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현의 감각 - 매력적인 사람의 감각적 언어 표현에 대하여
한경혜 지음 / 애플북스 / 2022년 5월
평점 :
말에는 표면적인 의미 아래 숨어있는 미묘한 느낌이 있다. 그것을 ‘뉘앙스’라고 한다. 이 책의 말을 빌려 더 깊이 이야기하면, 말에는 ‘표정’이 있다. 이 뉘앙스를 말의 표정이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단어 하나만 바뀌어도 상대에게 전해지는 의미가 바뀔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러니 ‘아 다르고 어 다르다’라는 말이 있나 보다.
매력적이고 품격 있으며 다시 보고 싶은 사람은 대개 말을 잘한다. 사람마다 말을 잘하는 요소에 대한 생각은 다르겠지만, 본인의 생각으로 말을 잘하는 사람의 요소는 앞서 말한 뉘앙스, ‘말의 표정을 파악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비슷한 단어라도 상황에 적확하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힘이 그런 사람이 될 수 있게 해주는 듯하다.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며 이러한 말의 특성을 점점 잃어가는 것 같다. 대면으로 전해지던 말은 비대면의 문자로 바뀌어, 상대에게 전달되는 깊이와 그 의미가 점점 축약되고 있다. 더불어 그러한 문자에 담기는 사람들의 정서도 점차 메말라가고 있음을 느낀다. 메말라가는 문자에 더불어 자연스레 현실 세계에서 말 또한 연쇄적으로 메말라지고 있다. 우리에게는 말의 힘을 되살려줄 ‘표현의 감각’이 필요하다.
<표현의 감각>은 상황과 문맥에 어울리는 적절한 말과 단어 사용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특이하게도 이론서가 아니라 ‘소설’ 형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비정규직 시대, 정규직 전환을 위해 디자인 회사에 다니던 세연이라는 인물이 실직하면서 일어나는 일을 담았다.
구구절절 이론서보다는, 오히려 소설이어서 더 물 흐르듯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바가 잘 전해진 것 같다. 소설은 표현이 자유로울 수 있는 곳이니 말이다. 소설의 인물이 마주하는 사건이 현실 세계의 우리가 마주할 수 있는 사건이기도 해서 그 상황에 더욱 공감가기도 한다.
문득 말에 대한 표현이 상대에게 조금 더 잘 전해지고, 더불어 상대가 이를 잘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감이 비롯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당연한 이야기일 것이다. 말은 의사소통이고, 의사소통은 공감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 사회는 어떨까? 이러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누군가 묻는다면, 자신있게 그렇다고 대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사회는 서로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한 말이 사용되기 바쁘지, 누군가의 이야기를 듣고 누군가와 진정으로 소통하기 위한 말은 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표현의 감각>은 그런 맥락에서 상대를 향한 경청과 배려를 위한, 더 나아가서는 스스로를 매력적이고 감각적으로 만들어주기 위한 말을 쓰는 법을 알려준다. 말에 담긴 표정을 알 수 있는 법은 덤이다.
말 잘하고 글 잘 쓰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번은 읽어봐야 할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