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의 놀라운 치유력
보리스 시륄니크 지음, 임희근 옮김 / 북하우스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신경정신의학자의 저작으로, "불행을 겪은 사람"이 다시 원상 회복이 되는 과정과 추진력을 "복원력"이라는 물리학 개념을 빌어 소개한다. 왜 어떤 사람은 끔찍한 경험을 겪고도 다시 회복되어 정상적이거나, 오히려 더 능동적인 삶을 영위하는가? 왜 누구는 그렇고, 누구는 그렇지 않은가? -라는 주제는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의 오래된 주제이다. 일부 학자들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려 하고, 또 일부의 학자들은 인간의 능동적인 의지를 중요시한다. 누가, 왜 그런것일까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 학자의 욕심이겠지만, 그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아직 없으며 앞으로도 힘들것이다. 인간이 한줌의 이론으로 설명되는 존재는 아닐 터이니 말이다. 그러나, 시퀼니크라는 이 프랑스인 의학자는 인터뷰와 관찰을 통해 흥미로운 주제에 접근한다. 비록 복원력이 어디에서, 어떻게 기원하는가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한다 하더라도, 복원력이 정신적 외상이나 과거의 상처를 어떻게 치유하고, 복원력의 작용에 따라 다양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능동적으로 작용하는가에 대해서 기술하기 때문이다.

저자가 책서두에서 가장 공을 들여 주장하는 바는, 복원력에 대한 주장이 결코 "불행"자체를 미화하거나, 공격자를 두둔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실상 가장 오해되는 부분중의 하나가, 성폭행으로부터 벗어나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사람에 대해서 말하려하면, 사람들의 즉각적인 반응중의 하나가, 그 성폭행이 가지는 의미를 격하하거나, 상처를 미화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여 즉시 맹렬하게 부정하는 태도를 취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이를 부정하며, 상처는 결코 미화될 수 없으나, 인간 내면에 온존하는 이 긍정적이면서 도움을 주는 내적 에너지에 대해, 부정하거나 덮어두지 말것을 조용히 주장하고 있다. 불행이나 학대는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촛점을 좀더 복원력에 맞추고, 인간의 성품과 성격을 치유하는 힘에 집중할 것을 바라는 것이다.

흥미로운 주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지만, 번역은 매끄럽지 못하다. 불어원저가 다소 난삽한 서술인것인지, 아니면 불어식 표현을 좀더 우리말 표현에 가깝게 풀어내지 못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가능한 우리식표현에 가깝게 단어를 표현하려고 한것은 좋은 시도였으나, 얼른 읽어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은 해독에 어려움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새로이 시도되는 심리학적 개념에 접할 수 있었던 것은 설명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케이스를 이해하는데 좋은 밑거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