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 현상 -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이금이 고학년동화
이금이 지음, 오승민 그림 / 밤티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조하게 어쩔 줄 모르며 손이 떨리는 그 현상? 어린이에게 '금단현상'이 올만한 간절한 것이 뭘까? 어린이의 마음을 가늠하기엔 내 나이가 너무 멀어진건지, 저 어휘에 부합될만한 소재로 고작 흡연 외엔 짐작되는 게 없었다. 호기심 듬뿍 묻은 책을 바로 짐가방에 넣었다. 강원도 부모님댁을 향해 달리는 차 안 보조석에 앉아, 쉬엄쉬엄 차창 밖 산등성이 풍경과 책 속 소년소녀들의 내밀한 마음에 번갈아 눈을 옮겼다. 어느덧 열두세살의 내가 되어 있었다. '금단현상 돋고도 남지!' 고개를 주억거리고 있었다.


『금단현상』은 이금이 작가님의 동화 다섯 편(<꽃이 진 자리> <한판 붙어 볼래?> <금단현상> <십자수> <임시보호>)이 담긴 동화집(2021년 개정판/2006년 초판)이다.


이야기 속 아이들은 모두 도시에서 살아간다. 엄연한 사회구성원데도 어쩐지 안식처가 없어 배회하거나 입술을 불퉁히 내밀고 웅크려있는 모습이다. 낡기만 한 빈 집을 뒤로 하고 벚나무 한 그루에게 위로 받거나["벚꽃 등 아래에 있으면 외롭지 않았다(9p)], 피시방에서 시간을 잊고 게임에 몰두하거나["새 학교의 아이들은 날 촌놈이라고 놀리며 자기들 무리에 끼워 주지 않았습니다(33p)"], 부모의 전폭적 교육 지원을 받아온 하은조차도 유기견보호소에서 푸들 강아지가 오기만을 목빼고 기다리며["포포가 오면 집에 혼자 있어도 외롭거나 무섭지 않을 것 같았다(98p)"] 말이다.


아이들의 결핍된 마음에 따뜻한 활기와 희망이 들어서는 계기는, 타인과의 새로운 관계에서 비롯된다. 그 관계는 아이들 스스로의 의지와 용기로 이뤄진다. 심지어 그 노하우를 어른에게 가르쳐주기도 한다["아빠가 팔찌를 만들면서 엄마가 화난 이유를 생각해 보면 좋겠다.(93p)"]. 소녀가 할머니의 집으로 스스로 직접 찾아가보지 않았다면(<꽃이 진 자리>), '촌놈' 최영훈이가 '떡장수' 이장수에게 반격하고, 또 실수로 상처를 준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았더라면(<한판 붙어 볼래?>), 소원해진 친구 유나가 말을 걸며 다가왔을 때 하은이가 닫힌 마음을 끝까지 열지 않았더라면(<임시보호>) 어땠을까.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로막고 있던 차가운 담이 사소한 계기로 와륵 무너지는 순간은 언제 보아도 찡하다. '훈훈하다'고 표현하기엔 아쉬울만큼 뭉클하다. 이금이 작가님의 동화를 읽으면, 어른 눈에는 미숙하게만 보이는 어린이들이 작은 반전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는 걸 다시 알게 된다. 내 어린시절을 까먹고 살아가는 내가 부끄러워진다.


동화집 제목과 같은 세번째 동화 <금단현상>을 무척 재미있게 읽었다. 아니 왜 내가 이 나이먹고 같이 두근거리고, 궁금해죽겠냔 말이지. 라떼는 휴대전화가 대학교1학년이 되어서야 보편화되고 SNS도 없던 시절이니, 초중고시절에는 집전화나 공중전화로 마음 졸이며 통화를 하곤 했다. 짝사랑하는 남자애 집에 전화해서 목소리만 듣고 끊는 일도 부지기수였고, 삐삐사서함에 익명으로 음악을 남기는 짓을 했던 것도 같다(아아 소름!). 그래서 현기의 답장과 성규의 전화를 다시 기다리는 동안 겪는 효은이의 '금단현상'이 어떻게 끝날지 알고 싶어 손가락이 근질근질했다. 효은이가 하진에게 피구공을 던지게 되기까지, 그 순간의 감정을 묘사하는 문장은 정말 최고다. "마음 밑바닥에서 뜨거운 무엇인가가 솟구쳤다. 처음엔 그것이 불길처럼 타오르다 연기처럼 흩날리고 말 질투 같은 건 줄 알았다. 하지만 뜨거운 무엇인가는 점점 단단해지더니 마음 한가운데 기둥처럼 곧추섰다. 그 기둥이 마음을 받쳐 주는 것 같았다(69p)'불의에 대한 반감'은 치기어린 시샘과는 분명히 다르다. 옳은 행동을 선택한 그 순간은 어른인 내가 봐도 통괘하고 멋졌다! 그리고,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이 문장을 보고, 다시 실감한다. 나를 성장하게 하는 동력은, 나를 지지하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사실도. "오늘 하진이에게 했던 행동은 충동적인 감정에서 나온 것이기보다 성규와 통화하며 차곡차곡 쌓았던 다짐 덕분에 나온 것이었다. 오늘 일을 이야기하고 싶었다.(72p)"


<임시보호>에서 하은이 부모는 당연히, 아이를 너무나 사랑하는 마음에서 헌신을 다한다. 하지만 정작 하은이는 외롭고 버겁다. ["부모님을 실망시키는 게 솔직히 걱정스럽기보다 두려웠다. 내가 공부를 못해도, 엄마 아빠가 바라는 걸 이루지 못해도 나를 사랑해 줄까.(120p)"] . 하지만 하은이가 원하는 것을 스스로 말할 수 있을 분위기로 전환되는 점이 참 다행스러웠다. ["부모역할은 자식을 임시 보호하는 거지, 애 인생을 평생 책임져 줄 수는 없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123p)"] . 부모님이 마음을 표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에게 네가 바라는 것을 알려달라고 해봤자, 하은이는 결코 본심을 표현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지 못해 어쩔 줄 모르는 고통'도 금단현상이다. 얼마나 많은 어린이들이 금단현상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을까. 혼자서 극복하기엔 역부족일 것이다. 효은이가 차곡차곡 '말할 수 있는 힘'을 쌓아갔던 것처럼, 누군가는 그것을 들어줄 수 있는 귀가 탁 트여 있어야만 한다. 진구가 내달리는 벌판의 풍경이 그 이치를 말해주는 것 같다.


2분도 안 되는 짧은 동영상 속에서 진구는

목줄도 입마개도 없이 끝없이 펼쳐진

옥수수밭 사이를 달려가고 있었다.

한 다리를 절뚝거리면서도 신나게 달렸다

<임시보호> 중 12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