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땡의 모험 1부 - 전8권 세트 땡땡의 모험 24
에르제 글 그림, 류진현 외 옮김 / 솔출판사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이 교양지'를 표방하던 소년중앙, 어깨동무, 새소년의 트로이카 시대는 "본격 만화잡지"를 표방한 보물섬의 등장으로 종말을 맞았다.

어차피 보지도 않을 잡스러운 기사들을 과감히 물리치고 두꺼운 책을 만화로만 꽉꽉 채운 보물섬의 출현은 혁명적인 사건이었다.

내가 땡땡을 처음 만난 것은 바로 이 보물섬에 연재되던 '땡땡' 시리즈를 통해서였다.

보물섬이 나온 것이 84년쯤이었으니 지금으로부터 20년이 훨씬 넘었는데, 땡땡 만화는 보물섬이 나오기 20년 전에도 그려지고 있었으니 시간의 간격이란 활자의 위력 앞에서는 별로 기력을 쓰지 못하는 것 같다.

아무튼 만화잡지로 보던 땡땡 만화가 단행본으로 다시 나온다는 것을 안 것은 몇년 전이다. 단행본을 세 권 정도 샀다가 옛날의 그 기분이 아니어서 구석에 처박아두었더랬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다시 읽고 싶은 마음이 들어서 세트로 구매했다. 할인폭이 커서 5권 살 돈으로 8권을 구입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일본 만화의 위세가 너무 당당해서 유럽 만화는 마이너 리그에 속해있지만, 유럽과 영어권 국가에서 만화의 작가 '에르제'와 주인공 '땡땡'은 수퍼스타급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독을 권할만한 만화이긴 하되 아래의 사항에 유의할 것

1) 장점

-고전의 반열에 든 만화이므로 교양을 쌓을 수 있다

-장정이 좋고 책이 커서 보기 쉽다

-할인해서 사면 가격도 큰 부담은 되지 않는다

2) 단점

-땡땡의 모험 박스세트 1,2,3권의 구성이 뒤죽박죽이다. 1~8, 9~16, 17~24 순이 아니라 끼워팔기 백과사전같은 뒤섞인 구성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 만화가 양장본일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

-이 만화의 주 무대는 1940~1960년 사이의 유럽이다. 인종적, 지역적 편견이 만화 도처에 깔려 있다. 특히 아이들에게 책을 읽힐 때는 올바른 정치적인 견해를 가지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편견: 흑인은 미개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