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에게 들키고 싶은 혼잣말 - 관계에 상처받은 나를 위한 따듯하지 않은 위로
김선아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월4번째책

남 탓하는 사람은 결국 주변의 소중한 사람을 잃는다. 또한 아픔을 겪고도 배움이 없으며 내면이 성장하지 못한다.
자신만 피해자라고 생각하며 모든 상황, 환경, 사람들을 가해자로 만든다.
결국 혼자가 된다.
-
당연히 모든 사고의 시발점과 그 내용들은 내 경험이 바탕이고 원인인 거잖아. 근데 사람들은 자꾸 그 이상을 바라니까 나란 사람이 잘못된 건가 싶어.
-
때로는 상대방의 상처를
내 위로의 수단으로 삼는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느끼지만
같은 아픔을 지닌 사람은
서로의 존재만으로도 위로가 된다.
-
나만 열심인 관계가 있다. 좁혀지지 않는 거리감에 안절부절못하여 무얼 어떻게 더 맞춰야 하는지 혼자 고민한다.
그러다 문득 초라한 내 모습을 느끼고는 다짐한다.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들에게나 더 잘하자고.
-
사실 아픔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아픔을 가장 크다고 느끼며
그것들을 모두 상대적으로 여긴다.
내가 이만큼 아프니 너는 그래도 덜 아픈 거라고,
그러니 충분히 견뎌낼 수 있다고.
알고 보면 모두 나약한 존재일 뿐인데.
-
끝을 두려워 하는 사람들이 있다.
애처로운 관계에 질질 끌려다니고 있지만
행복했던 기억, 익숙함, 끝난다는 불안감 같은 것들에 둘러싸여
마무리를 짓지 못하곤 한다.
결국, 끝맺음을 했을지라도 새로운 시작에 대한 두려움, 낯섦,
타인에 대한 불신 등으로 더 나아가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의심하며 맴돈다.

끝은 새로운 시작이다.
모든 연애의 끝에는 깨달음이 남는다.
이를 발판 삼아 내 땅을 다져나가면
더 소중한 인연이 닿을 것이다.
-
기대치와 서운한 감정은
비례한다.
-
화가 나면 진심은 가려진다. 어떻게 하면 상대방을 더 아프게 할지에 대한 생각으로 머리가 가득 찬다. 그리고 진심을 담은 마음은 저 멀리 밀려난다. 내가 내밭은 말은 결국 나를 상처 입히고 멍들게 한다.
사랑하는 사람일수록 진심을 가려서는 안 된다.
그런데, 그게 매우 힘들다.
-
사람 마음이란 게 참 간사해서
매번 나 좋을 대로 생각하고 말아버린다.
그래서 단순하게 생각할 것을 복잡하게 받아들이고
신중해야 할 일을 가볍게 여긴다.
내 앞에 놓인 것들의 경중을 잘 따져야 하지만
단지 내 기분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일이 빈번하다는 것이다.
-
사실은 별게 아니었단 걸, 끙끙대며 깉이 생각할 일이 아니었단 걸, 그때는 몰랐다.
내가 제일 초라해 보였고 가장 비참하고 힘든 존재인 양 세상의 모든 먹먹함을 끌어안은 채 지냈지만 알고 보니 그건 참을 수 있을 만큼의 고통이었다. 어쩌면 견딜 수 없는 아픔은 애초에 내게 주어지지 않았던 거다.
-
-
-
처음에는 표지 색감이 내 취향이라서 사야지 했는데, 몇 페이지 읽다 보니 내용도 내 취향.

관계에 상처를 많이 받으신 분들이 한 번씩 읽어 보셨으면 좋겠다. 관계 개선보다는 위로가 되어줄 책이니까.

#다음엔뭐읽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