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엘리어트 파동이론 - 기술적 분석의 시작과 끝 월가의 영웅들 2
랠프 넬슨 엘리어트 지음, 김태훈 옮김 / 페이지2(page2)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전공은 아니지만 시계열분석이나 금융과 관련된 수업을 몇개 들어본 적이 있다. 다만, 내가 공부한 영역은 경제학이어서 그런지, 거시적인 내용들이 많았고 흔히 생각하는 주식시장이나 실용적인 금융과는 거리가 멀었다.

학부시절, 한 교수님은 미국의 유명 대학교에서 금융시계열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셨고, 프로그램매매와 관련된 모형을 개발해서 꽤 잘나가는 투자회사에서 일을 하시다 학교로 돌아오셨다. 그 분의 전공은 유가증권 매매와 관련된 모형을 개발하는 일이었고, 나름대로는 권위도 있으신 분이셨다. 그런데 그 분이 본인의 소개와 함께 수업 때 우리에게 당부하신 말씀이 있다. 본인은 꽤 유명한 학교에서 매매 모형을 개발하여 박사학위까지 가지고 있는데, 전재산에 가까운 돈을 본인의 모형으로 잃었다고. 이 쪽 세계는 우리가 배워서 아는 것과는 또 다른 영역이며, 많이 아는 것이 절대 독은 되지 않겠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이 스스로를 아는 것이라고. 그 수업 이후, 브라우니안 모션에 따른 랜덤워크 가설로 금융시장을 설명해야 한다고 줄곧 생각하고 있다. 즉, 추세나 기술적 분석 같은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역시 제대로 배우지 못한 어리석은 생각일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은 굉장히 비판적인 시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이른바 생각하는 독서가 자연스럽게 가능했다. 그래도 책 좀 읽었고, 공부 좀 했다고 말이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주식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초적인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기술적 분석은 이후에도 꾸준히, 지금도 수없이 연구되며 발전하고 있는데 이는 굉장히 당연하다. 이를테면 ai의 머신러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꾸준히 발전해나가야지만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책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서 쉽게 잘 설명하고 있다. 흔한 기술적 분석에 대한 책과는 다르게, 칼럼과 에세이 형식으로 자연의 법칙 등으로 읽기 쉽게 이야기 한다. 일단 기본적으로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피보나치 수열과 뗄 수 없고, 피보나치 수열은 토끼의 번식이라는 굉장히 흥미로운 소재로 설명할 수 있으니 말이다.

앞서도 얘기했지만, 기술적 분석은 특정 법칙으로 시장을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는 끝없이 현재 상황에 발맞추어 연구되어야 한다는 소리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소득을 얻을 수 있다면 쓸모가 있을 것이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고, 기술적 분석을 부정하면서도 나도 모르게 차트를 쳐다보고 있던 것을 반성하게 되었다. 기왕 볼거면 보다 체계적으로, 객관적이고 원칙을 가지고 차트를 쳐다볼 수 있도록 해야겠다.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느낀 점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