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The Yawning Heights by Alexander Zinoviev
(Bodley Head, London, and Random House, New York)

Somewhere in the middle of this enormous book there is a tiny story about a Soviet trainee pilot with slow reflexes. The flying instructors are not allowed to fail anybody. So they just give him his orders a long way in advance. He passes the course and goes to the front, where on his first mission he does not drop his bombs until he gets back to base. Equality has been achieved. The Yawning Heights is about a society which has succeeded in what it set out to do. Its author, Alexander Zinoviev, is not entirely posing when he claims to be engaged in the dispassionate analysis of a historical movement which has fulfilled its aims.

The Yawning Heights has been five years reaching us. It hardly needs saying that we are lucky to be reading it at all. The author’s dateline suggests that he finished writing it in 1974. But the first Russian edition of Zyayushchiye Vysoty did not come out until 1976. Published by L’Âge d’Homme in Lausanne, it is a neat paperback volume closely printed on thin pages. There is a grainy full-length photograph of Zinoviev on the back. Dapperly clad, he stands in front of a squalid building which a signboard proclaims to be the Philosophy Faculty of Moscow University, where he was a Professor of Logic until the regime began treating him as an enemy. His previous books had been academic philosophical works which won him an international reputation and abundant prestige within his own country. Like Andrei Sakharov, Zinoviev was rebelling from a position of privilege.

The Russian edition was reviewed in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for 14 April 1977, by Aleksandr Nekrich, himself a distinguished scholar who had sacrificed his career to the truth. Nekrich’s review — which retains the status of a primary critical article — was a clear indication that a book of the first importance was on its way towards us. The French edition of the book, Les Hauteurs béantes, was published later that same year, once again by L’Âge d’Homme. Though elegantly printed, in sheer bulk it was about three times the size of the Russian original. Since the translator, Wladimir Berelowitch, wrote with unfaltering terseness, it was already becoming evident just how much meaning must be compressed into Zinoviev’s idioms and coinages. In fact the translation made embarrassing demands even on one’s French. But by now there could be small doubt that the book was of capital significance. This time the photograph was a typical piece of histrionically lit Russian portrait photography with Zinoviev looking like a cosmonaut who did not very much want to take off.

Onward to 1979. Finally the English edition appears. It is even bigger than the French one. The grainy Philosophy Faculty photograph is once again on the back, although by now it is out of date: Zinoviev came to the West last year. The layout is not at all elegant. The sub-headings which in the Russian and French editions help break up the text into sections of invitingly browsable length are here meanly set up exactly the same as the body-type, so that the whole thing flows on and on like the Don. But the translator, Gordon Clough, has done pretty well. If that sounds grudging,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first translations of works such as this are crucial to their future history. Partly due to an inadequate translation, Zamyatin’s We made little impact when it first came out in English, and thus we were deprived of a prophetic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totalitarian state. Zamyatin guessed a lot in advance. It could be said that Zinoviev is merely being wise after the event. But the event is of such magnitude, and his wisdom is of such a unique kind, that The Yawning Heights can only be thought of as a work vital to the continuity of civilisation. It would have been a disaster if the translation had misfired. Luckily it sins only through sounding like a translation. Otherwise the book has survived its journey. It has been heading our way like a planet on a collision course. Now it fills the sky and we can see all the details.

In The Yawning Heights the Soviet Union is portrayed as a garbage-dump called Ibansk, which is a way of saying Fucktown, or Screwsville, as well as of implying that the average Russian — Ivan — lives in a place just like it. The word Swiftian can easily be applied to the physical details of Ibansk. There is a lot of human ordure lying about. Going to the lavatory bulks large amongst Ibanskian activities. It is basically a very shitty scene. But Zinoviev’s whole point is that he can’t really exaggerate no matter how hard he tries. Really Ibansk is just the Soviet Union with the lavatory doors taken off. The book is less a satire than a sociological treatise on the level of Weber or Pareto. Everything that happens in Ibansk has already happened in the Soviet Union. But nobody has previously managed to make an entirely coherent picture of it.

An Ibanskian in the Street shouts ‘Arrogant blockhead!’ and is immediately arrested for insulting the Leader, even though he was only abusing a workmate. Everyone in Ibansk understands how things are. They just can’t face the facts any other way except a few at a time. Much of the book is made up of dialogues and speeches in which characters with names like Howler, Bawler, Truth-teller and Schizophrenic severally advance their theories about the degree to which the Ibanskian official ideology has been realised in Ibanskian life. This comic symposium of voices echoes the actual history of the way we have always come to be informed about the Soviet Union. Since 1917 there has been incessant argument about whether the Soviet Union is communism gone right, communism gone wrong, or communism not yet arrived. But in Ibansk such a discussion is shown, often by the very terms in which it is conducted, to be camped in the air. Ibanskian society has its own imperatives which ideology exists only to serve.

The first imperative is that mediocrity shall prosper. Those who stand outside or above are dangerous because they are in control of themselves. Moral worth is automatically subject to persecution. The Boss (Stalin) rose to the top because he was a complete nonentity. Hog (Khrushchev) repudiated the Boss only in order to preserve power. In Ibansk the only reason there is no unemployment is that everyone is engaged in the imitation of work. Real work requires a limited number of people, but in the imitation of work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be employed. Everything is deliberately kept inefficient. Inefficiency leads you ‘to reduce to a minimum your number of contacts with people on whom you depend for anything; i.e., it leads in the final analysis to a self-imposed restriction of demand’ (page 284).

Few protest because nearly all are involved. Truth-teller (clearly based on Solzhenitsyn) and the other dissidents are wrong to suppose that the government is oppressing the people. The government is expressing the people’s will. Even the intelligentsia polices itself. With mediocrity the universal norm, material inequality is more important than ever. By struggling for their fair share of unfair advantages, the intelligentsia put a trump card into the hands of the leadership and automatically eliminate potential trouble-makers from among their own number.

In Ibansk the leaders are decorated for being leaders and then decorated again for being decorated. Whatever is achieved is achieved in spite of them. ‘But things still get done. They can’t all be like that.’ ‘They are all like that.’ (page 371.) In the arts, the mere fact of becoming known is a guarantee of bad faith. The sculptor Dauber (based on Zinoviev’s friend Ernst Neizvestny) spends most of the book trying to be defiant. He ends up carving busts of the Leader out of snotoplast and turdotron, convincing himself that he is carving them in a defiant way. ‘The whole horror of our existence lies in the grandiose scale and inescapability of triviality’ (page 481). Ibansk is one big yawn.

The above hardly begins to summarise the elaborately detailed picture Zinoviev paints of life in Ibansk. But the reader can already see that this is a fantasy whose inspiration lies in the real world. One’s estimation of the book will mainly depend on whether one feels the correspondence between Ibansk and the Soviet Union to be exact. And surely, by and large, it is. ‘An amoral society wastes a huge amount of energy’ (page 800). Like Ibansk, the Soviet Union purposely squanders its own human resources. The destruction of talent is not incidental to the system of administration. It is fundamental. Stalin’s career, to take the most extreme possible example, can’t be explained in terms of variations in ideology. Variations in ideology have to be explained in terms of Stalin’s career, which was solely devoted to eliminating every trace of human individuality which could not be brought under the regime’s direct control. Tolstoy’s portrait of Napoleon in War and Peace is a possible literary ancestor of the idea that the man of destiny can be a cipher. Solzhenitsyn took the same line about Stalin in The First Circle. But really such a view needs no credentials. In the case of Stalin it is simply right. After the early disasters in World War Two it became evident that Stalin’s brains were made out of the same clay as his feet. But just because the fact became evident did not mean that it could be acted on or even admitted.

Again, Zinoviev is surely right about what Sakharov has called ‘the full tragedy of creative life’ in the Soviet Union. To speak only of the arts, and of the arts to speak only of literature, it can be taken for granted that any writer over the last fifty years who has not been persecuted by the State is simply not worth reading. Learning to read Russian brings rich benefits, but the prospective student should be warned that he will not be able to retain any comfortable illusions he might have about this century being as fruitful as the last. It is like walking out of a garden into a desert. The catastrophe was already in the making before Stalin came to power. Those gullible Western authors who go on junkets to Moscow and Leningrad at the invitation of the Soviet Writers’ Union, and who come home to themselves impressed with how many poets are published in Literaturnaya Gazeta and how many copies of his new book a Soviet poet is accustomed to see printed, are kept safe by the language barrier, as well as by their natural obtuseness, from realising that the Writers’ Union is an organisation which exists in order to seek out talent and make certain that it is expunged.

Zinoviev deals harshly with Yevtushenko, who appears in The Yawning Heights as Snottyhanky, ‘the favourite of young people, the secret police and the Americans’ (passim). Yevtushenko is such a preening booby that it is easy to be tempted into feeling superior to him. A sceptical inner voice should warn us that in the same circumstances we might be even more glad than he obviously is to accept a privileged position as the crowd-pleasing bard with a licence to be just so irreverent and no more. But the point to make is that the real poets are condemned to silence. The same applies to every other area of Soviet artistic life. Even the performing artists are allowed to achieve eminence only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y will be given no new material worth performing. It was easy to be happy for the Panovs when they reached the West but impossible to admire the ballets they brought with them. Soviet creative life is ‘a tragedy of unrealised possibilities’ (page 547).

According to Zinoviev, the Soviet Union is not a society which has fallen short of its ideals. It embodies them. As a linguistic philosopher with something of Karl Kraus’s gift for dissecting rhetoric, Zinoviev is able to show that communist theory has always been nothing but a project. The social laws governing Soviet communism are to be deduced only from what actually goes on in the Soviet Union. This proposition, central to Zinoviev’s thought, is expounded at length in a second book, Svetloe Budushchee, which has not yet been published in English. The Russian and French editions were both published by L’Âge d’Homme last year. In French the book is called L’Avenir radieux and in English it will probably be called The Radiant Future. It tells the story of an academic whizz-kid doing what he has to do in order to get on. A friend of his writes a treatise about the real nature of Soviet life. These two main characters can be thought of as incarnating the two sides of the argument that must have raged in Zinoviev’s head when he found he could no longer put up with his own success. ‘Communist society’, argues the friend, ‘can be thought of only insofar as it is an empirical phenomenon, and not as an abstract system.’

But not even a man as clever as Zinoviev can quite escape the debilitating effects of the life he so brilliantly describes. Like Solzhenitsyn, he has to a certain extent been infected by the very absolutism which he condemns. He is hard on the dissidents. He gives them credit for bravery in such a terrible battle, but says that in the end they help to buttress the state. This is a neat argument but it is open to the same objections which Zinoviev, possibly following Karl Popper, makes to Marxism: there is no conceivable way of disproving it. Anything that opposes the Soviet state buttresses the Soviet state as long as the Soviet state is still there. Here Zinoviev fails to take the historical view, which must always allow for the unexpected consequences of actions. Moral opposition might serve the totalitarian state in the short term but could well undermine it in the long. Nor is Sakharov’s standpoint to be summarily belittled. Sakharov, who has been through all the same degrading experiences as Zinoviev, has never lost sight of the possibility that the Soviet leaders, while deaf to moral arguments, might well be obliged to allow a measure of liberalism when it becomes clear that without it the Soviet Union will no longer be able to maintain itself as a first-rate power.

Zinoviev is unfair not just to the dissidents but to the intelligentsia as a whole. There can be no doubt that for Soviet artists and academics life is largely as squalid as he portrays it. But the persecuted far outweigh their persecutors, and it is a kind of materialism to suppose otherwise. Since Gumilev’s murder in 1921 the Russian intelligentsia have been living in a nightmare. Without exception the outstanding talents have been killed, silenced, or exiled. The good work that has survived is scarcely a hundredth part of what would have been there if things had been different. It has been a cultural disaster without parallel in history. Yet does anybody suppose that names like Gumilev, Akhmatova, Pasternak and the Mandelstams mean less because of it? They mean more. Nadezhda Mandelstam willed her dead husband’s poems to a just future. Even if it could be proved that such a future will never come, would her gesture mean nothing? It would still mean everything.

Most unfortunately of all, Zinoviev is hard on the ordinary people of the Soviet Union. By suggesting that they are unusually compliant, he comes close to resurrecting the ‘mysterious Russian soul’ which he is ordinarily at pains to say does not exist. If Soviet society is as he describes it, then there is no mystery about why most people collaborate with the authorities. Most people are not heroes. It is fancy talk to suggest that they are sharing power. They are sharing powerlessness.

Solzhenitsyn is right to insist that the Soviet government is an imposition, and Zinoviev is wrong to imply, even as a comic exaggeration, that nobody is innocent. Zinoviev says himself that the social laws of the Soviet Union hav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if you are to make sense of them. Seen from the inside, they are impenetrable. On this particular point, Zinoviev probably still feels himself to be an insider. When he was dismissed from Moscow University his friends and colleagues demanded that he be stripped of his medals. He can be excused for taking a sour view of his fellow man.
But in those areas where Zinoviev is uncharitable his arguments refute themselves. Probably it was only an element of self-contempt that ever led him to advance them. By a process which The Yawning Heights describes in vivid terms, merely to grow up in the Soviet Union is to be compromised. Zinoviev should take heart. The mere existence of this book shows that to dissent is worthwhile; that the intelligentsia, of which he is a worthy representative, maintains its real traditions, despite all; and that not even the Soviet Union can be entirely confident about its ability to obliterate individual thought. ‘A society which officially adopts the slogan that the interests of the people transcend those of the individual is a lawless society. And that’s all there is to it’ (page 575). The proposition is simple but hard to take in. Nobody wants to believe that all those millions of innocent people died in agony for nothing. Not even The Gulag Archipelago could get the message across if you didn’t want to listen. But Zinoviev has found a way of joking about it, and nothing travels further or faster than a joke.

(New Statesman, 19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앙토냉 아르토(Antonin Artaud, 1896~1948)
프랑스의 극작가, 시인, 배우, 초현실주의 운동의 이론가. 부르주아적인 고전극을 ‘잔혹극(theatre de la cruaute)’으로 대치하여 인간의 잠재의식을 해방하고 인간의 본질을 드러내기 위한 원시 의식적인 체험을 시도했다.
그의 부모는 레반트 지방 그리스인의 혈통을 일부 물려받았고, 그는 이러한 배경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그가 신비주의에 끌렸던 것은 그러한 영향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평생을 정신질환으로 고생한 그는 여러 차례 수용소를 들락거렸다. 초현실주의 경향의 시 작품인 <성소의 중심(L'Ombilic des limbes)>(1925), <신경체계(Le Pese-nerfs)>(1925)를 영향력 있는 비평가인 자크 리비에르에게 보냈고, 이때부터 그 둘 사이에는 오랜 세월에 걸친 서신왕래가 시작되었다.
파리에서 배우 수업을 마친 후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경향이 짙은 오렐리앙 마리 뤼네 포의 외브르 극장(Theatre de l'Oeuvre)에서 처음으로 공연했다. 초현실주의의 지도자였던 시인 앙드레 브르통이 공산주의를 옹호하자 이들과 결별했다. 초현실주의 운동이 지닌 힘은 정치와 무관한 것이라고 믿은 그는 또 한 사람의 이탈자인 극작가 로제르 비트라크와 합류하여 알프레드 자리 극장(Theatre Alfred Jarry)에서 활동했지만 오래가지는 못했다. 아벨 강스의 영화작품 <나폴레옹(Napoleon)>(1927)에서 마라 역을 맡아 연기했고, 카를 드레예르의 고전적인 영화 <잔 다르크의 수난(La Passion de Jeanne d'Arc)>(1928)에서는 수사로 열연했다.
그의 <잔혹극 선언(Manifeste du theatre de la cruaute)>(1932), <연극과 그 이중(Le Theatre et son double)>(1938)은 배우와 관객이 마귀를 쫓는 마술적인 의식 속에서 일체가 되는 것을 추구한다. 배우의 몸짓, 효과음, 기이한 장면과 조명이 합쳐져서 말보다 더 뛰어난 언어가 생겨나며, 그 언어를 사용해서 사상과 논리를 뒤엎고 관객에게 그들이 살고 있는 세계의 천박성을 보여줌으로써 충격을 주려는 것이다.
그 자신의 작품들은 이론서만큼 중요하지는 않으며 모두 실패작이었다. <쌍씨( Les Cenci)>는 1935년 파리에서 공연되었는데 그 당시로서는 너무나 대담한 실험작이었다. 그러나 그의 이론은 장 주네, 이오네스코, 사무엘 베케트 등의 ‘부조리극’을 비롯해 당시 연극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던 언어와 합리주의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했던 모든 예술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멕시코 여행을 마치고나서 쓴 <멕시코(Mexico)>(1936), <사회의 자살자 반 고흐(Van Gogh, le suicide de la societe)>(1947), <왕위에 오른 무정부주의자 엘리오가발(Heliogabale, ou l'anarchiste couronne)>(1934) 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blog.aladin.co.kr/balmas/5497 발리바르-[마르크스를 위하여] 재판 서문l번역

발리바르-[마르크스를 위하여] 재판 서문l번역
balmas l 2003-12-22 03:23
http://blog.aladin.co.kr/balmas/5497
Etienne Balibar, “Avant-propos pour la réédition de 1996”, in Pour Marx, La Découverte, 1996.
“맑스를 위하여”―하나의 호소, 거의 구호에 가까운 이 제목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또는 아마도 새롭게, 30년 전과 마찬가지로 높고 우렁차게 울려 퍼진다. 하지만 다른 이유들 때문에, 그리고 전혀 다른 맥락에서 그렇다. 알튀세르의 책은 이제 새로운 독자들에게 전달될 것이고, 이 책을 다시 읽게 될 예전의 독자들의 경우는 사람 자신만이 아니라 텍스트를 수용하는 방식까지도 크게 변화했다.
1965년 이 책의 초판이 출간되었을 때는 자신의 고유한 논리 및 윤리를 지닌 특정한 방법에 따라 맑스를 읽자는 선언과 동시에 맑스주의, 좀더 정확히 말하면 진정한 맑스주의(한 운동, 한 “당파”와 분리할 수 없는, 그리고 이를 공개적으로 내세우는 이론, 철학으로서)를 위한 선언이 중요한 문제였다. 오늘날의 경우는, 아마도 이 책에서 과거의 일을 끄집어내려고 하는 또는 심지어 상상적으로 이를 재개하려고 하는 향수에 젖은 몇몇 사람들을 제외한다면, 돌이킬 수 없이 끝나버린 맑스주의의 종언 이후, 맑스주의를 넘어서, 맑스를 읽고 연구하고 토론하고 활용하고 변혁하자는 호소가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이는 한 세기 이상 동안 맑스주의로 존재해 온 것에 대한, 이를 우리의 사고 및 우리의 역사와 결부시키는 복합적인 연계들에 대한 놀랄 만한 무지나 또는 보수주의적인 경멸을 용인하면서 그렇게 하자는 뜻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배제(foreclusion)는 늘 그렇듯이, 때로는 상반된 색조를 띠기도 하는 가상과 오류의 반복만을 낳을 뿐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러한 호소는 맑스 자신이 맑스주의와 맺고 있는 심층적으로 모순적인 관계, 이를 입증해 주는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분석하려는 집요한 노력에 대한 호소다.
사실 이 책에는 맑스주의에 이론적인 실체와 형태를 부여하고자 하는, 저물어가는 20세기에 이루어진 가장 독창적이고 가장 웅변적인 그리고 또한 가장 설득력 있는 논거를 지닌 시도들 중 하나가 담겨 있다. 맑스에 대한 해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이 시도는 분명 맑스의 작업 및 그 계승자들의 “작업들”들에 대한 인식과 동시에 몰인식을 표현해 주었다(tradusait). 하지만 이 책에는 또한―적어도 나는 어느 때보다도 이를 더 분명하게 느끼고 있다―맑스의 사고 양식, 또는 알튀세르가 제안한 표현에 따르면 그의 “이론적 실천”에 고유한 어떤 것이 다시 출현했는데, 이는 어떤 “맑스주의”로도 환원되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자신의 고유한 방식에 따라 맑스주의의 한계들을 드러내 주는 데 기여했다. 이는 이 사고양식에 구성적인 명제들 및 아포리아들로 거슬러 올라가서 내부에서 이 작업을 수행했기 때문에 더욱 더 강력한 기여였다.
이 때문에 1965년 『맑스를 위하여』의 출간(및 몇 주 뒤에는 『자본을 읽자』라는 집단 저작의 출간)이 곧바로 점화하고, 앙리 르페브르 같은 위대한 맑스주의자들 및 레몽 아롱 같은 맑스주의의 위대한 적수가 참여한 “상상적 맑스주의”와 “현실적 맑스주의” 사이의 논쟁은 오늘날 더 이상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다. 모든 맑스주의는 상상적인 것이 되고 말았다. 하지만 그것들 중 일부, 서로 매우 다르고 사실은 매우 적은 또는 소수의 텍스트들이 대표하고 있는 몇 가지 맑스주의는 여전히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따라서 현실적 효과들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는 힘을 보유하고 있다. 나는 『맑스를 위하여』의 “맑스주의”가 능히 이것들에 포함된다고 믿는다. ...
하지만 꼭 필요한 몇가지 역사적이고 전기적인 정보들을 제시하기에 앞서, 이 기록과 그 독자들 사이에 여러 개의 가리개―여러 가지 설명틀―을 만들어 놓을지도 모를 “낡아빠진” 독해의 시도를 예방하고 싶다.
『맑스를 위하여』에 수록된 텍스트들은 1961년에서 1965년 사이에 출간되었다가 한 권에 묶였다는 점을 잘 알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이는 한편으로는 스탈린의 범죄에 대한 “흐루시초프의 보고”(1956)와 부다페스트 봉기 및 수에즈 파병(둘 모두 1956에 벌어졌다), 쿠바 혁명의 성공(1959), 알제리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고 알제리 무장 봉기 이후 드골 장군의 권력으로의 복귀(1958-1962), OECD의 창립(1960), 베를린 장벽 축조(1961) 같은 프랑스사 및 세계사의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국의 베트남전 개입(1965), 중국의 문화 혁명(1966에 시작), 프랑스와 다른 나라(멕시코, 독일, 미국, 폴란드 ...)에서 68년 5월에 일어난 사건들, “프라하의 봄” 및 체코슬로바키아 침공(마찬가지로 1968년), 사회당과 공산당 사이의 “좌파 연합에 따른 공동 강령”(1972), 70년대 “유로 공산주의” 탄생, 아옌데 정권의 몰락 및 아옌데 피살(1973), 포르투갈의 “카네이션 혁명”(1974) ... 등과 관련되어 있었다.
『맑스를 위하여』의 테제들을 맑스주의 및 맑스에 대한 논쟁의 역사만이 아니라 20세기 철학사―이 테제들은 이 역사 안에 아주 가시적인 흔적을 남겨 놓았다―안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이 책이 1960년이라는 아주 놀라운 해 바로 다음부터 쓰여졌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게 유익할 뿐 아니라, 아마도 필수불가결할 것 같다. 1960년 이 해에는 메를로-퐁티의 『기호들』([모스에서 레비-스트로스까지] 및 [마키아벨리에 대한 노트]가 수록된)과 사르트르의 『변증법적 이성 비판』(레비-스트로스는 1962년 『야생의 사고』에서 이 책에 답변할 것이다), 질-가스통 그랑제(Gilles-Gaston Granger)의 위대한 인식론 저서 『형식적 사고와 인간 과학』 및 가스통 바슐라르의 『몽상의 시학』, 앙리 에(Henry Ey)가 조직한, 라캉을 중심으로 한 정신분석에 관한 본느발 회의, 마지막으로 루카치의 『역사와 계급 의식』의 불어 번역(저자 자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이 출간되었다.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 생활 비판』(1958, 1961)과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1961), 자크 데리다의 『후설 『기하학의 기원』 서론』 및 레비나스의 『총체성과 무한』, 하이데거의 『니체』 강의 출간은 『맑스를 위하여』의 시작과 같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그리고 계획적으로가 아니라 “개입”이라는 우연적 기회들에 따라 『맑스를 위하여』가 쓰여지고 있는 동안, 장-피에르 베르낭의 『그리스인들의 신화와 사상』(1965),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1963),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구조 변동』(1962),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1963), 르루아-구랑의 『행동과 말』 및 레비-스트로스의 『신화론』 1권(1964), 칼 포퍼의 『추측과 논박』과 비유멩의 『대수의 철학』(1962), 그리고 또한 코이레의 『뉴턴 연구』(1965)가 잇따라 출간됐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출간된 후 곧바로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의 『1차원 인간』, 피에르 쉐퍼의 『음악대상론』, 장켈레비치의 『죽음』, 바르트의 『비평과 진리』, 벤베니스트의 『일반 언어학의 문제들』, 푸코의 『말과 사물』, 라캉의 『에크리』, 캉길렘의 [개념과 생명][1968년 『과학사 및 과학 철학 연구』에 재수록] 등이 뒤따랐는데, 이 모두는 또 하나의 놀라운 해인 1966년에 출간되었다 ...
요컨대 프랑스 대학의 심장부에 거주하는 프랑스 공산당의 “기층”의 투사[평당원, militant “de base”]인 한 철학자의 『맑스를 위하여』의 저술 및 출간은, 점령 기간 중에 태어난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냉전이 “평화 공존”으로 역전(또는 연장)되었을 때, 탈식민화가 불가피하게―하지만 항상 힘겨운 투쟁 끝에―일반화된 반제국주의와 사회주의로 향하는 것처럼 보였을 때, “중심의” 자본주의 사회들의 경제적 성장과 문화적 변동이 부와 권력의 분배에 대한 반대를 확대하는 데까지 이르렀을 때, 서유럽에서 (여전히) 민족적이고 (얼마간) 사회적인 국가가 세계화로의 전환점을 준비하고 있는 반면, 동쪽에서는 스탈린 이후의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의 공공연하거나 잠재적인 위기가 여러 가지 형태로 “혁명 속의 혁명”(레지스 드브레)의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처럼 보였을 때인 전후의 긴박한 정세에 개입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두는 것이 유익하다.
그리고 이 책은 전쟁 직후와 관련하여 철학 논쟁이 자신의 대상 및 스타일을 바꾸고 있던 시기에 출현했다는 것을 알아두는 것도 유익하다. 단지 “의심의 철학들”―그 위대한 스승은 니체이고, 부차적으로는 프로이트 내지는 “구조주의들”이다―, 즉 사회적 실천과 의미작용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들(disciplines)에게 그것들에 본래적인 과학성을 부여하려는 야심을 지닌 철학들이 주장되고 있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푸코가 자신의 천재적인 종합적 정식화의 능력으로 곧바로 말하게 될 것처럼 “지식과 권력의” 질문들이 오랫동안 도덕과 심리학(여기에는 현상학적 심리학도 포함된다)의 질문들을 압도하게 될 것이기 때문만도 아니다. 또한, 그리고 아마도 무엇보다도 이 시기 전체 동안 역사와 인류학, 정신분석과 정치를 관통하면서 철학은 이전 그 어느 때보다 더 자신의 타자, 자신의 무의식, 비철학에 직면하고, 이것들과 대결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철학이 당시에 추구하던 것이 자신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기 비판과 자신의 재구성의 수단들을 발견하는 것이었다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분명히 바로 이것이, 모든 믿음들 및 소속들과 관련된 문제는 제쳐 둔다면, 철학이 맑스와 치열한 논쟁을 벌인 이유 중 하나였다.
그렇다, 이 모두는 유용하고 필수적이다. 하지만 거듭 말하거니와 『맑스를 위하여』는 기록 문헌(document)이 아니다. 이는 책이며, 여기에는 두 가지의 타당한 이유가 존재하는데, 이제부터 가능한 한 간명하게 그 이유들을 환기해 보고 싶다.
첫째로 『맑스를 위하여』는 용어의 강한 의미에서 쓰여진 것이다. 이 책은 알튀세르의 철학 스타일을 가장 명료하게 표현해 주는 것들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다수의 미간행 원고들―이중 어떤 것들은 매우 이른 시기의 원고들이고 또 어떤 것들은 말년의 원고들이다―의 출간 덕분에 우리는 이제 이 스타일이, 고전들의 취향으로 가득차 있고 영성과 역사에 대한 관심에 푹 젖어 있는, 매우 논쟁적인 한 사춘기 소년의 펜으로부터, 그 이후에는 우수한 대학 논문을 쓴 젊은 필자로부터 쓰여진 몽상들과 에세이들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추구되어 왔다는 것을 알고 있다. 나중에 가면 이 스타일은,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 유물론”을 그 고유한 지반 위에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려는(concurrence) 이론적 투사의 시도 속에서, 그리고 허구적인 법정에 제출하기 위해 쓰여진 검사의 구형논고이자 동시에 변론인 자서전의 고백(나는 이 주장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 속에서 사라지고, 예외적으로 번득이는 자취 속에서 엿보일 뿐이다. 하지만 『맑스를 위하여』에서―이미 저 비범한 『몽테스키외, 정치와 역사』[PUF, 1959; 1992년 Quadrige 총서로 재출간]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마키아벨리와 우리』[L. Althusser, Écrits philosophiques et politiques, tome II, ed. François Matheron, Stock/IMEC, 1995, pp. 42-168]라는 “책”(왜냐하면 이는 한 권의 책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책이 그의 책상서랍에서 그에게는 유일하게 “이론”의 영예를 얻을 만한 것으로 보존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에서―이 스타일은 가장 훌륭하게 표현되고 있어서 이 책의 첫 번째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이는 과학의 엄밀함에 대해 말하고, 그 수사법적, 개념적 경제성을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 주는 스타일이면서 또한 매우 예외적으로 정열적인 스타일이기도 하다. 즉 알아내기 힘든 원천들에서 체험된 그 모든 정열이 일종의 추상의 서정주의(언젠가 알튀세르가 크레모니니에 대해 “추상 회화”가 아니라 “추상적인 것에 대한 회화”라고 말하게 될 의미에서)로 표현되는 스타일인 것이다. “결과들의 힘”([아미엥에서의 주장])이 공언되는 이 스타일은, 원하는 모든 것을 파스칼과 루소에게, 페귀와 사르트르(이는 분명한 사실이다)에게, 맑스와 니체에게 빚지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절대적으로 독특한, 말하자면 개인적으로 공적인 어조를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이는 우리에게 글쓰기의 발명 없이는, 이 글쓰기가 “편”드는(prend le “parti”) 개념에 의한, 이 개념을 위한 글쓰기의 발명 없이는 철학―추론적이든 반성적이든, 아포리즘적이든 논증적이든 간에―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다시 한번 입증해 준다.
두 번째로, 『맑스를 위하여』는 아무런 고유한 교의도 제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는 주어져 있는 한 교의(또는 이론), 즉 맑스의 교의를 위해 “봉사한다.” 하지만 이 교의는 실존하지 않는다는, 적어도 체계적 서술의 형태로는 실존하지 않는다(왜냐하면 “변증법적 유물론”의 이론화는 분명히 이 교의의 희화화에 불과하기 때문이다)는 기묘한 특수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알튀세르가 설명하듯이 구상[ébauches]과 응용, “전제 없는 결론들” 내지는 “맑스주의의 이론적 작업들” 및 “실천적 작업들”에서 그 자체로 정식화되지 않은 문제들에 대한 답변들의 형태로 이를 발견함과 동시에 진정으로 이를 생산해야 한다.
즉 개념들을 명명하고 분절하고, 개념들이 그 속에 놓여 있는 테제들(사실은 물론 가설들)을 언표해야 한다. 알튀세르가 『맑스를 위하여』에서 맑스로 하여금 그가 실제로 말했던 것 이상을, 그리고 그와는 다른 것을 말하게 하면서, 하지만 또한 인식론과 정치, 형이상학의 모든 영역으로 맑스에서 유래한 질문들과 통념들을 수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으면서, 놀랄 만한 개념적 도구들의 배형(constellation)을 생산함으로써 끊임없이 수행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알튀세르는 [서문]([오늘], II, p. 24)에서 자신이 제시한 맑스 독해의 가설들을 “문제설정”(그는 이를 1963년에 죽은, 그리고 이 책이 헌정된 자크 마르탱(Jacques Martin)에게 빌려 왔다고 말한다)과 “인식론적 절단”(그는 이를 자신의 선생이었던 가스통 바슐라르에게 빌려 왔다고 말한다)이라는 주요한 두 가지 이론적 개념과 결부시켰다. 사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이 두 개념―이 개념들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함께―은 “알튀세르주의”의, 또는 오히려 그가 인식론 담론에 남긴 흔적의 서명 표시로 표상/대표된다. 『맑스를 위하여』의 기획에 본질적인 이 개념들은 하지만 분명히 『맑스를 위하여』의 이론적 내용 전체를 소진시키지는 않는다. 나로서는 이러한 단순화된 소개―여기서는 토론하는 게 문제가 아니라 논쟁의 소재를 지적해 두는 게 문제다―가 지닐 수 있는 모든 위험을 감수하면서, 상호 독립적인 통념들과 질문들의 세 가지 배형을 확인해 두고 싶다.
한 가지 배형은 “인식론적 절단”을 중심으로 조직된다. 사실 이 개념에는 이론적 실천, 과학성, 그리고 관념들이나 사고들 자체가 아니라 이것의 물질적 가능성의 체계적 통일성으로 사고된 문제설정(이 개념은 아마도 하이데거의 프로블렘슈텔룽(Problemstellung)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유래한 것 같다. 그리고 나중에 들뢰즈와 푸코의 “문제화”(problématisation) 개념과 이를 비교해 보면 아주 흥미로울 것이다) 같은 개념들이 속할 만한 충분한 권리를 갖고 있다.
여기가 가장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지점인데, 이는 과학이라는 관념이 품고 있는 정서들 및 이 관념이 포함하고 있는 난점들 때문에 더욱더 그랬다. 이 점에 관해서는 두 가지 관찰만 제시해 두겠다. 알튀세르는 상이한 자기비판들(특히 “변증법적 유물론” 또는 “이론적 실천의 이론”이 과학 담론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철학 담론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관하여)을 전개할 때에도 (『자본』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맑스의 이론이 엄밀한 의미에서 과학적인 중핵을 포함하고 있다는 관념에 대해서는 양보하지 않은 반면, 맑스 이론의 과학성에 대한 관점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전혀 그런 적이 없었던 것은 아닌지 질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연구인 [알튀세르의 대상](국역: [철학의 대상: ‘절단’과 ‘토픽’], 윤소영 옮김, 『알튀세르와 맑스주의의 전화』(이론, 1993) 참조]. 또는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이는 (이데올로기적 가상들을 넘어) “현실적인 것으로 회귀”한다는 관념으로부터 “이론적 전유”―이는 동시에 과학이 대립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과학”이자 이데올로기에 고유한 가상적 권력에 대한 과학이기도 하다―라는 좀더 스피노자적인 관념으로 진화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맑스를 위하여』 및 후속 논문들이, 실존하는 과학성의 모델을 맑스주의적 논쟁 안으로 “수입”한 것인지 아니면 오히려 (또는 어쨌든 동시에) 역사유물론 (및 정신분석)이 구성하는 (갈등적이면서 엄밀한) 독특한 인식의 실천으로부터 출발해서 “과학” 개념을 개조하려고 한 것인지 질문해 볼 수 있다(또한 마땅히 질문해 봐야 한다). 이 경우 “과학”이 우리에게 절단이 무엇인지 알려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맑스의 절단에 고유한 명증성(흄식의 감각론적 형태뿐만 아니라 헤겔식의 사변적인 형태까지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경험론 및 직접성에 대한 비판으로서)이야말로 과학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우리가 다시 질문해 보도록 촉구한다. 다시 말해 과학이 포함하는, 하지만 과학이 필연적으로 그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지는 않은, 인식과 진리 효과들 자체에 관해 질문해 보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 가공된 두 번째 배형은 구조라는 통념을 중심으로 조직된다. 이 통념은 분명 체계적 통일성 내지는 “총체성”라는 관념에 준거하지만, 이 후자는 완전히 내재적인 방식으로, 또는 엄밀히 말하면 [자신의 효과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부재하는 원인”의 양식으로 자신의 효과들 안에서 주어질 뿐이다(알튀세르는 나중에 이를 자신의 다양한 양태들 안에 내속하는 스피노자의 실체와 비교하게 된다). 문제는 맑스 및, 그와 그 이후의 다른 맑스주의자들(특히 정세, “구체적 상황”에 대한 분석을 할 때의 레닌)이 역사 안에서 발견하고 싶어 하는 인과성의 유형 자체이기 때문에,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문제의 다양성이 실천들의 다양성이라는 점이다. 실천들의 총화를 구조화하는 것은 실천들이 서로에 대해 작용하는 방식을 가지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과 다르지 않다. 알튀세르는 실천들은 오직 본질적이고 환원불가능한 과잉결정의 양식으로 서로에게 작용한다고 말하는데, 어떤 “복잡성의 감축”도 이 과잉결정 너머에서 선형적 결정 관계의 단순성을 재발견할 수 있게 해주지 못한다. 그와는 반대로 여러 실천들 중 하나에 의한 “최종 심급에서의 결정”이 주장되면 될수록, 이와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지배”(domination), 또는 “지배작용”(dominance)의 필연성이 생겨 나고, 따라서 “순수한” 경제적 경향의 실현을 가로막는 장애물들의 다양화가 생겨 난다. 그리고 이 장애물들이야말로, 다른 의미에서 본다면, 유일하고 진정한 “역사의 동력”을 이루는 계급투쟁의 소재 전체를 구성하는 것들이다.
구조에 대한 이러한 관점 ... 은 인문과학들의 인식론을 분할하고 있는 방법론적 “개체론”과 방법론적 “유기체론” 내지는 “전체론”에 대한 이중적 거부에 의해 부정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관점은, 적어도 형태상으로는, 근원적으로 관개체적인(transindividuelles) “관계들”(“rapports” ou “relations”)의 결합으로서의 사회적인 것을 이론화하는 데서 철학적인 표현을 제공해 준다. 맑스는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에서 고전적인 관념론 및 유물론에 직면하여 이러한 이론화의 필요성을 깨달은 뒤, 계속 이에 관한 작업을 시도했다. 구조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피콜로 극단: 베르톨라치와 브레히트(유물론적 연극에 관한 노트)]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주관적 시간들의 분리 내지는 거리두기의 구조라는 관점에서 비범하게 소묘되고 있는 “의식”이라는 인간학적 범주에 대한 비판을 자신의 대응물로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책 전체의 이론적이고 기하학적인 중심이지만, 이 책에서 이 논문은 “도둑맞은 편지”로 나타나는데, 이는 누구도 이를 그 자체로[즉 이 책의 중심으로] 읽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는 이 논문이 미학에 관한, 연극에 관한 논문이라는 암묵적인 이유(raison honteuse) 때문이리라.
하지만 그렇다면 다시 한번, 알튀세르가 여기서, 궁극적으로는 역사나 역사성이 아니라, 아주 정확히 말하자면 역사 안에서 우연의 필연성을 사고하기 위해―단지 맑스 이론의 “시작들” 및 진화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구조”라는 관념을 활용하는 방식에 내재하는 난점이 드러나게 된다. 한편으로 과잉결정이라는 관념은 사건이 포함하는 예견불가능성과 비가역성의 역설적 결합과 함께 사건의 가지성에 응용되었다( ... “정세” ... ). 다른 한편으로 이는 생산양식들의 범역사적 비교에, 따라서 계급투쟁 및 사회구성체의 역사적 경향에 응용되었는데, 여기서 문제는 이것들을 진보의 이데올로기들 및 경제주의적 진화주의와 “역사의 종말”이라는 종말론에서 떼어내는 것이었다. 간단히 말한다면 한편으로는 공산주의 혁명들에,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주의적 이행들에 응용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엄밀히 말한다면 이 양자는 같은 것이 아니다. 연속적인 것으로 제시되는 [모순과 과잉결정], [유물변증법에 대하여]라는 위대한 두 논문을 읽거나 다시 읽어본다면, 내 생각으로는, 첫번째 논문은 사건에 대한 사고쪽에서 과잉결정을 이끌어내는 데 비해, 두 번째 논문은 경향 및 시기 구분쪽에서 이 개념을 이끌어낸다는 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분명 하나의 관점을 다른 관점과 대립적으로 선택하는 데 있지 않다. 오히려 해결책은 『맑스를 위하여』에서, 그리고 여기에 나타난 구조에 대한 관념에서 이 두 관념 사이의 긴장, 또는 상호성으로서의 역사성이라는 질문에 대한, 결론은 아니겠지만, 매우 밀도있는 논의를 확인하는 데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데올로기라는 통념 및 질문 주위에서 조직되는 배형이 남아있다. 한편으로는 (정치적이면서 철학적인 이유들 때문에) “이데올로기(들)”에 대해 말하기를 중단하지 않으려는 사람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이 통념에서 해석학이나 역사에 대한 담론의 계보학의 주요 장애물을 발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진 이 문제에 대한 30여년 간의 토론―이 역시 하나의 주기를 이루고 있다―이후에, 아마도 이데올로기에 대한 “알튀세르의” 관점에 대해 간단히 몇 마디를 결론적으로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이 통념은 그의 철학적 기획 및, 담론으로서, 학문으로서 철학과 그가 맺고 있는 관계의 핵심 자체를 구성한다. 왜냐하면 이데올로기라는 통념은 철학이 자신의 “자기의식”―옳은 것이든 그른 것이든 간에―을 통과해서, 그 자신을, 그 자신이 아닌 것, 즉 사회적 실천들의 장 안에, 자신의 물질적 가능성의 조건들과 관련하여 위치시킬 수 있게 해주기(또는 가설상으로는 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한 그 자신을 제거해 버리거나 “반영물”로 환원시키지는 않고서. 바로 이 점에서 이 통념은 알튀세르의 이론을 그의 철학적 모델들, 즉 스피노자 및 어떤 프로이트와 결합시키는 능동적인 혈통 노선을 구성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철학 담론의 자율성과 자족성의 이론가가 아니라 타율성의 이론가들이다. “토픽”, 즉 사고가 분석하는 갈등의 장 안에서 사고의 위치에 관한, 따라서 사고의 현실적이지만 유한한 역량에 관한 이론가들인 것이다.
알튀세르는 이후에도 이데올로기 일반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는 근본적으로 결코 변화하지 않았다. ... 이데올로기는 역사적 존재(Sein)에 대한 의식(Bewusstsein), “물질적인 실존 조건들”을 반영하고 “현실적인 것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있는”(즉 추상적, 관념적인) 담론들로 표현되는 “사회적인 의식의 형태”가 아니다. 이는 개인들이 자신들의 실존 조건과 맺고 있는 관계를 상상적으로 영위하는 의식 및 무의식의(재/인지 및 몰인식의) 형태다. 바로 여기에 적어도 모든 이데올로기적 구축물의, 특히 계급 투쟁의 연속적인 형성체들 속에서 역사적 이데올로기들(“중세적”이고 “부르주아적”이며, 또한 “프롤레타리아적”인)이 담당하는 기능의 기본적인 수준, 근본 층위가 존재한다.
이로부터, “이데올로기의 종언”은 존재하지 않으며 역사의 종언 역시 그것이 이데올로기의 종언 또는 사회적 관계들의 투명성으로의 회귀의 다른 이름인 한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파괴적인 사실의 확인이 직접 따라나온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알튀세르는 단지 “자신의 진영에 맞서” 집요하게 작업(그는 이것이야말로 철학의 본질적 기능들 중 하나라고 말한 바 있다. 그리고 바로 이 때문에 철학자는 진영을 가져야 한다)했을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을 명백한 형태상의 모순에 빠지게 만들었다는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사실 그는 계속해서―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맑스를 위하여』는 오직 이를 주장하기 위해 쓰여졌다―이데올로기에 대한 이 정의는 유일하게 인식가능한 맑스주의적 정의, 어쨌든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맑스의 이론화와 일관된 유일한 정의이며, 이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론을 보완할 수 있게 해준다. 분명 (다시 한번 내 주장에 대해 기꺼이 책임을 지겠다)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아서 이러한 정의는 맑스 자신(엥겔스의 경우는 제쳐 두고)이 정식화할 수 있었던 정의들(특히 『독일 이데올로기』에서)의 정반대일 뿐만 아니라, 알튀세르의 집요한 적용은 사실은 맑스주의 이론 및 그 공언된 완결성에 대한 “해체”로 인도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알튀세르가 그러한 정의야말로 “유물론적”이라고 주장하면 할수록, 아무런 어긋남 없이 “유물론적”이면서 동시에 “맑스주의적”인 철학의 지평은 점점 더 그 앞에서 멀어져 갔다.
분명 이 지점에서 알튀세르의 자기비판들에 대해 한 마디 해두는 게 좋을 것이다. 하지만 간략하게, 그저 독자들이 가장 특징적인 텍스트들을 참조하게 하는 정도로 그치고 싶다.
이제 우리는, 이름 그대로 지칭되든 아니든 간에, 다수의 “자기 비판들”을 보게 된다. 이 자기 비판들은, 다른 사정이 동일하다면, 자신을 정당화하고, 자신을 정정하거나 와해시키고(심지어 자신을 파괴하고), 아마도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에게 복귀하려는 양가적인 성향을 표현하는데, 이는 전혀 알튀세르에게 (심지어 철학자들에게) 고유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분명히 그의 경우에 자기 비판은 그의 실존 및 그가 이론과 맺고 있는 관계의 독특성을 비가역적으로 표시할 만큼 통상적인 비율을 넘어서는데, 이는 그의 사상의 내적인 성향 때문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주위의 끔찍한 압력 때문이기도 했다. 문제는 이러한 정정들이 반복되고, 또 이처럼 반복되면서 전환된다는 데 있다. 우리는 또한 알튀세르 자신이 제시한 몇 가지 “길 안내”를 갖고 있지만, 이는 같은 길을 지시해 주지 않고 있으며, 이는 심지어 『맑스를 위하여』를 독해하는 데서도 마찬가지다.
내가 여기서 제안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가 이 주해들―이것들은 때로는 그 자체로 매우 흥미있으며, 또는 문제를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한다―을 사상해야 한다는 게 아니라, 이를 텍스트의 문자에 체계적으로 투사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는 내가 앞에서 우리는 『맑스를 위하여』를 그 시대와 그 환경 속에서 읽어야 하지만, 이를 기록 문서로 전환시키지는 말아야 한다고 제안했던 것과 마찬가지다.
이번 재발간에서 편집자는 매우 정당하면서 신중하게도, 알튀세르가 『맑스를 위하여』의 외국어 번역본들을 위해 1967년에 작성한, 그리고 거기에서 제시된 해명들 및 평가들은 프랑스 독자들에게도 똑같이 가치를 지니는 [독자들에게]라는 서문을 [후기]라는 이름으로 포함시키고 싶어했다. 이 [서문]에 반영되어 있는 입장들(“이론주의”에 대한 자기 비판, “구조주의”에 대해 거리두기, 과학과 철학의 차이에 대한, 그리고 철학과 정치, 특히 혁명적 정치의 내적 연관성에 대한 강조)은 『레닌과 철학』(1968) 및 『자기 비판의 요소들』(1974)에서는 이론의 시각에서, 『입장들』(1976)이라는 논문 모음집 안의 몇몇 텍스트들(특히 [혁명의 무기로서의 철학] 및 마르타 아르네케르의 저서에 대한 서문으로 쓴 [맑스주의와 계급투쟁])에서는 정치의 시각에서 다시 제시되고 가공된 자기 비판들과 같은 것들이다. 이 자기 비판들은 알튀세르 자신이 선택했던 투쟁 동지들이지만 서로 불구대천의 원수지간이었던, 하지만 또한 이론의 고상한 시선을 위해 “계급 투쟁을 잊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환기시키려고 했던 양쪽 편(프랑스 공산당(PCF)의 공산주의자들과 맑스-레닌주의 청년 동맹(UJCML)의 마오주의자들)에서 동시에 가해졌던 폭력적인 압박을 반영하고 있다. 좀더 근본적으로 말하면 이 자기 비판들은 자신의 이론적 수단들을 통해 확장된 맑스주의 이론의 장―여기서는 착취 및 프롤레타리아 투쟁의 조건들이 “최종 심급에서 결정적이다”―안으로 당대의 68년 5월 및 다른 사건들을 끌고 들어가 해명하려고 했던 알튀세르의 시도를 반영한다. 또는 좀더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 자기 비판들은 하나의 “실천”으로서 이론을 끝까지 사고하는 데―이 시도가 사활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해도―는 난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이런 의미에서 나는 아무런 회고적인 진리도 지니고 있지 않지만, 이 문제를 아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믿고 있다.
상이한 시기에, 상이한 목적에 따라 생산되었고 상이한 측면들에 집중하고 있는 두 개의 또다른 “자기 비판”을 지적해 두고 싶다. 하나는 [아미엥에서의 주장](1975년에 쓰였고, 1976년 에디시옹 소시알에서 출간된 논문 모음집 『입장들』에 재수록)에서부터 1980년의 파국 이전이나 이후에 쓰인 매우 암시적인 또는 매우 밀도높은 몇 개의 텍스트들(1984년 페르난다 나바로와의 『대담』[『철학에 대하여』, 서관모,백승욱 옮김(동문선, 1995)]에서 나타나는, 근대의 변증론자들보다는 에피쿠로스에서 영감을 받은 “불확실성의 유물론”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암시 같은 것들)에까지 진행된다. 과소결정이라는 단어가 이전의 저작들에서 단 한 차례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알튀세르는 1975년 국가 박사학위 심사위원들에게 제출한 [아미엥에서의 주장]이라는 텍스트에서 모순과 그에 고유한 “불균등성”에 관해 수수께끼처럼, 과잉결정은, 이것 못지 않게 본질적인 과소결정이 없이는 결코 작용하지 않는다고 선언한다. 양자가 교대로 작용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인과적 결정 자체 안에서 작동하고 있는 동일한 구조에 양자 모두가 구성적이라는 의미에서 말이다. 여기서 주석 및 보충이라는 은폐된 형태로 이루어진 자기 비판을 읽어내야 할까? 나는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 자기 비판은 다른 것들보다 더 구성적이라는 점에서 훨씬 흥미로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 비판이 제공하는 암시―우연의 필연성을 “구조적으로” 해명한 이후,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는 이러한 우연의 우연성, 동일한 사건의 내부에서 공존하는 가능태들 내지는 경향들의 “과소결정된” 다양성을 표현하는 것이다―는 하나의 테제나 심지어 하나의 가설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철학적 프로그램이라는 점 역시 확실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blog.aladin.co.kr/780426173/904727

스톡 Stock출판사와 현대출판기록연구소 IMEC가 공동으로 간행했던 알튀세르의 불어판 유고집 가운데 하나가 Verso에서 영역 출간되었다. 『루이 알튀세르, 인간주의 논쟁과 다른 글들』 Louis Althusser, The Humanist Controversy and Other Writings(verso, 2003)이라는 제목에서 보듯이, ‘인간주의’라는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1966-67년 사이에 쓰인 알튀세르의 글들을 모은 것이다.

이 책은 영역자인 고슈가리앙 G.M. Goshgarian이 붙인 서문과 여섯 편의 글들로 채워져 있다. 이 가운데 두 편의 글을 제외하고는 모두 알튀세르 사후에 발견된 그의 미발표 문헌들 가운데 추려진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글들에는 글들이 쓰인 혹은 편집된 경위나 과정 등에 관한 불어본의 엮은이인 프랑스와 마트롱 F. Matheron의 짧은 해제가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첫 번째 글인 「철학적 정세와 맑스주의 이론 연구」는 같은 제목의 서로 다른 두 개의 판본이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는 미완성의 글이며, 이 책에 실린 다른 하나는 1966년 6월 파리 고등사범학교의 강의 내용을 담고 있다. 마트롱에 따르면 알튀세르의 이 강연 글은 두 가지 목적을 두고 행해졌는데, 그 하나는 자신의 저작인『맑스를 위하여』와『자본을 읽자』가 출간된 이후의 이론적 정세에 대한 평가이며, 다른 하나는 공동의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는 전국적인 조직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었다.

두 번째 글 「레비스트로스에 대하여」의 경우는 엠마누엘 테레 E. Terray에게 보내진 편지에 동봉된 듯하며, 알튀세르는 테레의 책 『맑스주의와 원시사회』 Le Marxisme devant les societes primitives의 부록에 실린, 자신의 텍스트에 관한 테레이의 코멘트에 대해 알랭 바디우에게 견해를 묻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바디우의 답장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

세 번째 글 「담론에 관한 세 개의 노트」는 알튀세르가 철학적 및 인식론적 문제에 있어서 개별 분과학문 간의 분리와 그것의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그 바탕에 놓고 쓴 글이다. 그는 자신의 주변에 ‘이론적 연구 그룹 Theoretical Work Group'이라는 것을 만들고자 했는데, 이를 철학 및 인문학에 있어서 분과 학문적 차원이 아니라 ‘이론적 대상’, 즉 근본적인 이론적 문제를 중심으로 조직하려 했다. 따라서 이 글은 그의 이같은 시도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다. 또한 마트롱은 이 글을 통해 두 가지 사실을 우리가 알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 한 가지는 알튀세르가 일반적으로 체계에 대한 헤게모니를 입증하려 했다는 비난과는 정반대로, 구조주의가 정점에 이르렀던 시기에 있어서 역사유물론과 변증법적 유물론이 포함된 이론의 독자성에 주목하고, 인문학 가운데 어느 하나의 헤게모니 아래 이를 통합하려는 경향을 조심스럽게 피하려한 사유의 유형을 지녔다는 점이다. 그리고 다른 한 가지는 알튀세르가 무의식과 이데올로기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처음으로 이 글 속에서 제기했다는 점이다.

알튀세르는 1967년 자신이 재직하고 있던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독일 이데올로기』에 관한 세미나 강의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 이때 행한 강의는 사실상 그가 1960년에 포이에르바하의 저작들을 <철학적 선언>이라는 제목으로 묶어서 에삐메떼 Epimethee 총서로 불어 번역 출간했던 것과 긴밀히 관련된다. 즉『독일 이데올로기』강의는 그가 포이에르바하를 번역하면서 분석했던 초기 연구들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 세미나의 개략적인 틀을 ‘포이에르바하의 철학’, ‘맑스의 「1844년 초고」의 근본적인 이론적 원리에 관한 논평’, ‘「포이에르바하의 테제」에 관한 논평’, ‘『독일 이데올로기』에 관한 논평’ 등 네 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그러나 알튀세르 사후에 정리된 이 세미나 관련 문헌들 가운데 오직 한 주제만이 완성된 형태로 발견되어졌다. 이는 알튀세르의『독일 이데올로기』에 관한 세미나의 맨 처음 부분에 해당되는 텍스트로서, 이 책의 네 번째 글인 「포이에르바하에 관하여」이다.

다섯 번째 글 「맑스주의 철학의 역사적 임무」가 쓰인 1967년은 세계 역사상 첫 번째 사회주의 혁명이었던 러시아혁명 50주년과 맑스의 『자본』1권의 발간 100주년을 맞이하는 기념적인 해였다. 알튀세르는 세계 역사의 경로를 바꾼 위대한 두 혁명, 즉 ‘정치적 혁명’과 ‘이론적 혁명’을 기념하기 위해 맑스주의 이론의 현재 상황과 난제들, 그리고 그 임무와 관련한 자신의 생각을 이 글을 통해 제안하고자 했다. 하지만, 사실상 이 글은 많은 정치적 우여곡절 끝에 1968년 헝가리에서 번역 출간된 것을 제외하고는 알튀세르 생전에 빛을 보지 못했다. 마트롱에 따르면, 이 글은 알튀세르가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하던 1967년 4월, 소련의 철학 관련 저널인 《철학의 문제》Voprosy filosofi로부터 10월 혁명 50주년을 기념하는 원고를 요청받아 썼던 것이다. 이때 당시 알튀세르는 이 글을 소련뿐만 아니라 프랑스 국내에서도 출간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글의 수정 검토 과정에서 새로운 결론, ’철학과 정치‘를 추가시키면서, 이미『맑스를 위하여』와『’자본‘을 읽자』에서 해결하고자 했던 철학과 정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구체화시키는 한편, 철학은 이론의 ‘이론’(대문자)이 아니라 이론에서의 계급투쟁을 대변하는 정치적 실천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포함시킨다. 그러나 모스크바에서 그의 글이 너무 길다는 이유로 결론 부분이 축소되고 재번역되는 등 검열되었고, 결국 알튀세르는 이 글의 소련 내의 출판을 거절하게 되었다. 또한 <이론> 총서의 시리즈로 예정된 프랑스 국내에서의 출간 또한 알튀세르가 이 ‘역사적 임무’에서 제안된 철학의 새로운 정의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무산되었다.

마지막 글인 「인간주의 논쟁」이라는 제목을 가진 글은 두 개의 판본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이미 『레닌과 철학』(영역판 『몽테스키외, 루소, 맑스: 철학과 역사』)에 수록된 바 있으며, 이 책에 실린 글은 서문과 본문으로 구성된 두 번째 판본에 해당된다. 그런데 이 서문은 서로 다른 내용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상 이 글의 진짜 서문에 해당하는 부분은 앞부분이며, 이 부분만이 이 책에 포함되었지만, 편집에서 생략된 서문의 뒷부분을 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거기에는 알튀세르가 계획했던 또 다른 책의 출판과 관련된 글들에 대한 그의 짧은 언급들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그는 이 「인간주의 논쟁」이라는 글을 포함하여, 이미 『맑스를 위하여』에 수록된 「맑스주의와 인간주의」, 「현실적 인간주의에 대한 보충노트」와 더불어 두 글에서 발단이 된 논쟁과 관련된 다른 글들을 묶어 <인간주의의 논쟁>이라는 이름으로 책을 발표하려고 계획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 계획은 그의 손에서 이루어지지 못한 채, 오늘날 그의 유작의 형태로 부분적으로나마 실현되었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을 쓸(쓴) 당시의 알튀세르는 이미 1965년에 『맑스를 위하여』와『자본을 읽자』를 연달아 출판함으로써, 자신의 독특한 맑스의 이론적 독해방식을 세상에 알린 후였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그는 맑스주의 이론 논쟁의 쟁점에 서게 되었으며, 그의 이론적 입지가 거의 절정에 다다른 것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그러나 프랑스 내부의 인간주의에 대한 명백한 반인간주의 비판을 통해 이미 당과 치열한 이론적 접전을 펼치고 있었으며, 이는 이후 당 내부에 대한 직접적인 정치투쟁의 양상으로까지 번져나갔다. 그 결과 알튀세르는 당에서 제명되는, 그의 말에 따르면 ‘당 없는 공산주의자’가 된 것이다. 그리고 알튀세르는 이 시기에 철학과 이론, 그리고 과학에 대한 자신의 새로운 개념적 정의를 시도했다. 그는 레닌의 입을 빌어 모든 것은 철학과 과학, 그리고 철학과 정치의 관계라는 이중 관계 속에서 결정된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1965년의 두 저작을 통해 철학이 ‘이론적 실천의 이론’이라고 정의된 것과, 이후 이 정의가 개념화 자체의 오류이며 실증주의적 이론의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정식화라는 자기비판의 과정을 거친 결과였다. 이 새로운 철학적 개념은 계급투쟁을 대변하는 이론적 영역에서의 개입의 정치적 실천이며, 과학성을 대변하는 정치 영역에서 개입의 정치적 실천이고, 다른 심급들을 대변하는 본원적 심급으로 재정의된다.



그가 이 책에 실린 글들을 썼을 때는 40대 후반의 나이였다. 그러나 가장 원기 왕성했던 때의 그의 모습을 보는 일은 그리 흔하지 않았다. 눈가 밑에 굵은 주름이 박힌, 그리고 쾡하니 신경질적인 눈매를 갖은 노년의 모습만이 무척 뚜렷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여느 알튀세르의 저작과는 다르게 이번 역서의 이미지는 그의 엘렌느가 잘 생겼다고 감탄한 젊은 이마와 눈 감은 평온이 돋보이는 알튀세르의 모습을 담고 있다. 게다가 그는 카푸치노 한 잔을 앞에 놓고 그렇게 행복해 보일 수 없다. 맑스주의 이론의 전화와 전복을 평생 일 삼다가, 자신을 처절하게 분석하며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철학자에게 이런 표정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 마냥 생경스러운 것은 어쩌지 못할 노릇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Les principales expositions collectives
Le contexte des années 60-72 >
Publications >
(extraits de la chronologie établie pour le catalogue)

1960 :
Janvier :
11e Salon de la Jeune Peintur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Fondé en 1949 à l’initiative de Paul Rebeyrolle,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est dominé en 1960 par des peintres d’une figuration traditionnelle.
Parmi les participants : Eduardo Arroyo, installé depuis 1958 à Paris (1e participation au Salon), Henri Cueco (membre du jury), Michel Parré et Gérard Tisserand ainsi que Peter Saul, peintre américain installé depuis 1958 à Paris.

Mai
« KWY »
Université de la Sarre, Hombourg
Le groupe KWY, fondé en mai 1958 à Paris à l’occasion de la création de la revue éponyme, associe des artistes d’origine portugaise installés à Paris ou vivant au Portugal (René Bertholo, Lourdes Castro, Costa Pinheiro, José Escada, Joao Vieira, et Gonçalo Duarte) avec des artistes d’autres nationalités (Jan Voss [Allemagne] et Christo [Bulgarie], également installés à Paris.

1961 :
5 juin :
« Anti-procès 3 »
Galleria Brera, Milan
Texte d’Alain Jouffroy
Texte de Jean-Jacques Lebel
Exposition réalisée avec le concours des galeries milanaises del Naviglio et Schwarz.
Suite aux expositions « Anti- procès » 1 et 2 (respectivement à Paris et Venise, en 1960), « Anti-procès 3 » rassemble à Milan une quarantaine d’artistes dont Adami, Brauner, César, Crippa, Dado, Deschamps, Dufrêne, Ferró (Erró), Hains, Jouffroy, Jean-Jacques Lebel, Recalcati, Tinguely, Vostell.
Une quinzaine de jours après l’inauguration de l’exposition, quatre oeuvres sont saisies par la Questura (préfecture de police) de Milan « pour offense à la pudeur, à la religion de l’Etat » :
Un tableau de Müller, un assemblage de Deschamps, une toile de Ferró Flux de la Sharpeville asexué, censurée pour sa « pornographie », ainsi que le Grand Tableau anti-fasciste collectif à l’élaboration duquel Ferró (Erró) et Recalcati ont participé, dans l’atelier de Crippa, avec Baj, Dova et Jean-Jacques Lebel.

Juillet
« Proposition pour un jardin 2 »
Orsay
« Exposition-spectacle » présentée par la revue Sens plastique et organisée par le critique d’art Jean-Jacques Lévêque.
Parmi les participants : Bertholo, Bertini, Castro, Christo, Spoerri, Voss, Vostell et Bernard Rancillac (1re exposition personnelle à Paris en 1956, galerie Le Soleil dans la Tête).
Une rétrospective du groupe KWY est présentée lors de l’exposition.

29 septembre / 5 novembre :
2e Biennale de Paris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Fondée en 1959, la Biennale de Paris a été mise en place sous le patronage d’André Malraux, ministre de la Culture, pour permettre aux jeunes artistes français et étrangers de moins de 35 ans d’avoir leur manifestation périodique.
Parmi les participants :
Arman, Brusse, Cueco, Fahlström, Ferró (pour la première fois invité), Garcia-Fons, Genoves, Hockney, Jacquet, Johns, Jones, Petlin, Rancillac (1re participation. Il reçoit le Prix de peinture pour son tableau Pierre de Lune), Raysse, Reuterswärd, Smith, Tilson, Tucker, Youngerman.

8 novembre/ 8 décembre :
« Une nouvelle figuration »
Galerie Mathias Fels, Paris
Participants : Appel, Bacon, Corneille, Dubuffet, Giacometti, Jorn, Lapoujade, Maryan, Matta, Saura et de Staël.

1962 :
15 mai - 8 juin
« Donner à Voir »
Galerie Creuze, Paris
À l’initiative de six critiques d’art (José Pierre, Michel Courtois, Raoul-Jean Moulin, Jean-Clarence Lambert, Jean-Jacques Lévêque et Pierre Restany), l’exposition dresse un panorama de la création contemporaine à Paris, chaque section de l’exposition correspondant aux choix de chaque critique.

1er juin - 1er juillet
« Une nouvelle figuration 2 »
Galerie Mathias Fels, Paris
Texte de Michel Ragon
Un an après l’exposition « Une nouvelle figuration 1 », cette exposition rassemble Baj, Christoforou, Hultberg, Lindström, Messagier, Petlin, Pouget, Rebeyrolle, Salles et Tal Coat.

2 août - 4 octobre
« L’art latino-américain à Paris »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Introduction de Jean-Clarence Lambert, José-Augusto França et Mariano Picon-Salas.
À la suite de ce Salon, Télémaque est introduit auprès de quelques surréalistes, dont Camacho, Silbermann, José Pierre, Alain Jouffroy et Jean-Jacques Lebel.
Il rencontre aussi le critique d’art John Ashbery et le peintre François Arnal ainsi que le peintre Corneille qui le présente au galeriste Mathias Fels.
Au cours de ce salon, Télémaque est également remarqué par Rancillac, Klasen et Voss.

1er - 22 décembre
« Donner à voir 2 »
Galerie Creuze, salle Balzac, Paris
Pour sa deuxième édition, cinq critiques d’art proposent cinq expositions au sein de cette manifestation. Parmi eux, Jean-Jacques Lévêque présente « Les chroniqueurs du monde comme il va. Du niveau zéro de l’écriture à l’ère d’un nouveau baroque » avec, notamment, Bertholo, Foldès, Rancillac, Saul, Télémaque, Voss.

1963 :
Janvier
14e Salon de la Jeune Peintur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Cueco, élu président du Salon pendant l’été 1962, reçoit le prix du Salon de la Jeune Peinture.

Mars
« Pop Art américain »
Galerie Sonnabend, Paris
Participants : Bontecou, Chamberlain, Lichtenstein, Oldenburg, Rosenquist, Warhol et Wesselman.

11 juin - 6 juillet
« La nuova figurazione »
La Strozzina, Florence
Organisée par Jean-Louis Ferrier avec notamment Appel, Arroyo, Baj, Corneille, Crippa, Dangelo, Del Pezzo, Dufour, Dubuffet, Jorn, Lapoujade, Matta, Novelli, Perilli, Pignon, Recalcati, Rotella, Saura, Schifano, Schumacher, Vacchi.

28 septembre - 3 novembre
3e Biennale de Paris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Parmi les participants : Aillaud, Ferró, Hockney, Rancillac, Recalcati, Voss et Stämpfli, installé à Paris depuis 1959 (1re participation à la Biennale parisienne).

Des travaux d’équipe sont présentés à la Biennale dont « Abattoir », réalisé par Arroyo, Brusse, Biass, Camacho, Pinoncelli et Zlotykamien. Dans ce cadre, Arroyo présente « Les quatre dictateurs éventrés », quatre tableaux symbolisant successivement Salazar, Franco, Mussolini et Hitler.

6 - 30 novembre
« Image à cinq branches »
Galerie Mathias Fels, Paris
Texte de José Pierre.
Avec : Bertholo, Klasen, Reuterswärd, Télémaque et Voss.

1964 :
20 juin – 18 octobre
32e Biennale de Venise
Venise, Italie
Grand Prix de peinture : victoire de Rauschenberg (Etats-Unis).
Parmi les artistes : Baj, Cremonini, Del Pezzo, Guerreschi, Novelli, Recalcati, Schifano (pavillon central), Bissière, Brô, Dufour, et Ipousteguy (France), Hilton, Meadows, Tilson (Angleterre).
Chamberlain, Dine, Johns, Morris Louis, Noland, Oldenburg, Stella et Rauschenberg (Etats-Unis), Segui, Le Parc (Argentine).
A titre exceptionnel, les dirigeants de la Biennale de Venise ont autorisé la sélection américaine à occuper à la fois le pavillon situé aux Giardini et l’exconsulat américain. Ce déploiement de grande ampleur de l’art américain et le Grand Prix attribué à Rauschenberg scandalisent la presse française qui y voit une humiliation pour l’école française.

24 juin – 30 août
« Nieuwe Realisten »
Gemeentemuseum, La Haye
Exposition Itinérante à Vienne – Berlin - Bruxelles
Cette exposition présente différentes tendances témoignant du « retour du réel dans l’art » : Pop Art, nouveau réalisme, figuration traditionnelle et nouvelle figuration.

Juillet - octobre
« Mythologies Quotidiennes »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Comité d’organisation : Marie-Claude Dane, François Mathey, François Wehrlin, Gérald Gassiot-Talabot, Peter Foldès, Rancillac et Télémaque. Texte de Gérald Gassiot-Talabot
34 artistes participants : Alleyn, Arnal, Arroyo, Atila, Berni, Bertholo, Bertini, Bettencourt, Beynon, Brusse, Buri, Cremonini, Dado, Fahlström, Foldes, Gaïtis, Geissler, Gironella, Golub, Gracia, Kalinowski, Klasen, Kramer, Monory, Pistoletto, Rancillac, Raynaud, Raysse, Recalcati, Réquichot, Saint-Phalle, Saul, Télémaque, Voss.

1965 :
Janvier
16e Salon de la Jeune Peintur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Après l’assemblée générale de l’été 1964,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s’oriente vers des expériences nouvelles.
L’une des initiatives de ce Salon est la réalisation de l’ « Hommage au vert ». Chacun des membres du Jury (Aillaud, Alleaume, Arroyo, Artozoul, Baudin, Biras, Cueco, Fabien, Fleury, Garcia-Fons, Milshtein, Parré, Peraro, Recalcati, Rosso, Saidi, Spitzer, Tisserand et Venet) s’astreint à peindre une toile de 2 mètres par 2 de couleur verte.

19 mars - 25 avril
« Le merveilleux moderne »
Lunds Konsthall, Lund, Suède
Texte de Jean-Jacques Lévêque
Parmi les artistes participants : Aillaud, Arroyo, Bertini, Fahlström, Foldès, Rancillac, Recalcati, Saul, Voss.

Mai
« La Leçon des Choses »
Galerie du Ranelagh, Paris
Exposition organisée par Hervé Télémaque et José Pierre.

Parmi les 31 artistes participants : Adzak, Arman, Arnal, Brusse, Beynon, S. Buri, Dietmann, Dine, Gasiorowski, Jacquet, Klapheck, Klasen, Monory, Rancillac, Rosenquist, Télémaque.

1er - 29 octobre
« La figuration narrative dans l’art contemporain »
Galerie Creuze, Paris

Sous l’égide des galeries Europe et Creuze, cette exposition, organisée par Gérald Gassiot-Talabot, agrandit notamment le premier cercle tracé par « Mythologies quotidiennes ».
Lors de l’exposition « La figuration narrative dans l’art contemporain », Aillaud, Arroyo et Recalcati présentent une oeuvre collective intitulée Vivre et laisser mourir ou la fin tragique de Marcel Duchamp, une suite de huit tableaux représentant l’assassinat de Marcel Duchamp par ces mêmes artistes, et son enterrement par Rauschenberg, Oldenburg, Raysse, Warhol, Arman et Restany. La représentation de la mise à mort du père du ready-made suscite un scandale. Parmi 49 artistes et écrivains, Klasen, Monory, José Pierre et Télémaque signent la protestation contre cette oeuvre.
Cette pétition intitulée « Le troisième degré de la peinture » ainsi que le tract « Les curés exagèrent », signés notamment par Bertholo, Bertini, Castro, Restany, Segui et Voss, circulent lors de la présentation de l’oeuvre. Marcel Duchamp visite l’exposition.

1966 :
Octobre - novembre
« Zoom »
Nouvelle galerie Blumenthal, Paris
Exposition inaugurale de la galerie, organisée par Carlota Charmet, qui réunit Alleyn, Beynon, Monory et Rancillac.

1967 :
3 - 25 janvier
18e Salon de la Jeune Peintur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Au cours du vernissage du Salon, le groupe BMTP (Buren, Mosset, Parmentier, Toroni) proclame dans un manifeste
: « puisque peindre c’est peindre en fonction de l’esthétisme, des fleurs, des femmes, de l’érotisme, de l’environnement quotidien, de l’art, de dada, de la psychanalyse, de la guerre au Vietnam, NOUS NE SOMMES PAS PEINTRES. » et accrochent la banderole « BMPT n’exposent pas ».

Mars
Parution du premier numéro de la revue Opus International.
Comité de direction : Gérald Gassiot- Talabot, Alain Jouffroy, Jean-Clarence Lambert, Jean-Jacques Lévêque, Raoul-Jean Moulin.
7 avril - 12 juin « Bande dessinée et figuration narrative – Histoire / esthétique/ production et sociologie de la bande dessinée mondiale, procédés narratifs et structure de l’image dans la peinture contemporaine » Musée des arts décoratifs, Paris

La dernière salle, consacrée aux artistes de la « Figuration narrative », permet à Gassiot-Talabot de préciser les rapports qu’entretiennent les artistes européens et certains artistes Pop américains, avec la bande-dessinée, et d’énoncer, dans le catalogue d’exposition, les différents procédés narratifs développés par ces artistes.
Participants : Adami, Alechinsky, Arroyo, Berni, Bertini, Fahlström, Foldès, Klasen, Lemaître, Lichtenstein, Michenet, Monory, Rancillac, Recalcati, Romagnoni, Rosenquist, Télémaque, Voss.

6 juin - 28 août
« Le monde en question »
A.R.C.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26 artistes sont réunis autour du thème de la contestation politique : Alleyn, Arroyo, Berni, Bertini, Christoforou, Cremonini, Equipo Crónica, Dias, Ferró, Golub, Guerreschi, Kudo, Matta, Millares, Parré, Petlin, Rancillac, Equipo Realidad, Recalcati, Rubino, Sarkis, Saul, Self, Stenvert, Tisserand, Vacchi.

À partir du 25 juillet
23e Salon de Mai à la Havane
La Havane, Cuba
Une sélection du Salon de Mai de Paris, composée de 20 peintres dont Adami, Aillaud, Alleyn, Arroyo, Bertholo, Bitran, César, Ferró, Monory, Rancillac, Rebeyrolle, Recalcati, est invitée à réaliser des toiles destinées au nouveau Musée d’art moderne de la Havane.
Sous l’impulsion de Lam, ils réalisent avec de nombreux autres artistes et critiques invités, dans la nuit du 17 juillet, une peinture murale, en forme de spirale, en hommage à Fidel Castro : le Mural Cuba Colectiva.

1968 :
17 janvier - février
« Quinze peintres ont accepté de trahir la même photographie » Galerie Blumenthal-Mommaton, Paris
À la suite du procès intenté contre Rancillac pour détournement de l’oeuvre du photographe Tony Saulnier, 15 peintres entrent dans la polémique en acceptant de « contrefaire » une photographie de Marc Riboud.

14 mai - 27 juin
« L’Atelier populaire »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Paris
Les étudiants de l’école ainsi que de nombreux artistes, solidaires des manifestations de mai, occupent l’atelier Brianchon pour apporter leur soutien aux ouvriers grévistes.
Parmi ces artistes : Aillaud, Alleaume, Arroyo, Biras, Cueco, Fromanger, Le Parc, Merri Jolivet, Rancillac, Rougemont, Tisserand, Vermès, Zeimert. Lors d’assemblées générales, les occupants choisissent des thèmes servant à la réalisation d’affiches anonymes destinées à soutenir les luttes des étudiants et les travailleurs en grève.

1969 :
17 janvier - 23 février
« Salle Rouge pour le Vietnam »
ARC,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Cette manifestation du 19e Salon de la Jeune Peinture avait été annulée en juin 1968 en raison des événements de mai.

20 mars - 13 avril
« Distances »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L’exposition présente deux attitudes artistiques définissant une distance (poétique ou critique) entre la réalité objective et la représentation figurée.
Parmi les participants : Adami, Stämpfli, Bertholo, Télémaque et Voss.

28 juin - 16 juillet
20e Salon de la Jeune Peinture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Paris

Président : Tisserand.
Vice-présidents : Fleury et Buraglio.
Secrétaire général : Alleaume. Trésoriers : Parré et Aillaud.
Parmi les membres du comité : Arroyo, Artozoul, Biras, Leroy, Olivier, Peraro, Troche.
Suppression du Jury du Salon de la Jeune Peinture.
Une nouvelle manifestation collective, intitulée « Police et Culture », est organisée « pour combattre, sur le terrain de la culture, la société bourgeoise, en faisant du Salon un instrument de lutte idéologique. »
=> A new collective event, entitled "Police and Culture" is organized "to fight in the field of culture, bourgeois society, making the show an instrument of ideological struggle. '


1970 :
28 août - 11 octobre
« Kunst und politik »
Kunstverein, Karlsruhe, Allemagne fédérale
Exposition organisée autour du thème de la politique dans l’art.
Parmi les 34 artistes participants : Arroyo, Baratella, Spadari, Beuys, Canogar, Dias, Erró, Fanti, Fromanger, Genoves, Equipo Crónica, Kienholz, Kitaj, Monory, Rancillac, Self, Staeck, Stenvert, Télémaque, Tilson, Vostell, Warhol, ainsi que Aillaud, Biras, Fanti et Rieti qui présentent La Datcha, oeuvre commune présentée en 1969 au Salon de la Jeune Peinture.

Octobre
La coopérative des Malassis, qui tire son nom d’un quartier se trouvant sur le plateau des Malassis, à Bagnolet, est créée par cinq artistes : Cueco, Fleury, Latil, Parré et Tisserand.
=> Malassis the cooperative, which takes its name from a neighborhood located on the plateau Malassis Bagnolet is created by five artists: Cueco, Fleury, Latil Parré and Weaver.

La coopérative défend une conception sociale et politique de l’art et propose des réalisations collectives engagées.
Les oeuvres, réalisées de 1970 à 1978, seront exposées, le plus souvent, au Salon de la Jeune Peinture.

20 octobre - 20 novembre
« Aspects du racisme »
12, rue de Thorigny, Paris
Exposition organisée par l’Association de la Rue de Thorigny, qui regroupe 39 artistes parmi lesquels :
Equipo Crónica, Cueco, Erró, Fromanger, Monory, Rancillac, Saul, Segui, Télémaque et Tisserand ainsi que Bouvier, Fromanger, Gerz, Jolivet et Pancino qui présentent une oeuvre collective.

1971 :
22 novembre - 5 décembre
22e Salon de la Jeune Peinture
Grand Palais, Paris
Président : Latil
Vice-présidents : Fromanger, Fanti
Trésorier : Parré
Suite à l’accident minier survenu le 4 février 1970 à Fouquières-lès-lens au cours duquel 16 mineurs ont été tués, le Salon de la Jeune Peinture présente un ensemble d’oeuvres intitulé Réalité quotidienne des travailleurs de la mine. L’album souvenir, constitué par la veuve d’un des mineurs victime de l’accident, est le point de départ des oeuvres, présentées anonymement.
=> Following the mining accident February 4, 1970 at Fouquières-lès-lens in which 16 miners were killed, the Salon de la Jeune Peinture presents a series of works entitled Reality daily mine workers. The scrapbook, made by the widow of a minor victim of the acciden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work presented anonymously.

1972 :
17 mai - septembre
« 72/72 : Douze ans d’art contemporain en France (1960 – 1972) » Grand Palais, Paris

Exposition organisée à l’initiative du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Georges Pompidou, afin de dresser un panorama des différents mouvements artistiques de la dernière décennie.
L’organisation est confiée à François Mathey, qui invite deux membres du CNAC (Maurice Eschapasse et Alfred Pacquement), François Barré issu du Musées des arts décoratifs, un universitaire (Serge Lemoine), le critique d’art Jean Clair et le galeriste Daniel Cordier à se joindre au comité de sélection.
En janvier, une assemblée générale des membres de la Jeune Peinture et du FAP décide de boycotter l’exposition, déjà surnommée « Expo Pompidou ». La même décision est prise par Adami, Aillaud, Arroyo, Barthélémy, Bioules, Borgeaud, Buren, Cremonini, Dezeuze, Dubuffet, Filliou, Ipousteguy, Journiac, Le Parc, Mosset, Pane, Raysse, Recalcati, Sarkis, Toroni, Valensi.
Pour sa part, la Coopérative des Malassis décide de participer à cette exposition et présente Le Grand Méchoui ou Douze ans d’Histoire, une « fresque » de 65 mètres de long sur le thème de l’Histoire de la Ve République réalisée pour l’exposition.
Le jour du vernissage, une manifestation d’artistes devant le Grand Palais organisée à l’initiative du « Front des Artistes plasticiens » (dont fait partie Gérard Fromanger) déclenche une intervention des forces de police présentes aux abords.
Cette intervention conduit de nombreux artistes à protester et à retirer leurs oeuvres de l’exposition. Parmi ceux-ci, Les Malassis décrochent Le Grand Méchoui ou Douze ans d’Histoire au milieu de la confusion générale.
Parmi les participants :
Erró, les Malassis, Monory, Stämpfli, Télémaque, Velickovic, Zeimert.

> Retour au menu de l’exposition Figuration narrative

http://www.rmn.fr/francais/les-musees-et-leurs-expositions/grand-palais-galeries-nationales-9/expositions/figuration-narrati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