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 조선 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화 변동
정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세기는 내가 존경하는 인물로 꼽는 정약용이라는 대학자가 살았던 시기이고 초의선사, 김정희,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그리고 동이...知를 겸비한 임금인 정조, 드라마를 통해서 더 멋지게 각인된 듯한 인물 들이 살아던 역동성이 넘쳐대던 시대로 왠지 멋과 흥, 그리고 새로운 문물을 향한 지식인들의 열정이 있던 시대로 생각되어진다. 

이 책에서는 18세기 지식인들이 치기어린 관심과 흥미로 그동안 전통적인 학문에서 배제되고 있던 잡학이 새로운 문물에 목말라하던 이들에게 회자되고, 관심갖게 되고, 그것들을 통합하여 자료를 집대성하는 작업들을 통해서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발전되어 온 것이다. 

난 이 책에서 한가지 중요한 사실을 발견했다. 

그동안 茶에 관한 우리나라 문서로는 초의 스님이 지은 동다송을 꼽고 동다송을 쓰면서 참고한 '동다시'라는 책이 다산 정약용의 작품으로 알려져 왔었는데 그 '동다시'가 우리아이들의 선조인 [전의 이]씨인 이덕리라는 분이 쓴 작품이라는 걸 알게되었다. 茶에 대한 재배법, 무역법, 생산후 처리방법 등 아주 자세한 내용이 우리 아이들에게 아이들의 선조가 이렇게 뛰어난 분도 계셨다는 걸 알려줄 수 있는 계기도 마련되었다. 

18세기 지식인들은 정보검색의 대가들이고, 세계를 편집하는 편집광이며 좋아하는 것에 목숨을 거는 멋진 세계를 펼친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이 많은 세상은 역동이 꿈틀대는 시대이고 사람들이 행복의 기준점을 바꾸는 시대를 살아가는 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