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사
예브게니 보돌라스킨 지음, 승주연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사하게도 은행나무 <비행사> 서평단에 당첨되어 읽어보게 되었다.

<비행사>는 일기 형식으로 내용이 구성된다. 눈을 뜨고 보니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주인공 '인노켄티 페트로비치 플라토노프'의 시점으로 시작한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시점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스토리가 흘러갈수록 내용이 덧붙여지므로 처음에 의아스러움으로 가득 차다가 점차 퍼즐 조각을 맞추어 가는 듯하였다.

1900년도에 태어난 주인공은 눈을 뜨고 보니 1999년 시대의 사람이 되어 있다. 의사 '가이거'의 권유로 그는 기억나는 모든 것을 일기에 적어나가기 시작한다.

주인공은 과거의 기억으로 처음에는 문장, 냄새, 감정들을 적어나가다 후에는 1900년대 혁명, 솔로베츠키 섬에서 강제수용 노역, 징벌방, 스탈린, 라자리 실험 등을 적는다. 20세기 러시아의 역사보다 개인의 역사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주인공은 유명인, 가족을 구성하면서 현재의 생활에 적응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한 세기의 시간을 뛰어넘어 살고 있으며 자신의 과거를 공유할 수 있는 이가 없어 사무친 그리움의 감정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주인공은 마지막 페이지가 끝날 때까지도 무인도에 홀로 남겨진 내용이 담긴 <로빈슨 크루소>를 즐겨 읽는다.

작가는 한 세기를 뛰어넘은 주인공의 운명적인 삶을 보여주면서 '역사란 결국 개인의 사적인 이야기의 일부'라는 것을 말해준다.

나라의 역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이 아니라 개인의 역사라는 미시적인 관점으로 시선을 다르게 바라보고 이야기를 써 내려갔다.

"뭘 그렇게 열심히 쓰세요?"

"사물과 감정 등을 묘사하고 있어요. 사람들도요. 요즘 저는 매일 제 기억 속에 있는 것들이 사라지기 전에 기억하는 것들을 적고 있어요."

"그러기에는 신이 창조한 이 세계가 너무 거대하지 않을까요?"

"각자 자신이 속한 세계 즉, 이 세계의 일부만 적으면 됩니다. 하긴, 꼭 그 세계의 일부가 작다고만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요. 넓은 시야는 언제든 확보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를테면요?"

"비행사처럼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