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온몸에 저항이 일어났다. 매트릭스의 진실을 보는 알약을 먹고 보고 싶지 않지만 내 현실을 봐야만 하는 느낌이었다.

 

나는 그래도 집에서는 차별을 당하지는 않았다. 나는 그래도 학교 가는데 차별은 없었다. 나는 그래도 아이를 낳아도 직장을 다닐 수 있었다. 나는 그래도 다른 여성분들보다 자유롭다고 자부한다. 나는 그래도.. 나는 그래도.. 라는 말이 자꾸 튀어 나왔다.

 

아마도 주변의 많은 도움이 있었을 것이다. 아들이 없는 집에 남녀 차별적인 대우는 엄마가 온몸으로 막아 주었고 학교 보내는데도 엄마가 최선을 다해 보내주셨을 것이다. 나는 그것이 당연한 권리라고 내가 잘해서 학교 가고 직장에서 근무하는 거라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본인이 기회를 잡지 않아서 그런 거라고 무의식 중에 생각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것이 현실이고 그냥 흐르는 대로 간다면 문제없이 이렇게 가는 것인데

당연하게 다르게 가는 남자들은 또한 그 기회를 당연하게 권리라고 여기며 살고 있다. 그래서 나는 열심히 사는 것이 몸에 배었나 보다. 열심히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주어지는 기회는 없을 거라고 어릴 때부터 몸에 새겨진 거 같다.

 

아이를 낳고 나서 비로소 남편과 나는 세상에서 다른 종자 구나 를 뼈저리게 느꼈다. 아이 라는 약자와 함께 나는 사회적 약자가 되었고 경쟁 상대가 아니라 보호받아야 하는 대상이 되었다. 아이는 내가 힘들여 돌보지 않으면 생명을 유지 못하는 약한 존재 였다. 남편은 아이의 보호자 중에 옵션이었고 나는 기본이었다. 그것은 아직도 그대로 이다. 아이를 돌봐야 하니까 체념하고 기대를 하지 않고 살 뿐이다. 아마도 이것은 아이가 자라게 되면 자연스럽게 해결 되는 것 같다.

 

때로는 적극적으로 때로는 소극적인 공격방식으로 그때 그때를 해결하며 살고 있다. 너무 지극하게 사랑하지 않기도 그 해결방법 중 하나이다. 내가 상대방을 지극히 사랑하면 상대방은 자신도 모르게 나를 착취하게 된다. 나는 나 자신을 잊어버리고 그의 적극적인 조력자가 된다. 사랑 받기 위해 노력하다가도 순간순간 내 자신을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