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의 언어 - 찰스 다윈부터 블라디미르 나보코프까지 나비 덕후들이 풀어낸 이상하고 아름다운 나비의 비밀,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도서
웬디 윌리엄스 지음, 이세진 옮김 / 그러나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비는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곤충이라고 한다. 아마 대체로 그럴거 같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곤충을 좋아하지 않는다. 어릴 때는 몰라도 성인이 되어 가면서 말이다. 곤충이 싫은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나도 곤충을 싫어한다. 다만, 그나마 덜 싫은 곤충이 있다면 너무 작아서 그 자세한 모습이 보이지 않는 녀석들이거나 나비 정도일 것이다. 나비는 가까이서 자세히 살펴보더라도 크게 부담스럽지 않다. 그리고 멀리서 보면 반갑기까지 하다. 이쁘니까.

이 책은 나비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나비의 생태학사라고 할 수 있는데, 책 속 인물들은 흔히 말하는 덕후들이다. 엄청난 집념으로 나비에 일생을 바친 사람들이다. 예전에 한 다큐에서 곤충표본을 수집하는 문화를 본 적이 있다. 이 책의 나비덕후들도 나비표본에 그야말고 엄청난 집착을 보여준다. 집착의 대상이 우연히 나비였던 것 뿐인게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그건 뭐 중요하지 않다. 그들 덕분에 우리는 나비에 대한 많은 것들을 알게되었고, 과학의 발전에 기여했던 그들이니까.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큰 의문은 그것이었다. 사람들은 왜 나비를 좋아할까? 나는 나비가 예뻐서 좋다. 그렇지만 자연 속에 예쁜 대상은 많다. 곤충으로 한정 짓더라도 그게 꼭 나비일 필요는 없다. 그러다 든 생각이다. 나비는 예전에 참 흔했는데. 요즘 나비 보는게 쉽지가 않다. 그래서 어쩌다 한 번 마주친 나비가 그렇게 반가울 수 없다. 물론 책에서 얘기하는 과거 유럽의 나비덕후들에게는 해당되지 않겠지만, 적어도 요즘 우리들이 나비를 반가워하는 이유는 이게 아닐까 싶다.

덕후들의 이야기는 굉장히 흥미롭다. 이 책은 나비에 광적인 집착을 보인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그 이야기 하나 하나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나비는 벌처럼 꿀을 빨아먹지 않는다는 점, 애벌레 시절 축적했던 수액의 독성으로 천적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등 나는 나비비덕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느낀 점을 쓴 글입니다>

#나비의언어 #웬디윌리엄스 #그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