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욕 중심가 고층 빌딩에서 화려한 직장 생활을 시작했지만, 형의 죽음으로 인한 이별의 아픔으로 그저 조용한 곳으로 떠나고 싶었던 저자.

그래서 그는 어릴 적 형과 함께한 추억을 상기하고, 소란한 마음과 이별의 아픔을 다스릴 수 있는 정적이고 단순한 일을 찾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이 된다.

<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는 미술관 경비원을 시작하고 끝마치기까지의 시간과 경험이 담긴 10년의 회고록이다.

오롯이 미술관에 관한 이야기만 담겨있다기보다는, 저자가 미술관에 근무하며 보고 듣고 느낀 다양한 경험을 통해 변화하는 그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중점으로 풀어가는 느낌이었다.

삶을 버틸 힘을 잃었던 누군가가 새로운 근무 환경, 다양한 사람들, 수많은 미술 작품을 스치며 조금씩 버거웠던 삶에 적응하고 용기를 얻어, 또 다른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나는 일련의 과정이 아름답게 그려진다.

깊은 고독에서 우러난 사색이 담긴 문장의 조화는, 독자에게도 마찬가지로 저자가 느꼈을 고독의 시간과 공간의 순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시간과 공간은 결코 외롭거나 두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너무도 광활해서 마치 앞길이 보이지 않는 미술관을 하염없이 걷는 것만 같지만, 오히려 보이는 길을 걷는 것보다 안정적이고 차분한 마음이 들게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은 두려움을 마주할수록 더욱 단단하게 성장하는 존재이기 때문일까? 세상이 무너질 것만 같은 일을 겪더라도, 더디지만 조금씩 자신의 버거운 삶을 단단히 짚어갈 목발을 만들어 전진하는 것 같다.
비록 다리가 부러진 것이 없던 일이 되진 않더라도, 언젠가 우리는 부러진 다리를 이끌어갈 도구를 만들 수 있다고 격려를 주는 것만 같았던 책이다.

갑작스런 이별과 아픔, 직장의 변화, 주어진 새로운 환경과 의무. 저자가 겪었던 이 모든 일은 우리의 삶에서도 충분히 마주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리고 우리의 삶에 큰 파도를 불러올 수 있는 것들이기도 하다. 이 파도를 어떻게 타는지에 따라 삶은 침몰할 수도 있고 적당히 흘러갈 수도 있을 것이다.

<전환점>, 이 책을 한 단어로 주제를 짓는다면 앞선 단어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인생의 모든 전환점은 갑작스럽고 두려우며 심지어 비통할 수 있지만, 그래도 결국은 조금씩 해쳐갈 수 있다고. 자신의 삶에 찾아온 그런 모든 전환점을 잔잔하고 또 단단하게 마주하는 저자의 모습에서 그런 마음을 읽은 것만 같다.

<책 속 위로의 문장 - P.305>

삶은 휘청거리고 삐걱거리면서 천천히 앞으로 나아갈 테고, 그 방향을 나 스스로 잡는 편이 낫다는 것도 알게 됐다.
다시 말해 내 삶은 여러 개의 챕터로 되어 있고, 그 말은 현재의 챕터를 언제라도 끝낼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