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한의 밥벌이 - 하루 한 시간이면 충분한
곤도 고타로 지음, 권일영 옮김, 우석훈 해제, 하완 그림 / 쌤앤파커스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우연도 연이어 발생하면 필연이라고 하던가?

농사 관련 체험과 더불어, 농사 관련 서적까지 접하게 되었다.

며칠 전 회사에서 모심기 행사가 있었고, 또 얼마 전에는 농부시인께서 좋은 강연 자리를 마련해주셨는데, 농부시인의 생활이 딱 이 책의 주인공과 닮아있었다. 한 명은 시인, 한 명은 작가. 두 분 다 글을 쓰시는 분들이다.

 

그렇게 이 책도 관심을 갖고 접하게 되었는데, 특히나 작가가 하루 1시간만 노동하고, 나머지 시간들은 좋아하는 글쓰기를 하며 보낸다는 것에, 호기심과 부러움이 공존했었다.

특히나 이 책의 노란 표지 속의, '시골에 피크닉을 온 듯한' 주인공의 모습, 나를 포함한 몇몇 독자들을 이 책으로 유인하는 데에 한 몫 했을 것 같다.  

 

ㅡㅡㅡ

 

일본 전통의 아사히 신문사 32년차 경력에, 오십대 중반인 곤도 고타로.

자의반, 타의반으로 무작정 농촌 생활을 하게 된 그는, 처음 접하는 농사임에도 열정이 넘친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홀로 시골행을 택한 그곳에서 살아남으려면 그래야만 했다.ㅠ

도시에서 자발적 아웃사이더를 자처했던 그가, 농촌에서 농사일을 도와줄 고마운 스승을 만나고, 근처 텃밭을 가꾸던 동료들과도 친해지면서, 점점 공동체의 일원이 되어가는 모습은 미소를 짓게 한다.

 

●특히 책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도시에서는 돈만 있으면 뭐든 할 수 있을지라도, 시골에서는 돈으로 안되는 것들이 있다'는 것이었다.

농촌에서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돈으로 무엇이든 구할 수 있다는 생각은 어리석은 것이라고 한다.

그보다는 서로 도움이 필요할 때, 일손을 나누고, 농작물을 나누는 증여 경제가 자연스레 통한다는 것!

 

●그리고 책에서 공감갔던 구절은,

"벼농사를 산업으로만 여겨야 하는 걸까?

논은 '상품'만 만드는 게 아니다. 블랙기업에 착취당하지 않도록 해준다.

... 누구든 상관없다. 초등학교 졸업 문집에 적은 장래희망을 좆으며 살아도 먹고살 수 있도록 해준다."

 

요즘같이 농축수산업 경제의 세계화가 너무나 빠르게 이뤄지는 세상에서, 우리는 식탁 위의 가공식품 하나에 수십개 나라의 이해관계가 얽혀있고, 수십개국의 원재료가 들어가있는 사실은 정작 잘 모르고 있다. 그만큼 식품의 세계화는 아주 소리없이 우리 식탁 앞에까지 다가와있다.

또 그만큼, 우리가 매일 접하는 음식들이, 어떤 환경에서 길러졌고, 어떤 경로로 내 식탁까지 놓이게 됐는지 속속들이 알기가 어렵다.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인데도, 우리는 그 음식들을 잘 모른다. 알고 싶어도, 그 이해관계가 너무 얽혀있어서 전문가 아니면 알기도 어렵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이익을 남기는 만큼, 성장할 발판을 마련할 수 있고, 자연스레 몸집을 불리고 싶어한다. 그런 분위기에서, 소비자는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관심을 갖지 않는 한, 영원히 을의 입장에서 어쩌면 기업에게 사육(?)을 당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비록 그는 '자기가 원해서' 소비하는 것이라고 여길지 모르지만, 우리는 기업이 내보내는 광고에 잠재의식적으로 분명히 영향을 받고 있고, 일부 사람들은 트렌드를 따르는 주위 사람들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는 게 현실이다.

 

 

○●

그리고 이와는 별개지만, 현대 사회의 바쁜 분위기 속에서 곤도 고타로 같은 귀농형 사람들이 생기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른다. (물론 곤도 고타로는 완전 귀농이 아니고, 오전 시간만 농사일을 하고, 나머지 시간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다.)

 

그리고 숨막히게 돌아가는 갑갑한 사회에서, 우리는 왜 평범한 직장인의 하루 9시간 노동이 당연하게 통용되는 것인지 생각을 해봐야한다.

인간은 꼭 일을 하며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인간에게 노동이란 피할 수 없는 의무일까?

더군다나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해가는 시대적 흐름에서, 우리는 어쩌면 그동안의 노동을 놓아버리고, 물질 만능주의 삶에서 탈피해서, 삶의 진정한 즐거움을 찾아가야 하는 건 아닐까?

물론 당장은 어렵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 당장은 어려워보이는 것(사회의 암묵적 동의, 관습)에서 탈피해서, 자기 삶의 즐거움을 직접 개척하고 살아간다는 점에서, 곤도 고타로의 삶을 많이 응원한다.

틀에 박힌 삶만이 아닌, 또다른 삶의 유형도 있음을 보여준 그에게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