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나는 바깥으로 들어갔다 - 스물여섯의 사람, 사물 그리고 풍경에 대한 인터뷰
최윤필 지음 / 글항아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책을 읽고 바깥과 안의 경계란? 또, 그 둘을  구분하는 진정한 기준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어디에 속해 있는걸까요....

 

*무교를 이렇게(저속한 미신으로)보는것은 우리의 눈으로 우리전통을 본 게 아니라 타자의 시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 타자란 유교가 될 수도 있고 그리스도교가 될 수도 있으며 근대화한 서양이 될 수도 있다. 107~108p

 

*상처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증상에 개입해야 하는 경우처럼 특별히 섬세하게 접근해야 할 일들이 있다. 차별이 그런 경우다.130p

 

*내 생의 어떤 기쁨이 존재조차 모르는 그  누군가에게 빚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잠깐 하기도 했다. 203p

 

*모호함은 다양성의 한 형식이고 무한한 가능성의 잠재태다. 326p

 

type=text/javascript>// redefineLink();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