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만에 배우는 경제학 수첩 - 바쁜 비지니스 퍼슨의 배움을 돕기 위한 경제학 교양 입문서
일본능률협회 매니지먼트센터 지음, 김정환 옮김, 이호리 도시히로 감수 / 미래와사람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0일 만에 배우는 경제학수첩(이호리 도시히로)_미래와 사람

 

30일 만에 배우는 철학수첩, 심리학수첩에 이어 이번에 경제학수첩까지 섭렵하게 되었다. 경제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깊게 공부해본 적이 없어서 이해를 못하면 어쩌나 걱정부터 앞섰는데, 확실히 30일 만에 배우는 시리즈는 교양입문서라서 그런지 쉽게 풀어서 이해가 잘되게 설명해준다. 약간 어려운 단어다 싶으면 각주가 항상 달려있어서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레 시선도 같이 따라 내려가, 각주를 같이 읽다보니 굳이 사전을 찾아가면서 책을 읽을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 대체 무엇을 위해서 경제학을 공부하는 것일까?

경제학이야말로 비즈니스 퍼슨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교양이며, 경제학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사이에는 큰 격차가 생긴다고 생각한다(p.5)

 

대학생 시절, 교양 과목으로 경제학 수업을 배운 적이 있었는데 기업을 운영하시는 회장님께서 교수님으로 계셔서 누구보다 가깝게 기업체의 시선으로 실용적인 경제학을 배울 수 있었으나 전공이 아니다보니 길고 깊게 공부하지는 못했다. 내가 그 분야에 조금 더 관심을 갖고 꾸준히 공부를 해왔다면, ‘지금보다는 더 넓은 시야를 갖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도 살짝 남는다. 하지만 경제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금융업이나 경영 관련된 일만 하는 사람들에게만 필요하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이 있었던 것 같다. 그렇게 세상을 살다보니, 어느 정도 기본적인 지식은 갖고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내가 지루한 학문이라고 여기던 경제학 책을 읽게 된 가장 큰 계기기도 하다.

 

독점 기업과 같은 수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카르텔’(p.78)

가끔씩 기업들이 담합을 해서 가격을 부당하게 올리는 등의 내용을 뉴스 기사를 통해 접한 적이 있었다. ‘카르텔이라는 단어가 그때 당시 조금은 생소했지만, 실제로 뉴스에서 보던 내용을 이렇게 책을 통해 접하니 뭔가 반갑고 친숙하며 아 이래서 사람은 배워야하는구나라고 새삼 깨달았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단순한 내용이지만,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차이에서 교양의 기본기가 나타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GDP(국내총생산) 내용이 나왔을 때도 몹시 흥미로웠다. 이익이 만들어졌어도 GDP에 포함되지 않는 것들과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지만 GDP에 포함되는 것 등이 모두 새로웠다. 평소 깊이 고민해보지도 않았고, 관심이 있지도 않았지만 막상 접하니 흥미로웠다. 이렇게 하나둘 교양을 쌓아가나 보다. 이 책으로 경제학의 기본은 어느 정도 다진 것 같으니, 이제 조금 더 용기를 내어 경제학 책을 또 접해봐야겠다.

 

이 서평은 출판사 이벤트에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