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ADHD, 경계선 지능, 상실과 애도 리얼라이프 시리즈
정은진 외 지음 / 리얼러닝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동양육서로서는 보기 드물게, .양육시설에서 자라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다. 그러나 이 책은, 일반 가정에서 아이를 키우는 양육자에게도  필요한, 일반 양육서들이 잘 다루지 않는 영역을 다루고 있다. 특히 ADHD를 다룬 부분과 맨 마지막의 "상실과 애도" 부분은 백미이다. 


언론을 통해서만 간간히 접하던 ADHD를 전문적으로, 그러나 너무 전문적이지 않게 풀어내고 그 대응방법을 제시한 것도 좋았다. 무엇이 문제인가 찾아보려고 하면, 지나치게 전문적인 내용만 주욱 나오기가 일쑤였고, 그 적용법을 말하기도 전에 정의와 분석과 연구만 한참 이야기하고는 끝나버리기가 쉬운데, 이 책은 "적용"에 대해 방점이 찍혀있는 글이라 생각된다. 


또 애도란, 지금까지는 사별한 사람에 대한 감정적 표현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여기서는 감정적으로 애착되었던 상대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책에서의 표현에 의하면 "찢겨져 나왔을때"가 상실이고, 그런 상실을 슬퍼하는 것을 애도라고 말하고 있다. 그렇게 본다면, (책을 따른다면)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졌을 때는 물론 상실이고 애도가 적용되지만, 장난감을 잃어버렸을 때, 아끼던 강아지를 떠나보냈을 때, 이사로 친구와 고향을 떠나왔을 때도 역시 동일한 맥락이 적용될 수 있겠다. 살면서 그런 상실을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이렇게 보면 상실은 보편적인 것이다. 그런데, 애도는? 그 갖가지의 상실에 대해 애도가 허용되고 있을까? 애도는 우리 사회에서 매우 억제되고있다. 앞서서 얘기한 대로, "누군가 죽거나 해야"하는게 애도라고 알고있었다.  따라서 헤어짐이나 잃어버림, 떠나옴 정도로 '애도한다'라고 하면, "유별나다" "감정과잉이다"라는 핀잔을 듣기 쉽다. 그리고 그러한 감정적 표현이나 깊은 슬픔을 표현하는 행위는 사회적 제지를 받는다. 승진에 탈락한 사람이 화를 내고, 감정진압이 안되어 있을 때, "참으라"라고 말하지만, 사실 그 내면에 어떤 요소들이 소용돌이치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그런데도, 승진탈락으로 인해, 슬픔이 지나치게 오래가면, "자기 감정을 잘 다스리지 못하는 얼간이"정도로 여기게 된다. 하지만, 사실 감정은 그렇게 논리적으로 해결가능한, 영역이 아니다..

타인이 보기에 별것아니고, 왜 그렇게 반응할까 이해되기 어려울 정도로, 상실로 인한 감정은 매우 주관적이며 개개인마다 "모두 다르다". 따라서, 타인이 이해되지않는 다해도, 그 사람에게는 매우 대단한 영역을 차지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가 경험하는, 가깝고 먼 사회의 기행들이 언뜻 이해될 것도 같다)

상실로 인한 애통함, 비통함, 슬픔의 감정은 애도를 통해 표현되고, 통과되어야 한다.


 애도하지 못해 해결되지 않은 감정은 어디로 갔을까? 저자들의 말에 다르면, 해결되지 않은 감정은 풀리지 않은 매듭처럼 사람에게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때로는 신체화되어 몸의 병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입은 괜챦다고 하는데, "머리가 이유없이 아프다"라고 하고, 아무런 감정을 안느끼는 것 같은데, 이유를 모르는 전신두드러기가 나기도 한다. 또는 이유를 알수없는 일탈행동이나 중독적 현상을 보이기도 하겠다. 


따라서 부모의 이혼, 가정의 해체, 형제자매들이 떠남 등 인생의 크고작은 굴곡들을 어린아이의 시기에 겪어야 하는 아동들에게는, 우리 어른들의 시야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단히 큰 폭풍노도와 같은 심리적 마그마가 안에서 들끓고 있는 셈이다. 이런 지식은 양육시설 뿐 아니라, 일반사람 모두에게도 유용한 지식이다. 


양육시설에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책인데도, 울림이 작지않다. 그리고, 어떻게보면 문제를 모아놓고 있는 곳이라서, 더 그런 필요성이 절박했을 수도 있다. 한두 가지 문제만 있어도 감당하기가 쉽지않을텐데, ADHD, 트라우마, 경계선, 장애아동 등 그런 아이들을 모아놓고 양육시설 선생님들의 노고가 새삼 크겠구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