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신의 존재에 대해 사과하지 말 것 - 삶, 사랑, 관계에 닿기 위한 자폐인 과학자의 인간 탐구기
카밀라 팡 지음, 김보은 옮김 / 푸른숲 / 2023년 4월
평점 :
품절
지구에서 산 지 5년째 되던 해, 이 책의 저자 카밀라 팡은 생각했다.
‘나는 엉뚱한 행성에 착륙한 게 틀림없어!’
자폐스펙트럼장애와 ADHD를 가진 카밀라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것이 남들보다 어렵다.
세상을 필터 없이 보거나, 직설적으로 말하며, 상황에 맞지 않는 행동과 언어를 일삼기도 한다.
좌절에 빠진 카밀라에게 희망을 건넨 건 바로 과학이었다. 일곱 살 때 삼촌의 서재에서 발견한 새로운 세계! 그간 카밀라가 이해할 수 없었던 세상에 둘러싸여 있었지만, 드디어 생애 처음으로 이해할 수 있는 세상을 만나게 되었다.
카밀라는 과학의 언어를 통해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기 시작했고,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를 얻어낼 수 있었다. 이 책은 카밀라가 과학을 통해 이해한 세상에 대한 경험을 담은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챕터는 총 11개로, 머신러닝, 생물화학, 열역학, 빛, 파동설, 분자동역학 등 다양한 과학 원리를 통해 세상을 살아가고 인간을 이해하는 법을 담고 있다.
별생각 없었던 인간의 행동 양식을 과학적으로 파고들어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이렇게 전문적이고 세밀한 접근을 통해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얻어낼 수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고, 과학에 대한 저자 카밀라의 사랑과 열정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
또한, 이 책은 실패와 다름을 두려워 않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격려하며, 저자처럼 내가 별세계를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닌지 걱정하며 세상의 이방인이 된 것만 같은 사람들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인상 깊었던 부분은 파트 3의 ‘무질서하게 질서 정연한 사람’. - P.84 내 나름의 방식으로 방 정리를 했는데, 방 좀 치우고 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면 누구든 공감되는 이야기일 것이다.
잘 정돈된 상태에 대한 개념은 사람마다 제각각 다를 테다. 조화로운 관계를 위해서는 각자가 보는 정돈된 세계를 존중하며, 서로의 질서 감각을 이해하고 공감하고자 노력해야 한다는 부분으로 이야기가 결론이 지어져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