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도둑
마크 레비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따뜻한 바람이 불었다.

조금은 울었던 것 같기도 하다. 기대보다는 궁금증 때문에 집어 든 책이었다. 가볍게 읽기 나쁘지 않을 것 같아. ‘저스트 라이크 헤븐’이란 영화는 재미있게 본 것 같아. 자신의 아들을 위해 소설을 쓰기 시작한 사람의 글은 어떨까. 뭐 그런 것들이었다. 소설책을 고를 때 항상 먼저 작가에 대해 살펴보는데 특히 우연히 혹은 뒤늦게 글을 쓰게 된 사람들의 소설은 더 궁금해서 읽게 된다.

한 마디로 따뜻한 성장소설이다. 뜻하지 않게 요즘 성장소설을 많이 읽게 되는데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책들이 성장소설이라 그런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림자가 닿으면 상대 그림자의 말을 들을 수 있는 소년. 처음에는 그 특이한 능력으로 특별한 일을 겪게 되거나 판타지 같은 일들이 일어날 줄 알았다. 하지만 소설은 잔잔하다. 커다란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다. 소년에게는 고통스러운 사건들이 주변에 일어나긴 하지만 그것을 과장되게 표현하지 않는다. 소년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자신이 가진 능력을 차분하게 받아들인다.

소년은 성장해서 의대에 들어간다. 이십대의 그에게는 혼자 고향에 계시는 어머니가 있고 사랑과 우정 사이를 왔다 갔다하게 하는 소피라는 여자 친구가 있다. 그리고 둘도 없는 고향친구 뤼크가 있다. 그들은 힘겹고 고단한 의대생활을 하지만 틈틈이 우정을 키우고 추억을 만들어 나간다. 그리고 특별하다고 할 수 없는 상황들이 그들에게 펼쳐진다. 특별하지 않다는 것은 잘못된 표현일지 모른다. 모두의 인생은 하나하나 특별하기 때문이다. 지금 특별하지 않다고 말하는 이유는, 이들의 이야기가 소설 속의 이야기가 아니라 마치 고향에 있는 친구의 이야기 같고 오늘 점심에 같이 밥을 먹은 친구의 이야기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질감 없이 그들의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읽어 가게 된다. 아니 그들과 같이 파스타를 먹고 자동차를 타고 바다를 보러 간다.

소년이 특별했던 이유가 ‘불행을 느낄 수 있다는 거였’다고 이브 아저씨가 말을 한다. 자신에게 주어진 불행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불행까지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는 것. 그것이 그림자 도둑의 실체였다. 그림자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은 특별한 일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슬픔을 공감하고 도와주기 위함이었다. 어쩌면 그런 능력은 누구나 어느 정도 가지고 있지만 결핍되어 있는 사람도 많은 게 사실이다.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기. 그것은 자신에게 힘겨운 일일지 모르겠지만 주변의 사람들에게는 따뜻한 사람으로 보이게 한다. 소년은 그 능력을 제대로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이브 아저씨는 소년이 자신에게 했던 것처럼 이제는 다 커버린 소년을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 편지를 남긴다.

‘내가 나중에 행복해지는 것이 엄마의 가장 큰 바람이고, 내가 좋아하는 직업을 찾았으면 하는 것이 엄마의 소원이며, 내 인생에서 어떤 선택을 하든 내가 좋아하고 또 사람들이 나를 좋아해줄 수 있는 것이라면 엄마가 나에게 갖고 있는 모든 희망을 이루는 것’

이 소설은 어렸을 적에 부모의 이혼으로 아버지를 만나지 못하고 어머니와 단 둘이 살게 되는 한 소년의 성장기이다. 소년은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원망하고 동시에 절망하는 어머니의 슬픔을 위로하기도 하며 묵묵히 지켜보기도 한다. 가족이라고는 서로밖에 없기에 그들의 사랑은 더욱 깊다.

드라마나 다른 영화들에서 볼 수 있는 에피소드들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무한 반복되어도 지겹지 않은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다. 약간의 궁금증, 두근거림, 그저 미소, 그리고 약간의 슬픔, 마지막의 따뜻한 바람. 가슴이 살짝 아프지만 인생은 늘 그러함의 순환이라는 걸 느끼며 오히려 편안하게 책을 덮을 수 있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