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베르는 발자크를 "얼간이처럼 무식하고, 골수까지 촌놈인 작자"라고 했다. (마담 보바리를 아직도 다 읽지 못했다. 대신 포지 시먼스의 '마담 보베리'는 다 읽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발자크를 "무겁게 늘어진 사지에 짧은 팔을 한 뚱뚱하고 야무진 몸집의 사내"라고 했다. (* 1875년 프라하에서 태어난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1902년 파리로 건너가 로댕의 비서로 일했다.)



빚쟁이를 피해 항상 '뒷문으로' 도망칠 준비를 하고 있던 정열적인 문호, 하지만 조끼에 황금 단추를 달고서 자가용 마차를 타고 다니지만 몇 달치 빵 값을 갚지 못해 빵집 주인을 피해 다니는 촌스러운 남자, 여동생에게 흉을 보았듯이 음식을 칼로 집어 먹고 냅킨에 코를 풀어대는 이 난봉꾼 프랑스 남자. 과연 이 사람과 결혼을 할 수 있을까? 그러나 마담 한스카는 발자크의 가치를 잘 알고 있었다. '프랑스가 배출한 가장 위대한 천재'를 통해 귀족들의 사교계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 역시 우아하게 상승할 것이라는 사실을.


[도스토예프스키 판타스마고리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이덕형, 산책자]



발자크는 <고리오 영감>에서 가난한 젊은 귀족의 고민을 그린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검사가 될 것인가? 돈 많은 미망인을 유혹할 것인가? 발자크의 답은 무엇일까. '한스카', 그녀가 바로 발자크의 물음에 대한 답이다.


<여자 백작 마담 한스카는 러시아령 오데사에 살고 있던 러시아계 폴란드 남작 한스키의 부인이었다. 러시아인이었던 그녀는 자신보다 스물다섯 살이나 많은 남편과 사는 것이 지루했고, 그러다가 유럽 전역에서 커다란 인기를 얻고 있던 발자크에게 '미지의 여인'이라는 이름으로 편지를 보낸다... 발자크는 이번에도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도판상, 이덕형, 산책자]


1833년 초의 일이다. 그해 12월에 만난 한스카와 발자크는 결혼을 약속한다.(마담 한스카가 유부녀란 사실을 잊지 마시길) 시간은 흘러 1841년, 마담 한스카의 남편이 죽는다. 절호의 기회다. 발자크의 집요한 구애가 시작된다. <과부가 된 귀족이자 자신을 빚에서 해방시켜 줄 백만장자 상속녀의 남편이 되는 일>을 위해. 한스카는 망설인다.(발자크가 가난해서? 발자크가 못생겨서?)


그러나 발자크는 대문호였다. 20년 가까이 이어진 그의 수많은 편지에 한스카는 결국 발자크와의 결혼을 결심한다. 1850년 둘은 결혼하지만, 결혼 5개월 만에 발자크는 세상을 떠난다. 그의 나이 51세였다.



프랑스 문호 오노레 드 발자크는 커피 매니아였다.

그는 잠자는 시간을 줄여 글을 쓰곤 했다. 그는 하루에 커피를 50잔이나 마시기도 했다. 프랑스의 한 통계학자는 발자크기가 그의 54년 생애 동안 마신 커피가 5만 잔에 달할 거라 추산하기도 했다.


나는 한밤중에 일어나 글을 쓰기 시작한다. 눈이 침침해지고 손이 움직이지 않을 때까지 멈추지 않는다. 네 시간이 지나고 체력의 한계에 부딪히면 의자에서 일어나 커피를 끓인다. 아침 여덟 시에 간단한 식사, 점심때까지 쓴다. 커피. 여섯 시까지 쓴다. 도중에 커피로 힘을 내면서...


슈테판 츠바이크, <발자크 평전> 




주인의 이야기에 따르면 프랑스에 발자크라는 소설가가 있었다고 한다. 이 사람은 대단히 사치를 부렸다고 하는데, 입으로 사치를 즐긴 게 아니고 소설가이니 만큼 문장으로 사치를 부렸다는 것이다. 


어느 날 발자크는 집필 중인 소설 속 인물의 이름을 지으려고 이런저런 이름을 붙여보았으나, 아무래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마침 친구가 찾아왔기에 함께 산책에 나섰다. 친구는 아무것도 모르고 따라나섰지만, 발자크는 처음부터 자신이 고심해온 이름을 찾아낼 생각이었던지라 거리에 나서자 다른 건 신경도 쓰지 않고 가게의 간판만 보면서 걸었다. 그런데 역시 마음에 드는 이름이 없었다. 친구를 끌고 무턱대고 걷기만 했다. 친구 역시 영문도 모른 채 따라갔다.


그들은 결국 아침부터 밤까지 파리를 탐험했다. 돌아오는 길에 문득 어느 바느질 가게의 간판이 발자크의 눈에 들어왔다. 그 간판에는 마르퀴스라는 이름이 쓰여 있었다. 발자크는 손뼉을 쳤다.

"이거야, 이거, 바로 이거야. 마르퀴스, 거참 좋은 이름이군. 마르퀴스 앞에 Z라는 두문자를 붙이면 더할 나위 없는 이름이 되겠는걸. 꼭 Z라야 해. Z.MARCUS, 정말 괜찮은 이름이군. 내가 지은 이름은 잘지었다고 생각은 하지만, 어딘가 부자연스러운 데가 있어서 재미가 없었는데, 드디어 내 마음에 쏙 드는 이름을 찾았어."


나쓰메 소세키, <나느 고양이로소이다>, 송태욱 옮김, 현암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