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미날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17
에밀 졸라 지음, 강충권 옮김 / 민음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읽다 보면 현재 우리의 삶 모습과 거의 비슷하여 사람의 삶은 세월이 흘러도 똑같구나 싶을 때가 있다. <제르미날>을 읽고 있는 지금 광부들이 파업 이야기가 화물연대 파업의 소식과 맞물리고 있어 더욱더 위와 같은 생각을 느끼고 있다. 우연히 다른 곳에서도 광부들의 파업 이야기를 보았었다. 광부들의 파업을 다루고 있는 책이 남아있다는 것과 참으로 시의적절한 책을 만나보고 있다는 생각에 감사함을 느끼게 된다.

"빵을 달라! 빵을 달라! 빵을 달라!"

1권에서 에티엔은 부조리에 항거를 하기로 결심하고 동지 광부인들과 함께 파업을 하고 그 이야기를 잇고 있다. 광부인들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데도 회사가 임금을 삭감하여 더 궁핍하게 몰아가자 파업을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대동단결할 수는 없는 법이다. 몇몇 광부인들은 파업하는 동지들을 저버리고 탄광에 들어가서 일을 한다. 이에, 에티엔과 그의 뜻을 함께하는 광부들은 살벌하게 배신자들을 몰아가고 위협한다.

자신들의 생계를 위협받은 광부들의 기세는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는 듯이 맹렬한 기세이다. 책을 읽으면서 광부들 내부에서도 단압을 이루지 못하는데 과연 이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까 하는 노파심이 생기기도 하였다.




"세상은 종의 아름다움과 생존을 위하여 강자가 약자를 잡아먹는 투쟁의 장에 불과한 것인가?"

부르주아에 비해 광부들은 힘없는 노동자일 뿐이었다.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하는 광부들이었으나 그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합의가 되지 않았고 오합지졸과 같았다.

이들이 부자들에게 고함을 쳐도 소용없다. 강자들은 자신들에게 반발한 약자들을 강력하게 짓밟고자 하는 듯하다. 이들에게 돌아온 것은 군인들의 무력 진압이었다. "사격 개시"라는 말과 함께 군인들은 광부들에게 무기로 제압한다.

책을 읽으면서 너무 안타까웠다. 이들이 원하는 것은 자신에게 최소한의 보장을 해달라는 생계를 위한 싸움이었는데 그것조차도 허용을 해 줄 수가 없는 것일까?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 것일까? 인간의 잔인함은 어디까지일까 싶기도 하고 사회는 너무나도 악한 곳이었다.

에밀 졸라가 고심 끝에 착안한 '제르미날'이라는 말은 '싹이 나는 달'이라는 뜻이다. 졸라가 의도적으로 차용한 이 말은 노동과 혁명에 대한 작품 전체의 취지를 요약하는 메타포로 간주해야 한다고 설명해 주고 있다. 에밀 졸라는 <제르미날>을 통해서 유럽 전체에 해당하는 탄광 노동 여건의 문제를 고발하고자 했다. 부당한 계약, 임금 체계, 수당 삭감, 열악하고 위험한 갱도와 막장 현장, 사고 보상 체계의 미비 등 이는 유럽 탄광 지역의 공통된 문제였다고 한다. 에밀 졸라는 이 작품을 통해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것이라고 한다.

역시 지성인 에밀 졸라 다운 것 같다. 소신 있게 자신의 능력을 토대로 사회, 정치적 문제에 정면돌파한다. 현재에 읽어도 깊은 이해와 공감, 감명을 주는 책 <에밀 졸라>이다. 더욱더 에밀 졸라의 팬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