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나를 간직할 수 있도록
이광호 지음 / 별빛들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4월8번째책

하고 싶은 일. 하기 싫은 일
좋은 것, 나쁜 것.
사실 모든 것의 주체와 기준은 ‘나‘ 다.
-
어쨌거나 요즘 글쓰기에 대해 고민이 참 많다. 지금 내가 쓸 수 있는 글과 쓸 수 없는 글만 생각하면 될 텐데 말이다. 용기 있게 많은 것들을 쓰고 싶다. 하지만 그로 인해 누군가 상처를 받거나 곤란한 상황에 부닥칠까 걱정이 앞서기도 한다. 내 이야기만 쓰기에는 너무 많은 사람과 어울려 살아가는 세상이다.
-
가치를 아는 사람은
그 값을 아까워하지 않고
값을 아는 사람은
그 가치를 아까워하지 않더라.
-
‘보고 싶다‘라고 말한들 볼 수 없고, ‘보고 싶다‘ 라고 말한들 보고 싶은 마음이 진정되지도 않는데 자꾸만 ‘보고 싶다‘라는 말이 재채기처럼 나온다. 사랑은 감기와 같다고 하던데 누가 비유를 했는지 노벨 비유상을 주고 싶다. 그러고 보면 환절기에 더 심한 것 같기도 하다. 감기도 사랑도.
-
감히 내가 누구에게 책을 추천해 줄 자격이 되진 않지만 이상하게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듣다 보니 떠오르는 책이 있었다. 그리고 생각했다. 책은 사람이 존재하는 한 사라지지 않겠구나.
-
모든 것을 기억할 순 없지만
많은 것을 기억하면 좋지 않을까
아깝잖아
어떻게 버티고 살아오는 날 들인데.
-
어쩌면 지금 당장 마음의 여유가 없는데 어떤 존재에게 마음을 주는 행위를 한다는 게 피곤하고 힘든 일 일수도 있다. 하지만 마음을 주는 것만이 사랑을 하는 것은 분명히 아니다. 사랑을 잘 받는 것, 그 또한 사랑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든다면 앞에 지나가는 사람이 나를 향해 문을 잡아 주었을 때 그 사람에게 감사 인사를 건네는 것. 주어진 밥을 맛있게 먹는 것. 치우지 않은 낙엽길을 잘 밟는 것들과 같은 일들 말이다. 이게 무슨 사랑이냐고 말한다면 사랑에 대해 조금만 더 관대해지라고 말하고 싶다. 하트라는 틀에 사랑을 눌러 담지 말고.
-
내가 마음을 준 존재는
나의 마음을 받은 특별한 존재가 된다.
그 특별함들은 모이고 모여
특별한 장소를 만들고 특별한 시간을 만들며
언젠가는 특별한 인생을 만든다.
-
어쩌면 우리가 말하는 본성은
우리가 잘 못된 일을 함에 있어
자기합리화를 하기 위한 수단이 아닐까.
-
우리의 마음은
유혹에 가까이 있을까, 양심에 가까이 있을까
결국, 선과 악의 이야기일까
사랑에는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일까
우리는 사랑에 있어
무엇을 이해할 수 있고 무엇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것일까
‘나‘는 악한 사람일까, 선한 사람일까
-
대화를 할 때는
누구의 옳고 그름도 아닌
서로의 마음만을 알아주었으면
그래서 대화의 끝에는
우위를 선점한 누군가가 아닌
나란히 옆에선 우리가 있었으면
-
내가 나로서 살아갈 수 있는 가장 큰 힘은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
-
서로 간에 일어난 일을
혼자서 아무것도 아닌 일이라
판단하는 것은 이기적인 것이 아닐까.

서로 간에 일어난 일은 서로의 일인데 말이다.
-
-
-
휴무의 마지막으로 고른 책.

이 책은 작가님이 매장에 방문 하셨을 때 사인을 해서 선물해 주셨다.

사실 독립출판물을 먼저 접했었고 작가님 인스타를 통해서 새 책이 나온걸 알아서 엄청 궁금했다.

좋더라. 그냥 앉은 자리에서 다 읽었다.
표지만 이쁜게 아니라 내용도 이뻐서 더 좋더라.

인스타그램을 통해 글을 쓰시는 분, 책을 만드시는 분, 책을 홍보하시는 분, 책을 좋아해주시는 분을 다양하게 알아가고 있다.

SNS가 인생의 낭비라는 말이 있지만, 나는 이 SNS로 득이 더 많이 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좋은 글, 좋은 책, 좋은 인연 감사합니다.

이 책이 잘 되었으면 좋겠다.
작가님의 다음 책도 보고 싶으니까.

아, 그리고 저희 매장에서 작가님 친필 사인이 된 책이 진열 되어 있으니 작가님 팬은 와서 구매 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이것은 깨알 홍보.

아, 그리고 중간에 허구라는 챕터는
진짜 허구일까 궁금하다🤔

#다음엔뭐읽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