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보장 - 5천만 결정장애 국민들의 속 시원한 고민 해결 상담소
송은이.김숙 지음 / 다산책방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와, 이 책 물건이다. 강력 추천한다. 김어준의 "건투를 빈다", 김어준이 MBC 라디오에서 전문가들을 요일 별로 불러서 해주었던 "색다른 상담소"가 떠올랐다. 유쾌하면서 현실적이다. 책으로 읽어도 이렇게 웃긴데 팟캐스트로 직접 들은 사람들은 얼마나 웃겼을까. 빠져들 만하다. 이 팟캐스트 덕분에 이제 공중파에서 "언니네 라디오"도 진행하게 되었다니. 책만 읽어도 공중파에 진출할 만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팟캐스트에 이런 저런 상담 프로그램들이 많을 텐데 이들 방송이 잘 될 수 있었고 그를 바탕으로 만든 이 책이 잘 될 듯한 강점 몇 가지가 보였다.

 

 

1. 송은이&김숙: 편안하고 친밀한 관계, 거침없는 말과 욕

이들이 친하다는 사실은 무도에서 접했다. 팟캐스트 내용을 글로 풀었는데도 이들의 끈끈한 관계, 거침없는 입말과 욕이 살아 있다.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이 정도 막말을 해도 사이가 틀어지지 않으리라는 믿음이 엿보여 읽는 사람까지 마음이 편했다. 상담을 해줄 때에도 거침 없다. 청취자는 어차피 "비밀보장"의 막말 컨셉을 좋아해서 일부러 찾아 듣는 이들이다. 고민을 보낸 이에게 욕쟁이 할머니처럼 때로 피가 되고 살이 되는 현실적인 대답을(아마도 그가 별로 듣고 싶어하지 않았을) 통쾌하게 말해준다. 그 사람이 상처 받거나 섭섭해할까 주저하지 않는 자세가 이들이 가진 매력이다. 팟캐스트 "비밀보장"은 자유로운 김숙과 성실하고 끈기 있는 송은이가 만나 일으킨 시너지 효과를 잘 보여준다.

 

2. 지인과 전화 상담

발이 참 넓어보인다. 다양한 고민을 다루어줄 지인들이 있다. 고민을 읽고 떠오르는 사람에게 전화를 하는데 연예인도 있고 일반인도 있다. 그 분야에 대해서 만큼은 해줄 말이 많은 사람들이다. 고민을 보낸 사람이 새겨들을 수 있을 만큼 납득 되게 상담해준다.

 

3. 짧고 명쾌한 결론

결정 장애 국민들에게 해주는 상담인 만큼 각 고민 끝부분에는 대화 내용을 송은이와 김숙이 서너 줄로 짧고 명쾌하게 요약해주고 있다. 그 긴 대화를 이렇게 핵심만 간추려 요약하는 능력 자체가 놀라웠다. '어떻게 하라'고 단도직입적으로 처방하는데도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4. 책 자체 디자인

자본력 빵빵한 다산북스에서 나온 책이라 그런지 요즘 핫한 폰트들을 사용해 눈이 즐거웠다. 글씨도 큼직하고 중요한 부분은 강조도 잘 해주고 줄간격도 넉넉해서 가독성이 있다. 송은이와 김숙을 그린 일러스트, 고민이나 해결책을 한 눈에 보여주는 컬러풀하고 시원시원한 일러스트들 역시 세련되었다는 느낌이다. 아쉽게도 몇 몇 부분이 19금 고민이라 학급 문고에 비치하기는 어렵겠지만, 학생들도 즐겁게 읽고 인생에 피가 되고 살이 될 만한 내용과 형식을 갖추고 있다.  

 

다산북스 나나흰에서 보내준다고 해서 기다리고 있다가 불금에 받아 들고는 거짓말 안하고 손에 들자 마자 다 읽었다. 누구나 고민하는 내용을 너무나도 쉽고 웃기면서도 도움 되게 다루고 있어서 공감하면서 읽었다. 어쩌면 물어보는 사람 마음 속에 이미 답이 있는지도 모른다. 질문을 읽으면서 나도 나름 대답을 해주어 보았는데 지인들 상담 내용과 별로 다르지 않았다.

 

"송은이: 인테리어는 따로 배우신 거예요?

이영자: 처음에는 일본 잡지를 많이 봤지. 그런 잡지만 계속 본 거야. 한 15년 전부터 잡지를 보면서 인테리어 하는 거에 관심을 갖게 됐지.

김숙: 눈높이를 올렸구나. 공부가 필요하네요." 238쪽.

지인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그 어떤 고민이든 해결을 위해서는 "공부"가 필요함을 말하거나 보여주고 있다. 김숙의 변호사 친구 박지훈처럼 법적 분쟁 소지가 있는 갈등 상황을 만났을 때 당연히 법에 대해 많이 아는 사람이 유리하다. 남친이 강아지를 키워달라고 맡겨서 수 년을 키우다가 헤어질 때 돌려달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돌려주기 싫을 때, '맡겼다'면 돌려주어야만 하지만 지금까지 키운 비용을 청구할 수 있고 그 비용이 당연히 강아지 구입 비용보다 어마어마하게 크므로 원래 주인이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돈 모으기와 창업에 대해 상담한 김생민이나 유상무 역시 무작정 창업에 뛰어들기보다는 공부하고 치밀하게 준비해야함을 주장한다. 위에 인용한 이영자도 빈곤했던 어린 시절 기억 때문에 집 만큼은 예쁘게 꾸미고 살고 싶어서 소득의 80%를 투자해가며 집을 꾸미기 전에 15년 동안 인테리어에 대한 자료를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보았다고 한다. 고민을 해결해주는 과정에서 삶을 위해 공부하는 법을 가르쳐주는 방향성이 인상 깊었다. 어떤 면에서는 해결 가능 여부는 고민하는 이 스스로 몫이다.   


[저는 예스이십사 블로그를 주로 사용합니다. 원문 출처: http://blog.yes24.com/document/84890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