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자신을 아프게 하지 마라 - 새번역
안셀름 그륀 지음, 김선태 옮김 / 성서와함께 / 2017년 1월
평점 :
품절


아이가 말과 행동이 느린 이유가 나의 엄마로서가 아닌 개인으로서의 행동 때문에 그렇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동안 책읽기와 글쓰기를 하지 못했다. 시도 자체가 되지 않았다. 하려고 할 때마다 마음이 아팠다. 엄마로서 살면서 나 개인으로서의 감정을 잊지 않기 위해 몸부림 쳤던 것이 아이에게 해가 되었다고 생각하니 먹먹해서 더 이상의 행동은 아이에게 미안했다.

그래도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싶었다. 시간은 나지 않고 잠을 포기하기도 어려웠다. 그 중에 읽었던 책이 너 자신을 아프게 하지 말라이다. 외부 상황이 나를 힘들게 하는 것 같지만 힘든 외부 상황 중에서도 그것을 가중시키는 것은 바로 내 마음의 잘못된 표상 이라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을 배심원 석에 두고 나 자신을 계속해서 그들에게 변명하고 증명하는 마음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 다른 사람들을 배심원 석에 두지 않으려면 내 마음이 기준이 확고해야 한다.  하나님의 표상을 기준으로 하면 외부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다른 사람의 말에 상처받지 않는 진정한 내적 자유에 이를 수 있다. 자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내 마음의 기준으로 삼을 수가 있을까?

나는 마음의 어떤 기준으로 나를 힘들게 했었나? 하나님의 뜻을 기준으로 생각한 적이 있었나?

다른 이들에게 나의 능력보다 더 많이 인정받으려고 내 자신을 혹사시키지 않았나?

과연 하나님께 인정받으려고 한 것인가?

하나님께 인정 받는 다는 것은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

하나님의 뜻을 표상으로 삼는 다는 것은 또한 부모의 틀에서 벗어난 삶을 살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우리는 대부분 부모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그것을 이어받는 삶을 살고 있다. 당연하다. 부모가 나를 길러주고 그의 뜻에 어긋나지 않게 살아왔으니 그것이 틀이 된 것이다. 하지만 부모의 틀대로 사는 것이 바람직 하지는 않다. 시간이 지날수록 나는 부모의 틀에서 벗어나 더 발전되게 살 의무가 있다. 그것이 나의 행복으로 가는 길이다. 주변을 보면 나를 비롯해 부모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그것이 자기 것인양 사는 사람들이 보인다. 정도의 차이이지만 부모의 틀이 너무 강력하게 그를 죄고 있으면 자신은 느끼지 못한다. 느끼지 못한 채로 평생을 사는 것이다. 그것이 옳다 생각하고 다른 사람을 괴롭히기도 하고 고통을 주기도 한다. 자신이 어떤 모습인지 볼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보려면 하나님의 뜻을 내 마음속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뜻을 내 마음의 기준으로 삼는 다는 것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기도와 깨달음?

다른 기독교 서적과 마찬가지로 이 부분에서 더 이상 나아가지가 않았다. 그것이 충분히 옳다 생각하고 믿지만 방법이 나와 있지 않은 것이다.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생각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약간의 깨달음이 오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기도로 해결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