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군림천하 21 - 철혈행로
용대운 지음 / 대명종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20권 리뷰를 쓰면서 21권 언제나오나 푸념했는데 한달만에 출간된었네요.. 

조금 머쓱하지만, 기분좋은 느낌이네요.. 

책 말미에 작가의 향후 계획에 대해서 진솔하게 쓰여져 있어서 이제 좀 맘 편안히 출간을 

기다릴수 있겠습니다. 아마도 올해말이나 내년초까지는 완간 되길 기대합니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주인공인 진산월과 임영옥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싶은데요. 

인터넷에서 보여지는 여러 사람들의 감상이나 의견은 임영옥을 빨리 모용봉에게서 구출해서 

진산월에게 가야한다. 는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제가 볼때는 이러한 전개는 한국무협의 한계이기도 하면서 어찌보면 유치함일수도 있습니다. 

현실세계에서 첫사랑과 우여곡절끝에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결말이 어디그리 흔한 일이 겠습니까? 

주인공 진산월의 사부가 유언한 군림천하라는 꿈을 이루는 큰 줄거리에서 이렇게 의지 강한 

남자가 사랑에서도 지고지순하게 끝까지 한 여자와 사랑을 이루어낸다. 결국 이렇게 

된다는 이야기인데, 진정한 군림천하라면 황당한 결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차라리, 생명의 은인은 모용세가와 혼인하지만 진산월과는 평생 친구로 남는 것이 더욱더 

빛나는 결말에 가깝다고 할수 있습니다. 

종남파가 몰락의 길을 걷는 계기가 종남오선에 있었던 남녀간의 질투 였듯이

진산월은 사랑마저도 초월한 남자로 살아가는게 더 멋진 일이라 생각합니다.  

나중에 나이들어서 장문자리를 낙일방에게 물려주고 단봉공주하고 혼인해서 자식들을 낳고 

사는게 더욱더 군림천하 답다는 제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군림천하 20 - 소림기변
용대운 지음 / 대명종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19권이 나온후 약 2년만에 20권이 나왔네요.. 

허접한 무협소설이라면 신경끄고 내 갈길 가면 쉽겠지만 우리나라 무협소설사에 

손꼽힘과 동시에 재미있는 작품이라 지루하다 못해 짜증까지 나는 상황이네요.. 

각설하고, 20권 재미있습니다. 

뭐, 읽자마자 모든 내용들이 기억속에서 뒤죽박죽이지만요.. 

무협소설에서 정형화된 틀이 몇가지 있는데 이번 20권에서는 그중에서 어찌보면 

가장 무협소설다운 "비무행"이 나옵니다. 

이소룡,미야모토무사시,최영의가 했다는 도장깨기와 같죠. 

실전경험,명성,명분을 빠른시간내 얻을수 있는 지름길이 됩니다. 

진산월이 이끄는 종남파가 드디어 절정으로 한걸음씩 다가서는 이야기가 전개 됩니다. 

그나저나 책이 빨리 나와야 뭘 쓰던지 하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1 - 통찰 편, 시장의 거짓을 이기는 통찰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경철씨의 새로운 책이 나왔네요.

안동에서 살면서 의사란 직업을 갖고 주식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논다는 것 자체가

무언가 말할수 없는 역설을 가져다 줍니다.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1" 내용 자체도 혼돈과 역설로 가득차 있습니다.

겁주는 말이 대부분이고 주식투자의 역사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구요.

이런 의미의 내용도 있더군요. "아무리 공부하고 전문가라고 해봐야 원숭이만도 못하다."

이찌보면 주식투자에 대해서 말하기 보다 인생에 대한 이야기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습니다.

불나방처럼 불속으로 뛰어드는 나방에게 죽는다는 것은 알고 뛰어드느냐 이렇게 말하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게 또 나방의 운명이고 인생의 길이지 않겠습니까!

투자의 길도 알면서도 당하고 또 당하고 하는 붕어와 같은 개미투자자의 운명이지 않겠습니까!

물밖에서 아무리 외쳐도 지금 앞에 아른거리는 찌를 어찌 마다하겠습니까?

 

책을 다 읽고서 자괴감도 들고 이런저런 답답함이 느껴져서 두서없이 느낌을 적었네요.

마음 편하게 부자 부모를 만나서 편하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횡무진 한국사 - 상 - 단군에서 고려까지
남경태 지음 / 그린비 / 2001년 8월
평점 :
절판


나는 지금까지 사대주의 역사관이 나쁜사람들이 의도적으로 개인영달을 위해서 추구하는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서 생각을 바꾸었다.

사대주의란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자신도 모르게 쓰여지는 것이라고.

이책의 저자인 남경태는 한반도라는 지리에 국한하여 우리역사를 냉정하고 객관적이게 바라봤다고

강변하지만 저자가 그러한 관점을 전개하는 각각의 근거와 증거들이 냉정하고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이다. 즉, 저자는 틀린 전제를 가지고 글을 쓴 셈이다.

황하문명이 중국땅에서 일어났으니까 중국문명이라고 말한다면 중국땅에 살던 사람은 갑자기 하늘에서

똑 떨어져서 황하문명을 스스로 이루었는가? 왜 같은시기에 한반도와 일본에서는 또다른 문명을 이루이

못하였는가?

우리나라 역사를 바라볼때 민족주의 사관을 떠나서 진실한 역사관을 갖는게 중요한 것이다.

황하문명과 한자라는 문자를 발명하고 일구어 낸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직계 선조들이라는 것이

우리가 찾아내려고 하는 역사관의 핵심이다.

그냥 중국에서 일어났으니까 중국것이다. 중국은 땅이 크고 인구가 많으니까 선진국이고 대국이다.

이러한 무뇌아적인 역사관을 말하는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중흥기가 있고 쇠퇴기가 있는데 중흥기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신시 고조선시대인데

바로 황하문명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동아시아 문명을 창조하고 발전시킨 존재가 중국사람이 다른

누구가 아닌 우리나라 조상이라는 것이다.

단순히 고구려가 얼마나 강대했는가를 따지는 역사관이 아니라 그 정신과 원류를 알자는 것이다.

그러한 기록이 많이 없으니까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며 지금까지 알아온 결과만 가지고도 주장을

할수 있는것이다. 그러한 주장에 귀을 기울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제국의 정복자 아틸라는 한민족
이종호 지음 / 백산자료원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제목만큼 아틸라가 한민족이라는 연관성에 집중한 책이 아니라

그냥 아틸라에 관한 이야기 모음집이다.

아틸라가 로마말기에 어떠한 역할을 했으며 일대기가 어떠했는가를 차분하게 말하고 있을뿐이다.

아틸라가 한민족이라는 이야기는 처음과 끝부분에 2~3페이지정도 언급될뿐 크게 중요하게

다루지는 않았다.

이런면에서 본다면 그저 아틸라에 관한 흥미로운 역사책 정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