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없는 독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일영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스기무라는 참 좋은 사람입니다. 누군가가 곤란을 겪고 있다는 게 느껴지면​ 그것을 그냥 지나쳐 가지를 못하는 그런 사람입니다.

"이렇게 복잡하고 번거로운 세상을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일도 없이, 때로는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대하거나 함께 사는 사람을 기쁘게 하거나, 적어도 세상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며 제대로 살아가"는 걸 보통의 평범한 사람이라고 믿는 참 좋은 사람입니다.

'스기무라'가 등장하는 미미 여사의 '행복한 탐정' 시리즈에서 두 번째 책입니다.

어쩌다 보니 세​ 번째 책인 "십자가와 반지의 초상"을 먼저 읽고 그 후에 첫 번째 시리즈인 "누군가"를 읽고 난 후입니다.

미미 여사가 인터뷰에서 밝혔듯이​ 앞으로 '행복한 탐정' 시리즈가 계속 이어진다니 하고 무척이나 기대가 되는 한 편 언제 그다음 편이 나올지 목이 빠질지도 모를 것 같기도 합니다. 기다리는 일은 늘 즐겁지만은 않은 일이기도 하니까 말입니다.

그래도 '행복한 탐정' 시리즈를 읽고 '스기무라'의 매력을 느끼고 난 후라면 ​힘든 기다림 후에 만나게 되는 그 기쁨을 충만히 즐길 수 있을 거란 희망도 가져봅니다.

'스기무라' 만큼 오지랖이 넓어 '이마다 콘체른' 본사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속속들이 알게되는 '스이렌'의 지배인도 함께 '기타미' 씨의 뒤를 이어 탐정 이야기로 나오면 재미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스이렌'의 지배인 역시 '스미무라' 만큼이나 정이 많이 가는 인물입니다.

소설은 산책을 나갔다가 편의점에서 사서 마신 우롱차에 든 독극물 때문에 ​'후루야 아키토시'가 사망을 하며 시작을 합니다.

상점에서 사서 마신 우롱차로 사망에 이른 네 번째의 사건입니다.

연쇄 살인인지 ... 모방 범죄인지 ...

사망사건이 발생하면 목격자가 없는 경우에는 당연한 일인지​ 모르겠지만 가장 먼저 의심을 받는 사람은 가족인가 봅니다.

그래서 아키토시와 관련된 사람들이 의심을 받게 됩니다.

책 제목 때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미미 여사를 이르며 사회파 미스터리라고 하는 부분과 함께 어쩌면 늘, 지금까지 미미 여사가 추구해왔던 이야기들은 사회에 흩뿌려져 있는 독에 대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이제서야 들었습니다. 혼자만의 생각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스기무라가 등장하는 소설뿐만 아니라 여러 소설에서도 그렇고 '사회파' 라는 그 이름 자체가 사회에 만연한 문제를 드러낸 것일 테니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소설 "이름 없는 독"은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독들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지 않습니다.

'새집증후군"이라 흔히 부르는 ​독과 택지 토양 오염으로 인한 독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지 않습니다.

이러한 독들은 이름이 있습니다. 그래서 발견을 해낼 수 있으며 제거를 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을 알 수 있으면 해결 방안도 빠르게 내놓을 수 있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인간이 만들어 내는 독은 그 정체를 알 수가 없기에 어떻게 그 독이 우리에게로 퍼져오는지를 가늠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내가 어떤 독을 주변에 퍼트리는지도 잘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스스로는 정당한 일을 할 뿐이라고 여긴 말과 행동이 다른 이에게는 독이 되어 그 사람을 병들게 할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

나 역시 상처를 입었을 때는 똑똑하게 알고 기억하지만, 나로 인해 누군가가 상처를 입은 것은 알 수가 없겠단 생각이 듭니다.

나는 좋은 마음이었거나 별생각 없이 한 말인데 그것이 상대에게는 화살이 되어 상처를 입히고 고통스럽게 만들어 아프게 한 적 많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그런 사소한 것들에서부터 인간의 독은 상해를 입히거나 목숨을 앗기도 하고 크나큰 고통에 빠지게 만들곤 합니다.

다른 사람의 목숨을 쥐고 흔드는 것이 가장 큰 권력이 아닌가 하고 소설에서는 이야기합니다. 금기의 권력이라고 ...

우리 사회에서 갑질 논란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떠돌았습니다.

지금도 결코 사라진 이야기는 아닐 테지요.

흔히 말하는 진상 손님에 대해 판매자들은 대항할 방법이 없는 듯합니다.

하지만 판매자 입장에서 느끼는 진상 손님의 갑질은​ 그 손님 입장에서는 판매자의 부당함에 강력한 혹은 일상적인 대처 방법일지도 모르겠네요.

양쪽 다 자신의 처지에서 그 상황을 봐서 그렇겠지요?

상대방을 늘 배려하고 이해할 수는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내가 당했다는 의식이 들어서 일까요?

내가 왜 손해를 봐야 하느냐?는 생각에서 그런 걸까요?

어쩌면 그런 일이 일어나기도 전부터 우리 마음에는 손해를 보면 바보다! 손해 볼 필요는 없다! 라는 마음을 새겨놓고 사람을 대할 때마다 그런 마음에서 나오는 전투적인 자세로 그 사람들을 대하는 것은 아닐까요.

​그래서 내 마음대로 혹은 내 뜻대로 상황이 돌아가지 않으면 바로 지금 내가 당하고 있나? 하는 기분이 드는 것은 아닐까요.

나 역시 그런 사람이겠지만, 세상에는 진상 손님에 대해 말하는 사람은 많지만 자신이 진상 짓을 했다며 자랑스럽게 말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판매자의 태도가 나빠서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게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인간이 품어내는 독은 역시 인간이기 때문에 만들어 내는 것이겠지요. ​

​그 독은 분명히 이름을 지을 수 없는 독입니다.

그 독의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해독할 수도 있을 때 즈음이겠지요. ​

 

 "옛날, 정글의 어둠 속을 누비고 다니던 짐승의 송곳니 앞에서 보잘 것 없는 인간은 무력하기 짝이 없었다. 하지만 어느 날 짐승이 잡혀, 사자란 이름이 붙여지면서부터 인간은 그 짐승을 퇴치하는 방법을 짜냈다. 이름이 붙여지자 모습도 없던 공포에는 형체가 생겼다. 형체가 있는 것이라면 잡을 수도 있다. 없앨 수도 있다.

나는 우리 안에 있는 독의 이름을 알고 싶다. 누가 내게 가르쳐다오. 우리가 품고 있는 독의 이름이 무엇인지를."​

 

 

'하시타테'의 이야기에서 마음이 너무 아팠습니다.

슬펐습니다.

할머니와 단둘이 살아가는 하시타테는 천식으로 몸이 허약하여 일반적인 사회생활을 하며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가 없습니다.

기껏해야 편의점 알바 같은 일이 주 수입원입니다.

할머니는 고령의 나이로 집 안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고 계십니다.

할머니 명의의 집을 팔기라도 하면 두 사람이 조금이라도 편하게 살 수가 있을 텐데, 집의 토양 오염으로 제값으로 집을 팔 수가 없게 되니, 할머니는 집을 파는 것을 거부하십니다.

집을 판매하려는 자들의 농간이라 생각하시는 것이지요. ​

그래서 하시타테는 할머니의 죽음을 생각해냅니다.

가족의 죽음을 생각해야 하는 ... 그 부분에서 너무 마음이 아파서 눈물까지 흘렀습니다.

왜 그런 나쁜 마음이 드는 것인지, 어떤 특정한 사람에게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그런 마음이 들 수도 있단 생각을 하니 도대체 내가 지닌 독은 얼마나 나쁜 큰 독일까 하고 ... 아팠습니다 ... 슬펐습니다.

하시타테는 또 다른 독을 품은 사람에게 이렇게 말을 합니다.

 "난 살인자입니다.

행복이 맥없이 무너져 버린다는 걸 난 압니다. 무너진 적이 있으니까요.

그런 짓을 저질렀을 때 나는 옳은 일을 했다고 생각했었죠.

나는 너무 화가 났었으니까요.

이 세상 모든 것에 화가 나서 내겐 그럴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죠. 전혀 망설이지 않았습니다.

누가 되건 상관없었죠. 누가 죽건 신경도 쓰지 않았어요. 나는 이렇게 괴로우니까. 남들도 나처럼 괴로워진다고 해도 상관없지 않느냐. 그게 무슨 문제냐.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생각이었습니다.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다고 해 봐야 아무것도 달라지는게 없습니다. 난 전혀 기분이 풀리지 않았어요.

당신이 무엇 때문에 화를 내고 있는지, 스기무라 씨에게 어떤 원한이 있는지 난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짓을 해 봐야 아무 소용없다는 건 잘 압니다. 그만 하는 게 좋아요.

스기무라 씨의 딸을 해쳐도, 스기무라 씨를 괴롭혀도 당신에겐 달라질 게 아무 것도 없어요. 다만 당신도 나 같은 심정이 될 뿐입니다. 분명히 그렇게 될 겁니다. 그렇게 되면 도저히 돌이킬 수가 없게 됩니다.

나는 살인자입니다.

살인자라서 살인이 얼마나 덧없는 짓인지 압니다. 당신은 그렇게 되면 안 됩니다. 아직 늦지 않았어요. 그만 하세요. 부탁드립니다" 

 

 

어렵지만 그래도 살아야겠지요.

세상의 많은 것들이 내 뜻대로 되지 않고 내 편이 아닌 것 같다 하더라도, 그래도 독기로 세상을 대하지 않고 살아야겠지요.

​내가 독기를 드러낸 만큼 상대도 독기를 품게 될 수 밖에 없을테니까요.

오늘은 어제보다 하루만큼 더 다정해지는 그런 날이면 참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