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 역사, 형식, 이론 북캠퍼스 지식 포디움 시리즈 1
한스 포어랜더 지음, 나종석 옮김 / 북캠퍼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주주의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민주주의를 이룬 이후에, 이에 대한 강조보다는 어떤 불가침의 영역으로써 당연히 지켜져야하는 당연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당연한 것에 대한 당연하다는 생각으로 그것에 대한 설명이 종종 어려울 때가 있다. 민주주의가 지켜지지 않거나 훼손되었다고 느낄 경우에도 너무 당연하게도 이에 대한 기본적인 반감과 분노가 치밀지만 그걸 설명해본적도 생각해본 적도 없다.

이 책의 서두에서 밝히듯, 이 책은 민주주의가 어떤 규범적 이상으로써만 작동하는 것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고 했다. 그래서 경험적 개념으로써, 이 얇은 책은 감히 민주주의의 역사부터 훑어준다.

민주주의의 문제라고 한다면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여전히 세상에서 가장 많이 '주장'되어지는 개념이다. 실제로 그 이상 아래에서 여러 가지 큰 사건들이 있어왔고 현재도 진행형이다. 그래서 잠시나마 그 개념적인 상술부터 경험적인 내용들을 읽어보면서 민주주의란 무엇인지 고민해볼 수 있었다.

책은 생각보다 얇다. 이렇게나 거대한 담론을 담아내기에는 사실 얼마나 두껍냐는 중요하지 않을 것 같다. 수십 수백권의 책으로도 모자랄테니, 이후의 독서는 우리에게 달린 것이다. 인간의 역사는 지구의 역사에서 굉장히 짧은 순간이라고 했다. 그렇게 짧은 인간의 시간 속에서 민주주의는 더욱 짧다. 그 대체나 대안이 무엇이냐, 그리고 언제 나올 것이냐에 대해서는 잘모르겠지만 그 자체가 가지는 당연한 규범에 대해서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통하는 그런 관념이 존재하기는 힘들 것 같다. 다만, 그 토대가 민주주의냐 아니냐에 대해서는 크게 고민할 필요 없이 답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역사적이며 이론적인 내용은 사실 조금 지루하기도 하고 다른 책들을 찾아서 읽어볼 엄두가 안나는게 사실이다. 당분간은... 이보다는 조금 가벼운 책들을 읽어야겠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느낀 점을 쓴 글입니다>

#민주주의 #한스포어랜더 #북캠퍼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