 것이다. 시는 그저 말장난일 뿐, 누구를 가르치려고 하지도 않고 단순함으로 일관하려고 한다. 자신이 느낀 그대로를 압축된 말로써 표현하고 싶을 뿐이다.

 

  이런 공감대는 어디에서도 느끼지 못했다. 어릴 때부터 시를 좋아해서 시 읽기를 즐거워 했고, 또한 시 짓기를 즐겼다. 잘하는 것은 아닌데도 왠지 압축된 묘한 언어에 매력을 느꼈다. 시인이 느껴지기 보다는 그 표현 자체가 아름다웠던 것 뿐이다. 그냥 느낌 그대로..그 상태 그대로 머리를 쓸 필요도 없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내기 때문이였다. 그것이 공자의 말씀이였다는 생각에 너무도 깜짝 놀랐다. 책에서 술술 표현해준 말들은 정말로 논어가 나의 혼을 쏙 빼가는 것과 같은 매력을 느꼈다. 제목도 그랬던 것일까.

 

  그 말씀 뿐만이 아니다. 아주 길게 풀이한 "열 다섯살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에서 일흔 살에는 마음이 하고자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부분의 말씀도 이렇게 깊게 알게 될 수 있다니 상당히 놀라웠다. 이 책을 읽기전엔 이 말씀이 그저 자신은 이만큼 성숙한 사람이다라는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이 책 '논어의 혼2'에서는 아주 깊고 진지하게  파고 들고 있다. 또한 혁신적인 사상이라고 일컬여지는 '옛것을 버리고 새것을 알면 스승이 될 만하다"란 공자의 말씀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안그래도 집에 논어책이 있다. 살포시 어려워서 담아두고는 뚫어져라 처다보고만 있었는데 다시 펼쳐볼 수 있게 도와주었다. 고전 철학을 읽게 되면 사람의 시각이 달라지고 깊은 내면의 사상을 끌어 앉을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다만 아쉬움이 있다면 많은 풀이와 반복되는 말들로 5가지의 말씀에 대한 설명만 있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1,2,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니 궁금하면 다 사볼 수 밖에 없을 듯 하다. 철학을 읽는다는 것이 어렵지만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우리의 정신에 달려 있는 것 같다.이 책을 읽으라 권장하고 싶다. 나이가 더하면 더할 수록 소중한 의미를 되새겨서 내면이 꽉찬 사람이 되길 희망한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