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고령화 가족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두절미하고, 『고령화 가족』은 우리가 흔히 내뱉는 ‘집구석’이라는 상투적 말 뒤에 숨은 의미를 추적한다. 그것은 작품 속 화자의 엄마가 말하는 ‘인간적인 정리’의 산실이다. 냉혹한 세상의 모진 풍파에 패퇴하여 좌절을 안고 찾아가는 최후의 안식처, 훗날을 도모하기 위한 배수의 진도 결국에는 집구석임을 요절복통 콩가루 집안을 내세워서 보여준다. 열정적인 사랑보다 한 단계 위에 존재한다는 ‘인간적인 정리’에서 식구(食口: 한집에서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가 비롯되는 게 아니겠는가.

식구1: 전과 5범의 인간망종 괴물 싸움꾼 오한모, 일명 오함마. 52세.
식구2: 대학물 먹고 영화까지 말아 드신 충무로의 유령감독 오인모. 48세.
식구3: 어려서부터 물장사에 뛰어들어 산전수전 겪고 남편복도 없는 오미연 혹은 구미연. 45세.
식구4: 싸가지 따위는 키우지 않는 미연의 딸 장민경. 중학생.
식구5: 이런 살라오(최악의 사태를 뜻하는 스페인어라고 함)를 너그럽게 보듬는 이들의 엄마이자 할머니. 70대.

콩가루 집안, 급조된 식구의 면면이 이렇다. 70대 노모에게 ‘엄마~’하면서 달려드는 세 남매라니. 거기에 식구1과 식구2는 배다른 형제고 식구2와 식구3은 씨 다른 형제다. 다시 말하면 식구1과 식구2는 아버지가 같고 식구2와 식구3은 어머니가 같은 것. 식구4는 식구3의 두 번째 남편 씨이고. 상황이 이러니 이런 사실을 몰랐던 식구2 즉 화자의 입에서 ‘막장 드라마의 끝은 어디인가’하고 읊조릴 수밖에.

이렇게 한 가정을 막장으로 내몬 작가의 저의는 뭘까? 막장이 트렌드라서? 아니다. 실은 저런 가정이 많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그럴 리가. 이런 막장 가족이 각양각색의 저속하고 지리멸렬한 사고를 치게 만든 건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구석이란 내가 있을 곳이라는 결론을 내리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아무리 내 삶이 지지리 궁상의 표본이더라도 삶을 긍정할 수 있는 계제를 마련해주는 집구석의 고마운 가치를 전하기 위한 설정이라는 것이다. 그 장치가 정서적으로 기능하게 해주는 존재는 바로 엄마이고, 그 설정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은 맘마다. 몰려온 자식들에게 불평 한 마디 없이 매 끼니 ‘고기반찬’ 해주는 ‘엄마’가 등장하는 장면은 그래서 이 소설에서 필수적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장면이다. 

가족의 가치와 삶에 대한 깨달음을 원동력으로 한 소설이기에 이 작품은 성장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기실 결말에서 화자는 가족에 대해 삶에 대해 깨닫게 된 바를 담담한 톤으로 기술한다. 자신밖에 몰랐던 그는 반백년 넘게 살아오면서 엄마를 비롯한 가족 구성원에 대해 별로 아는 게 없다는 것을 지각하고는 혼란에 빠지지만 새로이 그들을 알아가면서 타인을 배려하고 아끼는 능력을 학습하게 된다. 가출한 민경을 데리고 와야겠다고 결심하기도 하고 내연의 관계를 맺었던 하지만 애정은 품지 않았던 캐서린에게 일생 처음으로 사랑을 느끼게 되는 등 그는 ‘성장’해 간다. 가족 구성원의 복잡한 과거사, 그의 표현대로는 ‘금단의 비밀’을 뒤늦게 접하면서 형, 동생에게 자신이 어떤 사람이었는지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고 그 결과 자신이 얼마나 이기적이고 불완전한 삶을 살았는지 뉘우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그는 ‘인간적인 정리’를 정서적으로 습득한다.

그 과정에서 헤밍웨이의 작품들과 여러 영화의 장면이 오버랩된다. 특히 헤밍웨이 자신과 그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화자의 페르소나 역할을 한다. 한창때의 헤밍웨이의 사진에서 그는 자신의 옛날을 회상하고 말년의 헤밍웨이에서 버려진 영혼의 상흔을 짐작한다. 이 중년의 성장에 헤밍웨이는 안성맞춤의 참고서가 되어준다. 캐서린은 헤밍웨이의 작품에서 살아나온 화자의 구원자.

이 소설을 성장소설이라는 틀로 해석해 봤다, 고 생각했지만 다시 곰곰이 생각해보면 성장소설이 아니면 이 소설을 어디에 속한다고 해야 할지 사실 잘 모르겠다. ‘엄마’로 시작해서 ‘맘마’로 끝나는 이 소설은 명백하게 한 인간의 세계 인식 변화를 다루고 있다. 전작 『고래』에서 빛났던 내러티브의 박진감이나 플롯의 응집력, 독특한 상징과 비유의 활극을 기대해서는 안 될 장르였던 것이다. 『고래』는 ‘다른 사람은 못 쓸 천명관 표’라는 생각을 가지고 흥미롭게 읽었지만 이번 『고령화 가족』은 그에 못 미치는 듯하다. 몰라보게 착해졌다고 할까. 6년이라는 시차가 작가를 너무 현명하게 만든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더랬다. ‘가족’과 ‘인생’이라는 생활 밀착형 테마와 ‘설화’와 ‘묵시록’이라는 거대하고 환상적인 테마를 다루는 방식은 다를 수밖에 없을 테고… 그럼 지금 내가 느끼는 아쉬움은 내 취향 탓으로 돌리는 게 낫겠다. 작가의 세 번째 작품이 나오기 전까지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