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유성처럼 스러지는 모습을 지켜볼 운명이었다
미나토 쇼 지음, 황누리 옮김 / 필름(Feelm)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에서 2023년에 <여명백식>이란 제목으로 출간되었고, 한국에서는 24년 7월 필름 출판사에서 <네가 유성처럼 스러지는 모습을 지켜볼 운명이었다>로 번역 출간되었어요.

'여명백식'은, 이 책의 주요 등장인물인 리이가 앓고 있는 질환의 이름이에요.

'余命100喰' 나에게 남은 생명의 시간은 앞으로 100번의 식사까지, 100번의 식사를 마치면 잠을 자듯 편안하게 죽음을 맞게 되는 희귀성 불치병이에요.


"우리는 분명 다른 사람의 눈에 연인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정체는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여자와 날 수 없는 스노보드 선수.

죽음이라는 목적지를 향해 여행하는 여자와 그 여행에 동반자로 나선 남자라는 기묘한 조합. "


토우야와 처음 만났을 때 리이에게는 아흔 두끼가 남아 있었고 둘의 여정이 마지막 끼니에 이를 때까지 기적을 바라면서도 그럴 일은 없겠지, 앞으로 아흔 두 끼 앞으로 스물세 끼 앞으로 여섯 끼‥‥‥이렇게 마음 졸이며 달려온 이야기가 리이가 살아남는 기적으로 마무리 지으면 너무 허무하잖아 하는 양가적인 마음에 슬픔이 차올랐다가 내려갔다 했어요.

마치 토우야가 리이의 '여명백식'을 부정했다가 받아들였다가 했던 것처럼요.

그만큼 이 이야기에 진심으로 빠져서 읽었어요.

우리 모두 언젠가는 남은 시간이 백 끼니를 앞두고 있을 날이 온다는 옮긴이의 말이 참 와닿아요.

'여명백식'은 작가가 만들어낸 병이지만, 옮긴이의 말처럼 우리는 모두 '여명백식'의 잠복기에 있는 것은 사실이에요.

앞으로 백 번의 식사를 마치고나면 잠을 자듯 죽는다는 걸 알게 된다면 리이처럼 매순간을 만끽하며 죽을 때를 기다릴 수가 있을까요.

삶을 긍정한다는 건 말은 쉽지만 굉장히 어려운 일이에요.

당장 오늘 하루도 아, 즐겁다거나 행복을 느낀 시간보다 해야할 일들의 목록, 걱정거리, 생각대로 풀리지 않는 시간들에 대한 답답함들로 더 많은 시간을 보냈어요.

밥을 먹을 때만이라도 아, 맛있었다 라고 말할 수만 있다면 하루 중 세 번은 꼭 행복해지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