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한 권력의 탄생 - 1%가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권력 사용법
대커 켈트너 지음, 장석훈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말하는 권력은 명시적인 권력도 포함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권력, 왠지 권력이 명시적으로는 없지만 있는 듯한 그 느낌에 대한

답이다.

책에서는 인류의 생존방식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한다. 인류는 다른 영장류보다 뇌는 크고 몸은 약하다. 아이들은 다른 동물들보다 오랜기간 보호받아야 한다. 살아남으려면 공동체 생활이 반드시 필요했는데 그중에 공동체의 선에 많이 기여할수록 권력을 갖게 된다는 이론이다.

 

공동의 선에 기여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더 공감해 주고 공동체의 일과 이익에 더 솔선수범 한다.

사람이라면 공동의 선에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느냐 이야기 할수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자신의 이익이 관여되지 않으면 그냥 본능적으로 공동의 선을 행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행하는 사람은 있다. 그렇다면 그 사람은 무엇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까? 책에서는 그 사람은 바로 권력을 가질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물질적이고 명시적인 권력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움직일수 있는 보이지 않는 영향력이다.

공동체의 선에 많이 기여하는 사람은 그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얻고 그 사람이 말과 행동에는 많은 타인의 적극적인 협력이 따른다. 이것이 바로 권력이라고 정의했다.

 

아..그렇구나. 일을 솔선수범해서 하고 다른 사람보다 많은 지식을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거부할 수 없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그 사람의 승진여부와 재력여부에 상관없이 그 사람 자체로 많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보이지 않는 선한 권력의 힘이었다.

 

나는 나의 가치관에 의해서 공동의 선에 다른 사람보다 많이 기여한다면 나는 도대체 뭐가 좋아질까? 라는 의문을 끊임없이 제기했었다. 승진? 돈? 바로 평판이 좋아지는 것이었다.

 

평판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무의식중에 마음에 저장된다. 그래서 무섭다. 오로지 좋은 평판을 위해 나를 희생한다는 것도 이상하다. 하지만 내가 다른 사람보다 공동의 선에 기여했을때 주어지는 보상이 권력이라고 하니 어느 정도 위로가 되었다. 내 가치관에 나름 이유가 있었다는 안도감도 생겼다. 정말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