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사 이야기 2 - 중세 시대에서 신세계 탐험까지 ㅣ 생각이 자라는 나무 14
W. 버나드 칼슨 지음, 남경태 외 옮김, 최준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세계사를 쫓아가는 즐겁고 쫀~득한 책의 여행~!
어느 날 엄마가 중학생이 된 남동생이 사회과목을 너무 못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얼마나 못하길래?!란 생각으로 동생을 데리고 국립 중앙 박물관을 견학을 갔다. 박물관을 둘러보면서 아주 기초적인 한국사에 대한 질문을 몇 가지 해보았다. 헌데, 웬걸. 동생은 정말로 기초적인 사회 지식이 상당히 부족해 있었다. 그래서 이래선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가장 손쉽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은 교과목보다도 딱딱한 역사책보다도 쉬운 것부터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선택한 책이 바로 이 책인 '말랑하고 쫀득~한 세계사 이야기' 이었다.
이 말랑하고 쫀득~한 떡과 같은 세계사 시리즈는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은 인류의 기원에서 고대 제국까지, 그리고 2권은 중세 시대에서 신세계 탐험까지. 3권은 산업 혁명에서 21세기까지이다. 그 중에서 선택한 책은 2권인 문명과 문명이 만나 대지에 빛과 어둠을 만든 시대적 배경을 다루는 이야기이다.
동생을 위해서이기도 했지만, 어릴 적부터 세계사, 한국사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정도로 무척이나 좋아했기 때문에 이 책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정 사이즈보다 다소 큰 사이즈인 것이 정말 알콩 달콩하게도 온갖 즐겁고도 신기한 이야기들이 가득 담겨 있었다.
1장인 중세 유럽부터, 이슬람 제국, 후기의 중국 역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태평양 지역의 모습, 마야와 아스텍까지 모두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탁월한 선택의 챕터인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로마 대 멸망 후 중세로 넘어오면서 벌어진 세계사는 다소 혼란스러운 발전과 파괴가 공존하는 시기였는데 이 당시의 각 대륙별로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특히나 곳곳에 담겨있는 그림들과 사진, 삽화들은 이 책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구성 요소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확실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꾸며진 책이라서 인지 쉬운 설명과 함께 그림이 아주 풍부하게 들어있기 때문에 세계사에 큰 걸음으로 성큼 다가갈 수 있는 유익하고 친절한 책이다. 이런 친구를 만나게 되니 나 역시도 새롭게 공부를 하는 기분이 들었다.
저자는 외국인임에도 후기 중국 제국 시대, 즉 당나라 멸망 후 5대 10국 시대와 송나라 시대를 설명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한국사, 일본사까지 첨부하여 혹시나 안 나오면 어떻게 하나 하는 아쉬움을 냉큼 없애주었다. 떼려야 뗄 수 없는 한 역사이기 때문이다.
또한 아직까지도 독특한 역사로 전 세계를 사로잡고 있는 페르시아인 들과 그들이 창조해낸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도 매우 큰 역할을 한다. 페르시아는 미묘하고 스산한 신비주의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슬람 제국 자체가 다소 생소한 측면도 있지만 동서양의 문화가 기묘하게 조합되어서 더욱 더 그런 빛을 발휘하는 것 같다. 그들이 철저하게 사생활을 보호했던 측면, 시신까지 해부하며 꼼꼼한 관찰을 했던 중세 이슬람의 의학 문화 등 이 책에 만날 수 있는 쌉싸래한 재미 요소이다. 놓쳐서는 절대로 안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가장 맘에 드는 역사는 마야와 아스텍 문화이다. 어릴 때부터 강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언젠간 이곳을 꼭 답사하여 영원한 미스터리의 역사를 내 눈으로 직접 보고야 말겠다는 꿈까지 키웠기 때문이다. 역시나 가장 화려하고 찬란한 문화 중 하나인 건축 예술이 단연 돋보인다. 독특한 문양의 건물의 입구인 코벨 아치와 같은 것은 이 책을 통해서 새롭게 알게 된 알짜배기 역사의 흔적들이다.
이처럼 독자가 이 책과 만나는 것은 몇 세기를 걸쳐 펼쳐진 지구의 수십 바퀴의 삶의 흔적이자 생생한 다큐 드라마인 것 같다. 특별히 어려운 말 풀이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령층을 구분 짓지 않고 모두가 사랑할 수 있는 상당히 유익하고 맛있는 콩떡과 같은 역사책이다. 제목 하나는 정말 기막히게 지은 듯하다. 동생도 이 책을 좋아하는 것 같아서 무척 흐뭇해진다. 나머지 권도 꼭 선물해주고 싶다. 일단 내가 먼저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