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 - 두려움이 즐거움으로 바뀌는 초등 온라인 글쓰기의 기적
오수민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

자기 생각을 쓰는 글 쓰기는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어려운 과제 아닐까요?



내 생각을 남에게 표현하는 것이 글로 표현해야 한다면 서론을 시작하는 것 조차 부담으로 느껴지는게 현실이거든요.



아이들에게는 나처럼 글쓰는 두려움을 즐거움으로 변화되길 바라신다면 "아이들이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 책을 저와 같이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작가님은 코로나 시절 어린이 온라인 글쓰기 수업을 통해 아이들에게 글쓰는 재미를 알려주시는 분이세요. 지금도 활동을 하시며 아이의 생각을 직접 공유하시고 아이들이 즐거움을 느끼도록 방향을 가르쳐 주시더라고요.



처음 온라인 글쓰기를 할 땐 작가님은 자기소개를 먼저 하라고 한답니다. 해맑은 아이들도 막상 자기소개를 하려고 하면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 표현을 잘 못하는데요.



엄마한테 억지로 끌려 글쓰기 모임을 시작한 아이들이 많을 정도로 아이들은 글쓰기를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않아요. 그런 아이들이 몇주에 걸쳐 작가님과의 글쓰기를 통해 변화가 되는 것을 책을 읽으며 알 수 있었지요.



아이들의 놀이 공간인 온라인 세상에서 아이들은 스스로 올린 글의 대한 자부심과 친구들의 댓글응원으로 자존감이 오르기 시작하는 것 같아요.



한 줄만 써도 글쓰기이며, 한 글자만 써도 글쓰기라고 작가님은 말하셔요. 아이에게 조건을 붙이지않고 자유롭게 너의 생각을 쓰도록 유도하는게 첫번째!



맞춤법이 틀릴까봐 혹은 일정량을 채워야 하는 부담감으로 시작을 한다면 아이들은 아마 첫 글자도 쓰지 못하지 않을까요? 전자기기에 익숙한 아이들에게는 연필로 쓰는 글쓰기조차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오히려 이런 아이들은 컴퓨터자판으로 글쓰기를 하도록 하는 방법은 좋은 방법이라고 말하십니다.



아이마다 성향이 다르다보니 내 아이에게 맞춰 방법을 찾는게 우선이에요.



글쓰기에는 학년이 따로 없습니다.

어린아이 큰 아이의 수준이 따로 없는 글쓰기 세상은 구지 같은 학년을 모아 두며 조건속에서 글쓰기를 할 필요가 없다는거죠.



아이들의 글쓰기 두려움은 바로 선입견으로부터 시작되는 것 아닐까싶어요.

글쓰기는 거창해야하고 완벽해야 한다는 선입견이요. 너의 낙서도 소중한 글쓰기이며, 소중한 너의 생각이라고 말해준다면 아이들의 글쓰기는 즐거움으로 바뀌지않을까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