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울에서 헤엄쳐 나오는 법


뇌의 안쪽 중의 측두엽엔 *편도체라 불리는 기관이 있는데, *감정을 조절하는 곳이다.

*우울에 빠진 사람의 경우 *편도체의 크기가 커지고 *활동량도 커진다. - P35

*편도체의 *비정상적인 작용은 *다른 기관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수면 장애라든가 *비정상적인 행동을 유발시키는 방식으로 발현된다.

엉뚱한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P36

그렇다면 우울이란 정확히 어떤 감정일까?

다른 부정적인 정서와 어떤 지점이 다를까?

우울의 *원인은 *백만 가지가 넘는다. 그러나 *우울의 *상태는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에너지가 없는 상태를 우울로 보기 때문이다.

차동차로 치면 *기름이 없는 상태다.

우울한 사람은 *활력이 없고 실제로도 많이 움직이지 않는다. 행동이 없을수록 우울의 깊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P36

만약 당신이 우울에 처했다면 다음의 두 가지를 기억하자.

첫째는 *물리적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즉, *먹어야 한다.

*체력과 *정신력은 *같은 배터리를 사용한다. 만약 *멘탈이 약해져 있다면 그땐 다른 무엇보다 *피지컬을 회복해야 할 때다. - P37

두 번째, 우울에서 벗어났을 때 *나쁜 행동을 실행할 것에 대비해야 한다.

이럴 땐 애써 긍정적인 *생각을 하려 *하지 말고, *긍적적인 *행동을 해 버리는 것이 *낫다.

그것도 아주 작고 만만한 놈으로 골라서 말이다. 운동하기, 일기 쓰기, 가계부 쓰기 등.

우울할 때는 무기력이 최악에 도달한 상태다.

넌 그 일을 할 수 없어. 해도 소용없어. 해 봐도 분명히 안 될 거야.

이 목소리를 떨쳐 내는 것은 쉽지 않다. 무턱대고 큰일에 덤볐다간 부지불식간에 더 큰 우울을 맞이할 것이다.

그냥 하는 것이다. *쉬운 걸로 딱 하나만.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나는 이렇게 달라졌을까?
왜 조금만 뭐라고 해도 내 피는 끓어오를까?

저 언덕 무성한 히스 속에 한번 뛰어들면 틀림없이 정신이 날 텐데.

다시 창을 활짝 열어 줘, 빨리.

왜 가만히 있어?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 가족을 생각하는 심정은 *흑인이나 *백인이나 다를 것이 없다고 나는 믿고 있습니다.

이것은 당연한 일같이 보이지 않지만
나는 당연하다고 생각하지요. - 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영과 오만은 종종 동의어로 쓰이긴 하지만 그 뜻이 달라.

허영심이 강하지 않더라도 오만할 수 있지.

*오만은 우리 *스스로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더 관련이 있고,

*허영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해 주었으면 하는 것과 더 관계되거든.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정의가 언제나 너무 늦게야 개입한다는 것이야말로 불행 중의 불행입니다.

인간의 정의는 행위만을 벌하고 비방하지만 그런 행위를 저지른 자보다 더 높이, 더 멀리 거슬러 올라가지 못합니다.

그러나 숨어 있는 우리의 과오는 다른 사람들이 숨 쉬는 공기를 오염합니다. - P2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