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유토피아 - 에덴의 기억이나 예감이 없다면 숨을 쉬는 것도 형벌이다
에밀 시오랑 지음, 김정숙 옮김 / 챕터하우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덴의 기억이나 예감이 없다면 숨을 쉬는 것도 형벌이다. 이 무슨 번역을 잘못한 게 아닌가 싶은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 무엇인지는 천천히 알아보자.

역시나 어렵고, 힘든 책이었다. 예상했던 만큼 힘들었다. 이 책은 굉장히 비판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는데, 철학자의 비판이니 만큼 그 비판하는 대상을 설명하는 것부터 심상치 않고 어려웠다.

먼저 시오랑은 자본주의 사회와 공산주의 사회를 비교함으로써 저신이 무엇을 비판하고자 하는지 소개하는 듯 했다. 그리고 이후에는 폭력적인 권력을 지녔던 폭군들에 대해 비판을 가한다. 이 두 부분에서 시오랑은 자유라는 것에 가치를 두는 구나 싶었다. 그 이후에는 미움으로 복수하는 우리에 대한 성찰이 이어지는데, 폭군에 대한 우리의 자세를 이야기하고 싶은게 아닌가 생각해봤다. 다음으로 유토피아, 이상사회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두 가지 부분, 동전의 양면을 이야기한다. 인간은 유토피아를 꿈꾸어야 한다고 말하며 행복은 꿈으로 갖게 되는 것이라 말한다. 이 부분에서 에덴의 기억이나 예감이 없다면 숨을 쉬는 것도 형벌이란 말에 단서가 잡히는 듯 했다. 그러나 시오랑은 유토피아에 대한 우리의 욕망에 대해서 동시에 비판한다. 유토피아가 그리는 사회는 인간의 냄새가 없다고 했는데, 악의 부재를 문제시 했다는 것이 새로웠다.

자, 어쨌든 시오랑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분명하다. 시오랑이 말하길 인간은 유토피아를 꿈꾸어야 한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유이다. 그렇기에 자유가 억압되는 유토피아는 꿈을 꾸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역사이지만, 우리가 경계하고 비판해야할 대상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느낀 점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