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와 성공의 인사이트, 유대인 탈무드 명언 - 5천 년 동안 그들은 어떻게 부와 성공을 얻었나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와 성공의 인사이트, 유대인 탈무드 명언(김태현)_리텍 콘텐츠

 

탈무드 명언에서 배우는, 스스로 깨닫고 실천할 유대인의 지혜

 

사람은 세 가지 이름을 가진다. 태어났을 때 부모가 붙여 준 이름, 친구들이 우애를 담아 부르는 이름, 그리고 자신의 생을 마감할 때 획득하는 명성이다(p.27)

 

부모님이 지어주신 내 이름과 친구들이 부르는 내 별명은 이미 있지만, 생을 마감할 때 획득하는 명성이라.. 나도 훗날 명성을 얻을 수 있을까 잠시 고민을 해보았다. 그리고 다짐했다. 세 가지 이름 모두를 갖고 생을 마감해야겠다고.. 인간은 영원히 살 것처럼 살기 때문에 죽을 때 후회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당장 내일 죽어도 여한이 없을 만큼 하루하루 오늘을 최선을 다해 살고 있는지 다시금 반성했다. 그리고 내일 당장 죽어도 후회 없이, 모두가 내 죽음을 애도할 수 있게 삶에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낯선 사람에게 친절히 대하는 것은 천사에게 친절히 대하는 것과 같다(p.35)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항상 미소를 잃지 않고, 전화를 받을 때도 한 옥타브 높게 받곤 해서 친절하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 편이다. 하지만 회사를 떠나 평범한 세상과 마주했을 때, 그때도 역시 난 한결같이 친절한 사람인가? 스스로에게 물음표를 던졌다. 그리고 한참을 대답 못하고 쭈뼛거렸다. 대답은 아니오였기 때문이겠지. 지하철을 타거나 버스를 내리면서 하루에도 수십 수백 명씩 마주하는 일상에서 과연 난 그들에게 친절했나싶었다. 굳이 친절을 보일 필요는 없지만, 정작 친절을 요구하는 상황을 마주했을 때 친절이 주머니에서 꺼내듯 쉽게 나올 수 있을까? 쉽지 않은 것 같다. 우리는 익숙한, 우리가 친절하게 대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만 친절하기 때문이다. 굳이 낯선 타인에게는 친절을 베풀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도 그랬고 그렇게 생각해왔으니.. 하지만 탈무드에서는 말한다. 낯선 사람에게도 친절히 대하라고. 그것은 천사에게 친절히 대하는 것과 같다고. 말처럼 쉽진 않겠지만, 오늘부터 친절을 하루 24시간 달고 사는 사람이 되어야겠다. 억지로가 아닌, 누구를 위해서도 아닌, 내 마음과 정신적 평화를 위해. 그리고 내 천사를 위해(아마 그 천사는 내가 보는 일 것 같다. 내 자신에게 떳떳한 사람이 되기 위함일 것 같다.)

 

한 개의 촛불로 많은 양초에 불을 붙일지라도, 처음 양초의 불빛은 흐려지지 않는다(p.52)

 

어릴 때 봉사시간을 채우려고 사랑의 집을 갔던 적이 있다. 장애인들 돌봄 시설이었는데 봉사를 할 때는 힘들었는데 막상 봉사활동을 끝내고 집에 갈 때 되니까 가슴이 먹먹하고 앞으로는 자주 와야겠다싶었다. 실천하기 전에는 몰랐던 것들인데 이런 것이 바로 나눔의 기쁨인가싶었다. 하지만 지금 그때의 그 나눔 정신을 잊고 지낸 것 같다.

 

이 책은 유대인 탈무드 명언이라고 하는데, 단순히 좋은 문구, 유명한 명언만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책을 한 페이지씩 읽을 때마다 명언 하나하나 단어 하나하나 나 스스로를 반성하고 뉘우치게 해주는 책이다. 참으로 많은 생각이 들면서 다시 인생을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느꼈다. 유대인들의 지혜란 바로 이런 것인가보다. 뭐해라 뭐해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깨닫고 실천하게 해주는 것 같다.

 

이 서평은 출판사 이벤트에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