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을 말해줘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사랑은 소리가 아닌 가슴이다.
그는 그렇게 말했을 것이다.
그의 마음은 벌써 이미 그녀의 마음에 고스란히 전해졌을 것이다.....
소리가 없는 삶이란 상상할 수 없다. 내가 가진 이 눈과 귀가 이토록 감사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싶었다. 하지만 그런 경우를 평생 배제하고 살 순 없다. 나에게 주어진 이 팔과 다리뿐만 아니라 온전한 모든 것들이 어느 순간에 아쉽게도 하나가 비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것을 이해한다는 것. 어려운 일임에도 작가는 그 사랑을 선택하였다. 작가 요시다 슈이치는 '악인'이후로 우리에게 주는 선물로 이와 같이 하나 모자란 사랑 '사랑을 말해줘' 을 선택했다.
"두 사람 사이에 대화가 없는데도, 신기하게 옆자리 여고생들의 대화가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우리가 조용하면 조용할수록 주위는 시끄럽게 느껴지는 게 당연할 텐데, 그녀와 함께 있을수록 주위의 소리는 사라져갔다. "
다큐멘터리를 만다는 일을 하는 하야카와 슌페이는 어느 날 우연히 공원에서 소리 없는 그녀 교쿄를 만난다. 그녀에게는 알 수 없는 묘한 매력을 느낀 슌페이는 그녀가 말을 하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장애를 갔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자신의 여자로 선택한다. 둘에게서의 대화는 구구절절이 읊을 필요가 없다. 변명도 없고 투정도 없다. 그들에게는 '미안해' ,'그래' , '물론이지' 란 짧은 말을 글로 적어서 표현하는 것만으로도 사랑을 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말이 통하지 않아서, 상대방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해서 헤어지는 연인들이 수도 없이 많은 것에 비하면 이 짧은 쪽지 속에서 서로에게 묻어나는 가슴 시린 사랑이 점점 나를 차분하게 만들었다. 이상하게도 사랑에 관한 소설들을 읽게 되면 아픔이라던가 안타까움이 너무 크게 작용을 했었는데 이 소설은 아주 부드러운 느낌이 강하다. 서로에게 전달되는 편지들과 엇갈린 만남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래도 시종일관 차분한 교쿄때문인 듯하다.
어째서 슌페이의 직업은 바비안 대불 폭파 장면 현장 등을 다루는 시끄러운 방송인 이였을까. 그에게 소음에 대한 혼란을 가중 시키고 툭하면 욱하는 악소리를 내는 캐릭터로 만들게 된 것은 의도된 시도였던 것 같다. 상대방과 소통하는 법을 이미 잊어버리고 산 것 같은 슌페이는 교쿄를 통하여 수많은 잡음들이 존재하는 우리의 말 세계들이 필요 이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말을 하기 전에 생각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즉석에서 내뱉기도 하는 경우가 다수 있어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고 나중에 후회로 남는 것에 비하면, 마음에서 우러나온 소리들을 생각으로 여과하고 글로써 담아내는 게 더 나을 수도 있음을 알게 된다. 그래서 때로는 전화로도 하고 싶지 않을 때에는 우리는 휴대폰의 문자라는 수단을 동원하여서 표현하고 있을 것이다.
둘의 사랑에서 느낄 수 있겠지만 인간관계에서의 소통은 확실히 어렵다. 말을 하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문제가 아닌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고 느낀다는 것이 정말 쉽지 않은 길이다. 진정으로 상대방을 배려하고 노력한 적이 얼마나 있었던가 하는 아쉬움이 절로 나오는 것은, 작가가 의도한 대로 그대로 내게 전해진 듯하다. 천천히 그녀를 통해 변해가는 주인공을 보면서 작게나마 연민도 느꼈지만 확실히 사랑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를 변화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훌륭한 매개체였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마음이 따뜻하다. 따뜻해서 사랑스럽다.
내가 이 책을 아니, 이 작가를 가장 맘에 들어 하는 것은 책속의 작가의 문체였다. 짧은 대화 글과 그들의 마음을 깔끔하고 조심스럽게 표현 한 것이 유독 눈에 띠었다. 그래서 저자의 유명한 책인 '악인'을 접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게 남았다. 당장에서 찾아보고 싶어졌다.
한때는 나도 편지쓰기를 사랑했는데 왜 지금 멈추어 버린 것일까. 집에 있는 수백만 장의 편지를 아직도 보관하고 있어서 느낀 것이지만 흘러간 말들에 비하면 편지에 담긴 곱디고운 문체들이 훨씬 더 오래 남는 사랑의 흔적인가보다. 이 책을 읽게 되면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거나 문자를 보내고 싶어질 것이다. 메시지는 모든 이들의 선택에 맡긴다. 마음이 전해지면 그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