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다른 분의 리뷰에 댓글로 달았다가, 좀더 보충하여 제 블로그에 올립니다) 

"기차에 사람들이 많이 타고 있는데 선로에 있는 한 사람을 치고 지나가면 그들이 살 수 있는 경우에 치고 가는 게 정의로운가"
 
이렇게 샌들 교수는 묻는다. 
내게 떠오르는 생각은..
-------------------------------
그건 순간의 판단이겠지.. 그 찰나의 순간에 그 사람을 치고 지나가야 기차가 이탈하지 않을지, 치면 오히려 이탈할지, 멈추는게 가능할지.. 사람을 치기 전에 멈출수 있는지 없는지의 문제다. 물론 하나의 예인데..  

구제역 때 빨리 생매장하는 것이 사람들을 돕는다는 판단으로..
 
그런데 빠른 생매장이 도움이 되나?
문제는 다른 방밥을 시도하고 연구해볼 생각조차 않는다는 거고 
무조건 대량살처분한다는 거구..
그런 대량살처분을 지지할 수 있는 이유가 없다.
결국 올바른 판단과 진정성의 문제가 아닐지..

공리주의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위해서 소수가 어떻게 되든 상관않는다는 것이다.
소수자의 권리는 무시되어도 좋은가

소수가 어떻게 되는지 상관은 하지만,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선택해야 할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그게 얼마나 올바른 방법이고 가치있는 행복인지.. 진정한 행복인지..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지..
이런 고민들을 제대로 하고 하는 결정이 얼마나 되는가..

그러니까 이런 공리주의적 결정을 내리느냐 안내리느냐의 문제를 떠나서,
대부분의 중요한 문제는 진정성을 갖고 정책을 고민할 사람들이냐에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zzanga62 2013-02-24 0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이런 글도 썼었군.. ㅎ
 


12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잡초는 없다
윤구병 지음 / 보리 / 1998년 5월
9,000원 → 8,100원(10%할인) / 마일리지 4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1년 06월 25일에 저장

문제아에서 천재가 된 딥스- 세계명작 고 32
액슬린 지음, 유성재 옮김 / 효리원 / 1999년 10월
5,500원 → 4,950원(10%할인) / 마일리지 270원(5% 적립)
2011년 06월 21일에 저장
구판절판
숨 쉬는 도시 꾸리찌바- 페달을 밟아라 7
안순혜 지음, 박혜선 그림, 박용남 감수 / 파란자전거 / 2004년 6월
9,800원 → 8,820원(10%할인) / 마일리지 49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1년 06월 21일에 저장

내 손으로 하는 천연염색
정옥기 지음 / 들녘 / 2001년 2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11년 06월 21일에 저장
구판절판


124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살장 - 미국 산 육류의 정체와 치명적 위험에 대한 충격 고발서
게일 A 아이스니츠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누구나 꼭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zzanga62님의 "채식은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에 대한 저항의 일종"

아하^^ 사실 님의 리뷰를 보고 답글을 단 것을 나중에 리뷰로 올린 것이랍니다^^ '극단적 채식주의 휴머니즘은 동물 종이 아니라 동물 개체 하나 하나에 윤리를 적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것은 감정적인 차원에서는 옳고 박수를 얻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자연의 법칙에는 어긋난다. 실제로 야생의 동물들 중에서 편안하게 자기 수명 다 누리고 자식들 보는 앞에서 임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대개는 어린 동물일 때 또는 늙거나 병들어서 또는 재수가 없어서 더 큰 육식동물들에게 희생된다' 리뷰에 포함하신 이 내용을 보고.. 채식행위가 자연의 그러한 법칙을 모르고 선택하는 일이 아니란 것을 알리기 위해 답글을 단 것입니다. 전 사회적으로 고기 소비를 줄여야 할뿐 아니라, 나는 한 마리라도 극단적 고통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고기, 우유, 다단식 닭장에서 생산된 달걀 등을 먹지 않게 되는 것을 청교도적이며(그렇다 할지라도) 생태 근본주의라고 비판할 일일지요? 왜냐면, 한 마리 한 마리가 인간에 의해 죽는 한 순간이 아니라.. 평생 겪는 그 고통과 고문은 엄청난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물 개체 하나 하나에 윤리를 적용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생태계 보존 차원에서만 동물보호를 논해야 하나요? 그리고 당연히 도축 노동자는 하층계급과 이주노동자들 차지입니다. 그런데 왜 그 얘기를 제게 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zzanga62님의 "채식은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에 대한 저항의 일종"

아하^^ 사실 님의 리뷰를 보고 답글을 단 것을 나중에 리뷰로 올린 것이랍니다^^ '극단적 채식주의 휴머니즘은 동물 종이 아니라 동물 개체 하나 하나에 윤리를 적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것은 감정적인 차원에서는 옳고 박수를 얻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자연의 법칙에는 어긋난다. 실제로 야생의 동물들 중에서 편안하게 자기 수명 다 누리고 자식들 보는 앞에서 임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대개는 어린 동물일 때 또는 늙거나 병들어서 또는 재수가 없어서 더 큰 육식동물들에게 희생된다' 리뷰에 포함하신 이 내용을 보고.. 채식행위가 자연의 그러한 법칙을 모르고 선택하는 일이 아니란 것을 알리기 위해 답글을 단 것입니다. 전 사회적으로 고기 소비를 줄여야 할뿐 아니라, 나는 한 마리라도 극단적 고통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고기, 우유, 다단식 닭장에서 생산된 달걀 등을 먹지 않게 되는 것을 청교도적이며(그렇다 할지라도) 생태 근본주의라고 비판할 일일지요? 왜냐면, 한 마리 한 마리가 인간에 의해 죽는 한 순간이 아니라.. 평생 겪는 그 고통과 고문은 엄청난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물 개체 하나 하나에 윤리를 적용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생태계 보존 차원에서만 동물보호를 논해야 하나요? 그리고 당연히 도축 노동자는 하층계급과 이주노동자들 차지입니다. 그런데 왜 그 얘기를 제게 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