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와 유다의 밀약 - 유다복음
로돌프 카세르 지음 / National Geographic(YBM시사)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오늘날 성경이라고 부르는 책은 초기 그리스도교의 수많은 종파들간의 교리, 신학, 교권투쟁에서 승리한 자의 교리와 신학을 반영하고 있다. 왜냐하면 수많은 초기 그리스도관련 문서중에 투쟁의 승리자의 손에 의해 정경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패배자의 것은 역사속에서 의도적으로 소멸되거나 세월 속에서 잊혀져가야 했다. 대략 1600년만에 다시 세상의 빛을 보게 된 유다복음은 그런 의미에서 역사의 패배자가 바라본 예수에 대한 기록이다. 승자의 기록인 성서에 가롯 유다는 예수의 배반자로, 사단의 하수인으로 예수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저주받아 마땅한 인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역사의 패자들의 기록인 유다복음에서 유다는 전혀 다른 인물이다. 그는 제자중 예수 앞에 유일하게 설 수 있는 완벽한 인간성의 소유자요, 예수의 정체를 꿰뚫어 알고 있는 유일한 제자며, 신의 왕국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제자며, 예수를 육신으로부터 해방시켜 구원에 이르도록 도운 예수의 진정한 조력자이다. 이것은 오늘날 성경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유다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른 것이다. 과연 어느 것이 유다의  참모습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결국 예수가 누구냐? 구원이란 무엇이냐에 대한 초기 그리스도교 종파의 서로 다른 이해와 고백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정통기독교의 기독론, 구원론과 유다복음같은 영지주의문서의 기독론, 구원론은 확연한 차이가 있다.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 십자가의 대속적 죽음, 그리고 부활, 죄사함과 밈음을 통한 구원 이러한 것들이 정통적 기독교의 교리라고 한다면 유다복음은 이것들과는 전혀 다른, 역사 속에서 잊혀지고 지워질 것을 강요당했던 또다른 시선, 예수에 대한, 또 구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만약 구원이 속죄함을 받고 천국에 가는 것이 아니라 내 안의 신성을 발견하고 참신의 세계에 대한 진리를 아는 것이며 혼이 육신을 벗고 부정한 이 세상을 떠나 신의 왕국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면 예수의 죽음은 타인을 구원하기 위한 대속적죽음 이전에 자신의 구원을 위한 죽음이 되며 따라서 유다는 예수의 죽음을 도움으로 예수의 구원을 이룬 진정한 조력자가 되는 셈이다.

무엇이 진실에 더 가까울까? 그 판단은 어디까지나 오늘 우리의 몫이다. 다만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역사의 승자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아닌 승자에 의해 강제로 파묻혀 버렸던 또 다른 한쪽의 이야기, 또 다른 사람들의 고백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우리에게 예수와 그의 가르침을 바라보는 또다른 시각을 열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