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 나고 자라고 또 아이를 키우고 직장생활까지 하고 있는 1인 이라면

조르바 이야기가 좀 먼 낯선 이야기여서 생소하게 느껴질수도 있겠다 싶었다.

내용은 주인공이 조르바와 함께 사업을 시작하고 크레타 섬에 머물면서

조르바를 관찰한 이야기 이다.

조르바는 여성을 좋아한다.

조르바는 일을 하면 일에 몰두한다.

조르바는 책을 읽지 않는다. 조르바는 지식으로 무엇을 판단하지 안하고 오로지 직관과

감각으로 모든것을 행동한다.

조르바가 아는 것은 모두 몸으로 익힌 것들이다. 조국,신,사랑,사람에 대한것 모두.

조르바의 언어는 말뿐이 아니라 음악과 춤으로도 자신을 표현한다.

 

나는 어릴 때부터 나는 어때야한다는 기준을 늘 생각하면서 자라왔다.

내가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할때는 그 기준에 도달하려고 노력했고

아마도 지금의 나는 그 노력으로 이만큼 살아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기준에 맞추는 것 자체가 너무 이상한 짓이라고 조르바는 말할 것 같다.

그 머리 속 또는 책 속에 나와있는 이상향은 때려 치우라고

우리는 그냥 인간일 뿐이라고.

자연 안에 살다가는 하루살이 일 뿐이라고.

그래서 조르바는 그 삶에 충실하라고 한다.

감정에 충실하라고 한다.

그것이 설사 세상에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무언가를 잃는 일이라고 해도.

 

작가가 그리스 사람이라서 그런지 책 내용 중 놀라운 부분이 몇가지 있었는데

여성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였다.

여성은 늘 남자의 갈망하는 태도를 필요로 한다. 는 생각에는 공감이 되었지만

남자의 갈망을 받아주지 않은 여성에 대한 단죄는 충격적이었다.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무서웠다.

그리고 오르탕스 부인이 삶을 달리 했을 때의 상황을 묘사한 것도 놀라웠다.

상가집에 사람들이 모여드는건 꼭 죽은사람에 대한 위로와 조문을 보내려고만

모여드는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어쩌면 그것이 자연에 가까운 일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니까 사람은 이래야 한다는 기준은 없다.

그냥 사람인 것이다. 자연 안에 살고 있는 사람인 것이다.

거창하게 높은 정신적인 뭔가는 없는것이다.

내 육체를 즐겁게 하고 지금 하고자 하는 일이 명확하면 그것에 집중하는 것이 삶인 것이다.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 느끼는 것, 감촉이든 냄새든 모든 감각에 집중하고

아름다움에 경탄하는 것. 그것이 삶인 것 이었다.

지금 내가 질투에 괴로워 한다고 해서 그게 나가 아닐 수는 없다.

그 찌질해 보이는 감정을 느끼는 것 또한 나 자신이다. 인정할 수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